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Pedestrians' Speed according to Pedestrian Countdown Signal Systems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속도 분석

  • 장명순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임삼진 (한양대학교 교통공학과) ;
  • 김경희 (부천시청 교통행정과 교통기획팀)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Pedestrian countdown signals were newly introduced to make Pedestrians feel more comfortable and safer in crossing the streets This Paper analysed pedestrian walking-speed through a before-after behavior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22 sites. and the total number of pedestrians was 19,80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Pedestrian walking-speed of existing pedestrian signal, an inverted triangle countdown signal and a numeric countdown signal were 1.44, 1.39 and 1.42m/sec.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metho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walking-speed of existing signal. an inverted triangle countdown signal and a numeric countdown signal were statistically Erlang(0.117, 10) distribution. Weibull(1.17, 3.72) distribution and Gamma(0.137, 8.18) distribution at 95% confidence level.

현재의 보행신호는 보행자 녹색신호가 일정시간을 경과하면 녹색점멸 신호로 바뀌게 되는데, 횡단보도를 지나는 보행자가 녹색점멸 신호의 잔여시간을 알 수 없어서 보행시 불안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난 2000년부터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로 '역삼각형' 표시장치를 채택하여 설치 운영해 왔다. 이 보행신호 잔여시간을 도형이 아닌 '숫자'로 표시하는 방식이 새롭게 제안되어 시험운영 중인데,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대해 보행자의 보행속도를 비교한 것이다.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속도의 비교분석 결과 (1) 미설치시,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시 평균보행속도는 각각 1.44, 1.39, 1.42m/sec로 분석되었으며 (2)미설치시,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 시 보행자 보행속도 분포 차이 검정을 위해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결과 각각 유의수준 1.00으로 보행자 보행속도분포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3)미설치시 보행속도분포는 Erlang(0.117, 10)분포, 계수형 및 역삼각형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시 보행자 보행속도분포는 각각 Weibull(1.17, 3.72)분포, Gamma(0.137, 8.18)분포를 따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OECD International Road Traffic and Accident Database, 2005. 7
  2. 교통사고통계, 경찰청, 2003
  3. 교통안전시설실무편람(2000년 개정판), 경찰청, 2000
  4. AASHTO : American Association State Highway and Transportation, 2002
  5. 교통사고 조사 매뉴얼(Traffic Accident Investigation Manual),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2000
  6.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 표준지침, 경찰청, 2002
  7. 보행신호등 잔여시간 표시기 시행에 따른 보행행태 및 효과분석, 대한교통학회, 2002. 3
  8. 잔여시간 표시장치에 따른 보행자의 특성 및 선호 도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 2002.11
  9. 계수형 보행신호 잔여시간 표시장치 설치효과 분석 연구, 교통안전연구논문집 제22권, 2003
  10. 보행 잔여신호기 도입에 따른 보행행태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9권 제1 호, 2003
  11. Winnie Daamen and Serge P. Hoogendoorn, 'Experimental Research of Pedestrian Walking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3
  12. Richard L. Knoblauch, Martin T. Pietrucha and Marsha Nitzburg, Field Study of Pedestrian Walling Speed and Start-Up Tim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538
  13. Jan. Botha and Ron Northouse, Pedestrian Countdown Signals Volume 1&2, City of San Jos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