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Water Supply Capacity Index to Monitor Droughts in a Reservoir

저수지 가뭄감시를 위한 물공급능력지수의 개발

  • 이동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문장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이대희 (삼안건설기술공사 수자원부) ;
  • 안재현 (서경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e efficient management strategies of reservoirs in periods of drought event are an essential element for drought planning. A Water Supply Capacity Index (WSCI) has been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and effective monitoring of the supply capacity of a reservoir during a drought event. The WSCI is a measure of the duration that a reservoir can supply a required demand under the worst drought condition. The WSCI is not only a useful standard to refer to when making decisions on reservoir operations in a period of drought, but it can be also applied for setting the drought trigger in water demand sites supplied from the reservoi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andardized WSCI and existing drought indices such as PDSI, SPI and SWSI has been analyzed to the applicability of WSCI.

가뭄기간의 효율적인 저수지 운영은 가뭄계획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기간에 저수지의 용수공급능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새로운 가뭄지수로서 물공급능력지수(Water Supply Capacity Index, WSCI)를 개발하였다. WSCI는 극심한 기상조건하에서 각 저수지가 수요량에 대해 어느 정도 기간 용수를 공급할 수 있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이다. WSCI는 가뭄기간의 저수지 운영을 위한 의사결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저수지에서 용수를 공급받는 지역의 가뭄단계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표준화된 WSCI와 기존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PDSI, SPI, SWSI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WSCI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민, 박승우 (1999). '우리나라 주요 지점에 대한 가뭄지수의 산정과 비교,'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41권, 제5호, pp.43-52
  2. 김선주, 이광야, 신동원 (1995). '관개용 저수지의 한발지수산정.' 한국농공학회지, 한국농공학회, 제37권, 제6호, pp. 103-111
  3. 류재희, 이동률, 안재현, 윤용남 (2002). '가뭄평가를 위한 가뭄지수의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4호, pp.397-410 https://doi.org/10.3741/JKWRA.2002.35.4.397
  4. 신사철, 김철준 (2003). '우리나라에서의 가뭄발생지역 판별을 위한 식생지수(NDVI)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5호, pp. 839-849 https://doi.org/10.3741/JKWRA.2003.36.5.839
  5. 윤용남, 안재현, 이동률 (1997), 'Palmer의 방법을 이용한 가뭄의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 317-326
  6. 이동률 (1998). 한국과 미국대륙의 가뭄에 대한 엘니뇨의 영향, 책임연구과제 보고서, 건기연 98-078,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이동률 (1999). '엘니뇨/남방진동과 한국의 가뭄과 관계,'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2 권, 제2호, pp. 111-120
  8. 이동률 (2002). '국가가뭄관리 시스템의 구축방안.' 2002 가뭄대책 심포지움 - 가뭄의 진단과 가뭄극복 종합대책, 한국방재협회, pp. 121-156
  9. 이동률, 이대회, 강신욱 (2003), '가뭄 경보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6권, 제 3호, pp. 375-384 https://doi.org/10.3741/JKWRA.2003.36.3.375
  10. 이재응, 유재복 (2003), '유역 가뭄 예 . 경보 기법 개발,' 한국토목학회논문집, 한국토목학회, 제23권,제 6B호, pp. 499-506
  11. 임경진, 심명필, 성기원, 이현재 (2001). '다양한 시계열을 이용한 가뭄지표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 34권, 제 6호, pp. 673-685
  12. 조홍제 (1996). '도시지역 용수관리를 위한 가뭄 예경 보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1호, pp. 221-233
  13. 한국수자원공사 (2000). 다목적댐 운영 실무편람, 한국수자원공사
  1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가뭄관리 종합대책 수립 연구- 한국수자원공사
  15. Alley, W.M. (1984), 'The Palemt Drought Severity Index: Limitations and Assumptions.', Journal of Cl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ol. 23, pp. 1100-1109 https://doi.org/10.1175/1520-0450(1984)023<1100:TPDSIL>2.0.CO;2
  16. Lee, D.-R., and Salas, J.D. (2001), 'Relationships Between ENSO and Droughts in Korea and the Continental U.S.,' Water Engineering Research,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 No.2, pp. 139-148
  17.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Drought Monitoring with Multiple Time Series,' 8th Conf. on Applied Climatology, Boston,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18. Palmer, W.C. (1965). Meteorological Drought, U. S. Weather Bureau
  19.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a Surface Water Supply Index (SWSI) to Asses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s in Snowpack Runoff Areas,' Western Snow Conf. pp. 164-175
  20. Wllhite, D.A., Sivakumar, M.V.K., and Wood, D.A. (eds.) (2000). 'Early Warning Systems for Drought Preparedness and Management', Proceedings cf Experts Group Meeting, Geneva, Switzerland,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

Cited by

  1. Drought Analysis using SC-PDSI and Derivation of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Curves in North Korea vol.47, pp.9,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9.813
  2. Vulnerability Assessment of Water Supply in Agricultural Reservoir Utilizing Probability Distribu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Methods vol.54, pp.2, 2012, https://doi.org/10.5389/KSAE.2012.54.2.037
  3. Assessment of Anti-Drought Capacity for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RCP Scenarios vol.55, pp.3, 2013, https://doi.org/10.5389/KSAE.2013.55.3.013
  4. Development of Operation Rul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Real-Time Water Level and Irrigation Vulnerability Index vol.55, pp.6, 2013, https://doi.org/10.5389/KSAE.2013.55.6.077
  5. Performance Evaluation of Water Supply for a Multi-purpose Dam by Deficit-Supply Operation vol.47, pp.2,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2.195
  6. Analysis of Emergency Water Supply Effects of Multipurpose Dams Using Water Shortage Index vol.45, pp.11, 2012, https://doi.org/10.3741/JKWRA.2012.45.11.1143
  7. Agricultural Drought Risk Assessment using Reservoir Drought Index vol.55, pp.3, 2013, https://doi.org/10.5389/KSAE.2013.55.3.041
  8. Probabilistic prediction of reservoir storage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dam inflow vol.49, pp.7, 2016, https://doi.org/10.3741/JKWRA.2016.49.7.607
  9. Development and Effective Analysis of Termination Criteria at Each Drought Response Stage in a Multipurpose Dam vol.18, pp.5, 2018, https://doi.org/10.9798/KOSHAM.2018.18.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