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and Weights Evaluation of It's Components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 Kang, Min-Goo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KOWACO)) ;
  • Lee, Gwang-Man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KOWACO))
  • 강민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Published : 2006.01.01

Abstract

To assess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many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sugges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However, in the previous studies, some of indicators were unsuitable for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water use and management in Korea. Thus, in this study nSl(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a multi-variable index, was created by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al criteria. Relative weights for components, indicators and sub-indexes, were determined by employ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order to extract the indicators related with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the data related with water resources and indicators suggested in various field were compared and thoroughly reviewed. Thes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Economic Efficiency Index, Social Equity Index,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dex, and Maintenance Capability Index. The weight of each component were decided by the survey of 127 specialists in water resources and sustainability. The result of survey represented that efficiency and equity of water use and water quality for river restoration are major issues in enhancing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vestment and public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sustainable water use.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자원과 관련된 활동들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의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 수질, 사회, 경제 및 환경 요인을 고려한 평가지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통합한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WRSI)를 개발하였다. WRSI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중요도(Weight)는 계층적 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WRSI를 경제적 효율성, 사회적 공평성, 환경적 보전성, 유지관리능력 등 4개 세부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지수의 구성 지표는 유역조사, 사회 및 경제 통계, 여론조사 및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적합성을 평가한 후 선정하였다. WRSI 구성요소들의 중요도는 127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정하였다. 세부지수와 구성 지표의 중요도 분석결과는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 수자원 이용의 효율성과 공평성 증대, 하천 수질을 향상시켜 친수 기능의 복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수자원 분야에 지속적으로 적정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수자원 정책 결정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5). 전국유역조사-한강, 낙동강유역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3). 물에 관한 국민 여론조사
  3. 국토개발연구원 (2003).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4. 국토개발연구원 (2002). SOC 투자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AHP 기법을 통한 투자지표 설정방향을 중심으로.
  5. 김대일, 이종호, 박희경, 이동률 (2002). 유역통합수질관리를 위한 지속가능개발 지표의 개발-통계적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상하수도학회지, 16(3), pp.322-332
  6. 김휘린, 이동률, 최시중 (2003). 사회적 적응능력 지표에 의한 지역별 수자원 평가. 2003년도 대한토목학회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2011-2014
  7. 박태선 (2002). 계층화 분석법을 이용한 하천의 중요도 평가 비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5(6).pp. 685-692 https://doi.org/10.3741/JKWRA.2002.35.6.685
  8. 이상일, 김병찬 (2003). 계층분석 과정을 이용한 지적지분석, 한국지하수 토양환경학회지, 8(4), 36-44
  9. 이상일, 이상신 (2004). 지표수-지하수 연계 운영을 위한 적지분석 시스템 개발, 2004년 한국수자원 학술발표회 논문집
  10. 이현재, 심명필 (2002). 계층분석과정에 의한 가뭄시 용수배분 우선순위 의사결정, 2002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5(6), pp. 703-714 https://doi.org/10.3741/JKWRA.2002.35.6.703
  11. 서현교 (1998). 환경압력지수개발 및 그 적용에 연구-서울과 전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도시계획과 석사학위 논문
  12. 심성보, 김병찬, 이상일 (2004). AHP를 이용한 강 과수 개발지역 선정, 2004년 한국수자원학회 발표회 논문집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유역통합 물수지 분석 및 수자원 계획기술의 개발
  14. ASCE Task Committee on Sustainability Criteria(1998). Sustain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s. Am. Soc. of Civ. Eng., Reston, Va
  15. Cai X.,M. and Lasdon L. S. (2002). A framework for sustainability analysis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application to the Syr Darya Basin, Water Resour. Res. Vol. 39, No.8, pp. 1085-1098 https://doi.org/10.1029/2001WR000214
  16. European Environment Agency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Typology and overview, Copenhagen, Denmark
  17. Fowler H. J., Kilsby, C. G., and OConnell P. E. (2003). Modeling the impacts of climatic change and variability on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resource system. Water Resour. Res., Vol. 39, No.8, pp. 1222-1232 https://doi.org/10.1029/2002WR001778
  18. Heathcote, I. W. (1998).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 Huang, S., Wong J., and Chen, T. (1998). A framework of indicator system for measuring Taipei's urban sustainabi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42, pp.15-27 https://doi.org/10.1016/S0169-2046(98)00054-1
  20. Kranjnc, D. and Glavic, P. (2004). A model for integrated assess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No. 43, pp. 189-208 https://doi.org/10.1016/j.resconrec.2004.06.002
  21. Loucks, D. P. and Gladwell, J S. (1999). Sustain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s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OECD (1998).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Indicators
  23. Sullivan C. A.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orld Development, Vol. 30, No.7, pp. 1195-1210 https://doi.org/10.1016/S0305-750X(02)00035-9
  24. Sullivan, C. A. (2001). The Potential for Calculating a Meaningful Water Poverty Index.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4, pp.471-480 https://doi.org/10.1080/02508060108686948
  25. UN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UNCSD) (2001). Indicators qf sustainable development framework and methodologies, United Nations, New York, U.S
  26. UNEP (1988). Training Guidance for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UNESCO
  27. World Economic Forum (2002). 2002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Cited by

  1.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ater management resilience of mid-small scale tributaries vol.49, pp.2,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2.95
  2. Quantitative definition and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little water season (LIWAS) in Korea vol.52, pp.4, 2016, https://doi.org/10.1007/s13143-016-0012-1
  3. Degree of the Contribution of Disaster and Safety Education as an Index of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vol.15, pp.8,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8.5349
  4.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Index by Nation vol.47, pp.2,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2.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