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the Influence on Long Term Streamflow Caused by Artificial Storage Facilities Based on SWAT Modeling Process

SWAT모형을 이용한 인공저류시설물의 하류장기유출 영향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 신현석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강두기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In the several decades, various storage facilities have been developed and operated to supply water resource, flood control 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etc. Then, how those man-maid storage facilities affect on the downstream water and environment and how the hydrologists can evaluate those features for water resources problem-solving are high-concentrated problems in this field. Most large watersheds in Korea contain various types of artificial facilities such dams, reservoirs, in-land ponds, wetlands etc. But the study to develop the technology for achieving the effect of the variances and properties of the long term streamflow caused by the artificial storage facilities have been on the simple watershed models and experimental modeling in the real field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procedure and methods to consider the above problems based on continuous and semi-distributed featured SWAT model. At the first, we describe the elements and mechanisms of storage facilities in SWAT model to see how we can apply that in proper and appropriate manner for real field problems. Then, we applied the process to a sample watershed, Taewha River basin which covers the most of Ulsan region. Specially, we concentrate on our effort to the effect of upper reservoirs on down stream long term flows based on various scenario basis. The result was described and analysed in spacial and temporal variations on that basin using the precise manner.

지표수의 수문순환 및 성분의 변동 영향 요소로는 강우, 증발, 토양수분 등의 자연적인 요소와 도시화 및 유역내 저류시설물 등의 인위적인 요소가 있다. 특히, 장기 유출 변동에 영향을 끼치는 인위적인 요소 중 저류시설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이들 영향은 단기적으로는 유출 감쇄특성의 변화, 장기적으로는 저류량 증가에 따른 건기 계절유량의 증가, 년 유황 또는 유출 특성의 변화 등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인공 저류시설이 산재한 지역에서는 자연유량 산정용 수문 순환모형을 고려하기가 곤란하며, 이들 저류시설물의 장기유출에의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물리적 및 추계적 분석기술을 개발하며, 실 유역에의 적용을 통하여 저류시설물이 장기 유출 분석의 신뢰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 지를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장기유출 모형 중 저류시설물 요소를 다양하게 모의할 수 있는 연속형 반분포형 모형인 SWAT모형을 이용하여 태화강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내 저류시설물의 하류 장기유출에의 영향 분석을 다양한 시나리오를 통해 정량적인 영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두기, 정강운, 신현석 (2003). 'SWAT 모형을 이용한 유역내 저류시설물에 의한 장기유출에의 영향분석.' 대한토목학회 2003년도 정기 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 2015-2019
  2. 김남원, 정일문, 원유승 (2004). '완전 연동형 SWAT-MODFLOW 결합모형의 개발 및 평가(I, II).'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 6호, pp. 499-507, pp. 509-515 https://doi.org/10.3741/JKWRA.2004.37.6.509
  3. 김현준, 장철희, 김남원(2003). '장기 강우-유출 모형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3호, pp. 49-57
  4. 김현준, 정성원 (1993). '다중감수 수문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대회지, 한국수자원학회, pp. 327-334
  5. 김태철, 박승기, 안병기 (1996) '한국 하천의 일 유출량 모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9 권 제5호, pp. 223-233
  6. 신현석, 강두기, 김균태 (2004). 'SWAT 모형을 이용한 태화강유역 장기유출 분석' 대한토목학회 2004년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732-736
  7. 신현석, 윤치승, 박무종, 김홍태 (2002). '저류시설물 및 수문요소에 의한 장기유출 신뢰도 분석.' 대한토목학회 2002년 학술발표회, 대한토목학회, pp.78-82
  8. 이관수, 이영석, 정일광 (1995). '탱크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상태공간모형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28권 제2호, pp. 125-136
  9. 이도훈, 허준 (2003). '지하수 순환을 고려한 장기유출 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2), 한국수자원학회, pp. 715-718
  10. 이헌, 차은정, 최영진 (1999). 'SWAT/GRASS GIS Linkage를 이용한 기후 및 수자원 자료분석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353-358
  11. 장철희, 김현준, 김남원 (2003). '용담댐 유역의 장기-유출 분석을 위한 AvSWAT 2000 모형의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1), 한국수자원학회, pp. 46-49
  12. 한국수자원공사(1997). 댐건설 전후의 자연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 수자원공사
  13. Calder, I.R., Hall, R.L., Bastable, H.G., and Gunston, H.M. (1995). 'The impact of land us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sub-Saharan Africa: a modelling study of Lake Malawi.' Journal of Hydrology, Vol. 170, pp. 123-135 https://doi.org/10.1016/0022-1694(94)02679-6
  14. Dunn, S.M., and Mackay, R. (1996) 'Modelling the hydrological impacts of open ditch drainage.' Journal of Hydrology, Vol. 179, pp. 37-66 https://doi.org/10.1016/0022-1694(95)02871-4
  15. Griffiths, G.A., and Clausen, B. (1997). 'Streamflow recession in basins with multiple water storage.' Journal of Hydrology, Vol. 190, pp. 60-74 https://doi.org/10.1016/S0022-1694(96)03060-0
  16. Hopel, K.W., Panu, U.S., McLeod, A.L, and Singh, V.P. (1998). Stodastic and Statistical Methods in Hydrology and Envirorunental Engineering.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y
  17.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Srinivasan, R., and Williams, J.R. (2002a).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User's Manual(version 2000),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8. Neitsch, S.L., Arnold, J,G., Kiniry, J.R., and Williams, K.W.(2002b).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ion(version 2000), U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19. Ramireddygari, S.R, Sophocleous, M.A, Koelliker, J,K, Perkins, S.P., and Govindaraju, RS. (200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mprehensiv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impacts of watershed structures and irrigation water use on streamflow and groundwater : the case of Wet Walnut Creek Watershed, Kansas, USA' Journal of Hydrology, Vol. 236, pp. 223-246 https://doi.org/10.1016/S0022-1694(00)00295-X
  20. Singh, V.P. (1995). Computer Models of Watershed Hydrology. Water Resources Publications
  21. Sophocleous, M.A., Koelliker, J.K., Govindaraju, R.S., Birdie, T., Ramireddygari, S.R., and Perkins, S.P. (1999). 'Integrated numerical modeling for basin-wide water management : The case of the rattlesnake creek basin in south-central kansas.' Journal of Hydrology, Vol. 214, pp. 179-196 https://doi.org/10.1016/S0022-1694(98)00289-3

Cited by

  1. Flow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Daechung Lake Watershed, Korea Using SWAT-CUP vol.44, pp.9, 2011, https://doi.org/10.3741/JKWRA.2011.44.9.711
  2. Determination of Instreamflow Requirement for Upstream Urban Watershed Using SWAT Model vol.39, pp.8, 2006, https://doi.org/10.3741/JKWRA.2006.39.8.703
  3. Prediction of Reservoir Water Level using CAT vol.54, pp.1, 2012, https://doi.org/10.5389/KSAE.2012.54.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