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 Scoring Model for Evaluating the Rural Healthy and Longevity Village Project using DEA and AHP

DEA와 AHP기법을 이용한 농촌건강장수마을사업 평가모형 개발

  • Suh, Kyo (Minnesota Population Center, University of Minnesota) ;
  • Han, Yi-Cheol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i-Mi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Jeong-Jae (Dept. of Rural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Recently many administrative institutes try to improve the viability of rural villages. For increasing the viability, not only infrastructures but internal vitality is necessary in rural villages. Nonetheless, most of governmental projects have been focused on infrastructures. For this reason, RDA(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designed and performed the RHL(Rural Healthy and Longevity village) project. This RHL project is not easy to evaluate the outcome because it consists of very intangible project items.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scoring model to evaluate the result of the RHL project. The scoring model based on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as suggested to evaluate the quantity of personal activities in each village. Personal activities ar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regional life, social life, productive life, outdoor life and indoor life. Evaluating indices of each category are developed and weighting values are evaluat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Kumsan village and examined its applic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균형발전위원회, 2005, 2005년도 국가균형발전시행계획 총괄편, 산업자원부 12: 16-20, 51-52
  2. 김통원, 1997, 사회복지시설 평가 및 운영지원에 대한 문제점 및 대안, 사회복지관협회세미나자료집, 한국사회복지관협회
  3. 문신용, 윤기찬, 2004, 사회복지서비스 생산성에 관한 통합적 분석: 자료포락분석(DEA)과 SERVQUAL기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8(6) : 201-224
  4. 박대식, 최경환, 2002, 농촌주민의 삶의 질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7-85
  5. 박창석, 임승빈, 2001, 지역시설계획을 위한 정주행태 특성과 그 영향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6(1) : 25-38
  6. 백승우, 2005, DEA모형을 이용한 지역농협 유통사업의 효율성 분석, 식품유통연구 22(2) : 71-87
  7. 손광훈, 2003,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사회복지관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2 : 117-141
  8. 송건섭, 이곤수, 2004, 광역자치단체의 성과평가: DEA와 SURVEY방법론 적용, 한국행정학보 38(6) : 179-200
  9. 윤경준, 최신용, 강정석, 2005, DEA를 통한 공공조직 벤치마킹 정보의 단계적 도출, 한국행정학보 39(2) : 233-263
  10. 이영범, 2004, 공공서비스제공의 효율성과 형평성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상수도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13(3) : 236-262
  11. 이환범, 송건섭, 김병문, 2005, 지방공기업의 경영성과관리와 평가지표개발: 자료포락분석(DEA)에 의한 효율성 측정,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15(4) : 275-298
  12. 임동진, 김상호, 2000, DEA를 통한 지방정부의 생산성 측정, 인력 . 재정과 공공서비스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4(4) : 217-234
  13. 임승빈, 1988, 환경심리 . 행태 연구의 기능성과 한계성, 한국조경학회지 14(1) : 1033-1043
  14. 임호순, 유석천, 김연성, 1999, 연구개발사업의 평가 및 선정을 위한 DEA/AHP 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24(4) : 1-12
  15. 장우환, 장철수, 손철호, 2002, 산촌개발사업의 평가와 개선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9-87
  16. 전용수, 최태성, 김성호, 2002, 효율성 평가를 위한 자료포락분석, 인하대학교 출판부
  17. 한이철, 이정재, 정남수, 2005, 장수와 환경생태학적 특성, 한국노화학회지 15(3) : 76-82
  18. Ferrell, M. J., 1957, The Measurement of Productive Efficiency, Journal of the Royal Statistical Society, Series A, General 120(3) : 253-281 https://doi.org/10.2307/234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