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the Visual-Analogical Learning on Student Creativity and Science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초등과학 학습에서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시각적비유학습의 효과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 visual-analogical learning model based on theoretical research on visual thinking and analogical learning. To examine the effect of visual-analogical learning, bot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rom 6th graders at H elementary school in Yeonsugu, Incheon and tested on creativity and science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that visual-analogical learning produ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changes in student creativity, For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creativity; openness, fluency, and originality, results showed greater increa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flexibility showed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ards to science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bigger increase than the control group, but these findings wer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For changes to creativity in the group divided according to creativity score, this instructional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the middle and lower group than the higher group, An investigation of attitude, revealed a positive student reaction students felt these science classes to be more interesting than previous science classes. Moreover, students wanted to create new innovative product themselves.

본 연구는 시각적 사고와 비유학습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기초로 시각적 비유학습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다. 개발한 시각적 비유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의 연수구에 위치한 H 초등학교의 6학년 2개 반을 선정하여 실험반과 비교반을 각각 선정하여 창의력과 과학 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갇다. 시각적 비유학습 모형을 실험반에 투여한 후 창의력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실힘반이 비교반보다 더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성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융통성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과학과의 학업 성취도에서는 실험반이 비교반보다 더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각적 비유 수업을 적용하면서 실험반 학생들을 창의력 점수를 근거로 상, 중, 하 집단별 활동을 비교한 결과 중, 하위 학생들에게서 창의력의 변화가 더 컸음을 맞 수 있었다. 시각적 비유 학습을 실시한 후 아동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처음에는 막연하게 생각만 하던 아이들이 차시가 지나감에 따라 많은 아이디어와 비유물을 찾아 그림으로 다양하게 표현을 하였다. 또한 시각적 비유학습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 창의적으로 표현한 비유물을 직접 제작해 보고 싶다는 의견도 많이나왔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호감 (1991). 두뇌의 기능분화에 따른 교수전략이 창의력 및 자연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강호감 (1997). 창의적인 생물 학습을 위한 수업 모형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 동계학술대회 및 워크샵, 55-57
  3. 강호감, 최선영 (2003). 생물교육에서 창의력 계발 방안 모색. 인천교육대학교 과한교육논총, 제15집, 129-156
  4. 강호감, 최선영 (2004). 초등 생물교육에서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4), 287-297
  5. 강호감, 김남일, 하정원 (1996). 창의력 계발을 위한 자연과 학습에서의 마인드 맵의 활용. 초등과학교육, 15(2), 293-303
  6. 교육인적자원부 (2001).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6-1.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7. 권혁순, 김창민, 노태희 (2001). 다중 비유의 사용 방식이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14-121
  8. 권혁순, 최은규, 노태희 (2004). 화학 교육에서 사용되는 비유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 및 비유 사용의 제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87-297
  9. 김새로나, 이영애 (2001). 사상의 명료화가 유추에 의한 개념 학습에 미치는 영향- 개념의 난이도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12(1), 41-53
  10. 김언주 (1987). 인지심리학:이론과 적용. 정민사
  11. 김영민 (1991). 중학생의 전류 개념 변화에 미치는 쳬계적 비유 수업의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2. 노태희, 권혁순, 이선욱 (1997).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비유물을 체계적으로 사용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323-332
  13. 노태희, 임희연, 김창민, 강석진 (1999a). 학습자의 인지 및 동기 변인들과 비유를 통한 개념 이해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71-478
  14. 노태희, 김창민, 권혁순 (1999b). 비유물의 개수, 출처 및 순서가 중학생들의개념 회상 및 응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45-652
  15. 노태희, 변순화, 전경문, 권혁순 (2003). 화학 개념 학습에서 역할놀이 비유 활동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46-253
  16. 이선경, 김희백 (1999).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생물 영역에 포함된 비유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57-367
  17. 이영덕, 정원식 (1999). 표준화간편창의성 검사. 코리안테스팅센터
  18. 이영애, 정현옥 (2002). 유추에 의한 과학 개념의 학습: 그림 제시에 의한 명료한 사상과정. 한국심리학회지, 14(3), 205-215
  19. 정영란, 임성연 (2000). 생물 학습에서 비유를 사용한 수업의 효과-세포의 구조와 기능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4), 311-319
  20. 정화숙, 배진순, 임영진, 김자림 (2004). 제7차 고등학교 생물 I과 생물 II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3), 180-2003
  21. 최경희, 이영애, 류수경 (2003).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비유 분석 및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65-175
  22. 하정원 (2000). 초.중학교 과학교과서의 유추 분석과 창으력 계발을 위한 유추 자료 개발.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Arnheim, R. (1971). Art and visual percep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4. Bean,T. W., Searles, D., & Cowen, S.(1990). Test-biased analogies. Reading psychology, 11, 323-333
  25. Clement, J. (1983). Observed Methods for Generating Analogies in Scientific Problem Solving. ED286746
  26. Couch, R. (1993). Synetics and Imagery: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through Images. ED363330
  27. Dagher, Z. R. (1995). Review of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instructional analogies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on, 79(3), 295-312
  28. Duit, R. (1991). On the role of analogies and metaphors in lear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75(6), 649-672
  29. Gilbert, S. (1989). An evaluation of the use of analogy, smile, and metaphor in science tex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6(3), 315-327
  30. Glynn, S. M. (1991). Explaining science concepts: A teaching-with-analogies model.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pp. 219-240). Hillsdale, NJ: Lawience Erlbaum
  31. Glynn, S. M. (1994). Teaching science sith anologies: A strategy for teachers and textbook authors(Reading Research Report No. 15). Athens, GA: National Reading Research Center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73 306
  32. Glynn, S. M. & Takahashi, T. (1998). Learning from Analogy Enhanced Scienc Tex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10), 1129-1149
  33. Harrison, A.G., & Treagust, D. F. (1993). Teaching with analogies: A case study in grade-10 op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10), 1291-1307
  34. Lagoke, B. A., Regede, O. F., & Oyebanji, P. K. (1997). Towards an elimination of the gender gulf in science concept attainment through the use of environmental ana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9(4), 365-380
  35. Lin, H., Shiau, B., & Lawrenz, F. (1996).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cience with pictorial analogi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4), 495-511
  36. McKim, R. H. (1980). Thinking Visually, a Strategy Manual for Problem Solving. Palo Alto, CA: Dale Seymour Publications
  37. Sternberg, R. J. (1977). Component processes in analogical reasoning. Psychological Review, 84(4), 353-378
  38. Thiele, R. B., Venville, G. J., & Treagust, D. F. (1995). A comparative analysis of analogies in secondary biology and chemistry textbooks used in Australian schoo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2), 221-230
  39. Walker, B. J., & Wilson, P. T. (1989). Using Guided Imagery to teach sience concepts. Science Learning: Processes and Applications, 147-153
  40. Williams, L. V. (1983). Teaching for the two-sided mind. New York Simon & Schuster.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