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A multiple-choice forma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37 Korean 10th, 11th and 12th graders at the Korea Science Academy.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y gender and experience of R&E program on the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were investigate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Lim(2004) was implemented for this investigation. We found that the majority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highly possessed the tenta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The students who experienced R&E program have relatively high apprehension of scientists' motivation for researches and activities in social context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id not experience an R&E program.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had relatively high apprehension that government should not control researches of scientists and relatively low apprehension of social responsibilities of scientists comparing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experience on R&E program was identified as a factor to effect changes in the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The study ha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gifted program and curriculum such as running and assessing R&E program, and also the pre-service preparation of science teacher, teacher education reformat in both the practical and the policy levels.

이 연구는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지 선다형 검사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영역별, 성별, 그리고 사사교육의 일종인 R&E 프로그램 이수 경험별로 나뉘어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한국과학영재학교 27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은 과학지식의 잠정성에서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성별과 R&E 프로그램 이수 경험별로 나뉘어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집단별 인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R&E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못한 집단으로 나누어 인식 성향을 조사하였을 때,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이 과학자의 연구동기 및 연구활동을 보다 사회적인 맥락에서 인식하였고,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이를 통하여 R&E 활동 경험이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결과는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특히 R&E 프로그램의 운영과 평가, 그리고 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및 과학교사 교육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2. 교육인적자원부, 한국학술진흥재단 (2006). 연구 윤리 소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한국학술진흥재단
  3. 김종득, 정현철, 김훈, 박은영 (2004). 과학영재학교교육과정 개정 연구. 대전: 한국과학재단
  4. 김종득, 김훈, 박은영, 이범진, 최호성 (2005a). 과학영재학교 R&E 사업 결과보고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5. 김종득, 김언주, 심재영 (2005b). 과학영재관련 제 1차 종단연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인재양성현황 분석 및 정책개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6. 박현주, 이금희 (2005). 과학적 소양의 관점에서 본 대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3), 390-399
  7. 서혜애, 오필석, 홍재식 (2000). 국가과학교육기준. 서울: 교육과학사
  8. 심재영, 김언주, 김종득 (2006). 과학영재관련 제 2차 종단연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인재양성현황 분석 및 정책개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9. 임순영 (2004)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임재항, 강순민, 공영태, 최병순, 남정희 (2004). SIS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에 관한 평가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43-1157
  11. 장명덕, 홍상욱, 정진우 (2002). 중학교 2학년 과학 영재들의 과학 지식에 대한 과학 철학적 관점과 이에 대한 토론 및 읽기 활동의 효과.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5), 397-405
  12. 조희형 (1994). 과학-기술-사회와 과학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13. 한국과학영재학교 (2006a). 2006 학년도 교육과정편람.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14. 한국과학영재학교 (2006b). 학교현황(미간행)
  15. Aikenhead, G., & Ryan, A. G. (1992).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Views on Science -Technology-Society (VOSTS). Science Education, 76, 477-491 https://doi.org/10.1002/sce.3730760503
  16.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MAS) (1989). Project 2061: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MAS
  1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MAS)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8. Bybee, R W. (1997).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rom purposes to practices. Portsmouth, NH: Heineman
  19. Campbell, N. (1953). What is science? New York: Dover Publication, Inc.
  20. Griffiths, A. K., & Barman, C. R. (1995). High school students' view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Results from three countrie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5), 248-255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5.tb15775.x
  21. Kang, S., Scharmann, L. C., & Noh, T. (2005). Examining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Results from Korean 6th, 8th, and 10th graders. Science Education, 89(2), 314-334 https://doi.org/10.1002/sce.20053
  22. Lederman, N. G., & O'Malley, M. (1990). Students' perceptions of tentativeness in science: Development, use, and sources of change. Science Education, 74(2), 225-239 https://doi.org/10.1002/sce.3730740207
  23.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24. Liu, S-Y, & Lederman, N. G. (2002). Taiwanese gifted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3), 114-123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2.tb17905.x
  25. McComas, W. F., & Almazroa, H.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An introduction. Science & Education, 7(6), 511-532 https://doi.org/10.1023/A:1008642510402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27. NSTA (1982).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education for the 19808. An NSTA Position Statement, NSTA, Washington D. C.
  28. NSTA (1990). Science-Technology-Society: A new effect for providing appropriate science for all. An NSTA Position Statement, NSTA, Washington D. C.
  29. Ziman, J. (1980). Teaching and learning about science and socie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https://doi.org/10.1002/sce.10025
  31. Zeidler, D. L., Sadler, T. D., Simmons, M. L., &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https://doi.org/10.1002/sce.200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