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Achievement in Environmental Science in TIMSS 2003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환경 영역 성취도 국제 비교 분석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middle school student achievement in environmental science based on the TIMSS 2003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 student comparison of 46 participating nations. Korea ranked the fourth with a mean score of 554 in environmental science. However, all 3 environment science topics assessed in TIMSS are not included in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hrough 8th grade, even though they are included in most other participating nations' curricula. The average percent correct of items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main topic, the item type and the cognitive domain. Items tha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percent correct of Korea and the international average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percent correct of boys and girls were further analyzed.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the international average, especially in 'use and conservation of natural resources', multiple-choice items, and items requiring 'factual knowledge'. Also, male stu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achievement than female students. On the other hand, Korean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achievement in constructed-response items, items that contained content they had not learned in science lessons and items requiring descriptions of the uses and eff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Moreover, Korean student lacked understanding about acid rain, global warming, and ozone layer destruction. Korean female students showed relatively lower environmental conceptions and lower performance on items requiring data analysis than Korean male studen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at topics of environmental science be included in the science curriculum and taught in the science classroom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more fully comprehend environmental issues.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TIMSS 2003환경 영역 성취도의 국제 수준을 파악하고, 환경 영역의 주제가 의도한 교육과정과 실행된 교육과정에 포함된 정도를 국제 비교하며, 성취도 결과를 주제별, 문항 유형별, 인지 영역별로 분석하고, 우리나라 학생들의 정답률과 국제 평균 정답률의 차이가 큰 문항과 남 여학생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하였다.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환경 영역에서 544점으로 4위를 기록하였다. 교육과정 비교 결과에서 TIMSS 2003에 참여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8학년까지 과학과 교육과정에 환경 영역 주제가 일부 또는 3 가지 모두 포함되어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 영역의 세 주제 모두 의도한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환경 영역에서 우리나라 학생의 평균 정답률은 51.7%로 국제 평균 정답률 38.7%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제, 문항 유형, 인지 영역별 정답률을 비교하면, '천연 자원의 이용과 보존' 주제에서, 선택형 문항에서, '사실적 지식'에 해당되는 문항에서 정답률이 더 높게 나타났고,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의 성취도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문항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자유반응형 문항, 과학 수업에서 학습하지 않은 내용이거나 과학과 기술의 이용 방법과 영향을 서술하는 문항 등에 대해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성비, 지구온난화, 오존층 파괴 등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가 명확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학생틀의 경우 환경 관련 개념과 자료 해석 능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환경 관련 주제를 적극적으로 도입하되 그 시기를 앞당기고, 학생틀이 환경 문제의 원인, 현상, 대책 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과학과 기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을 인식하도록 안내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영순 (2004). PISA 검사 결과에서 드러난 만 15세 한국 학생들의 온실 효과에 대한 대안적 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668-674
  2. 권재술, 김범기 (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3. 교육부 (1997a).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4. 교육부 (1997b). 중학교 재량활동의 선택과목 교육과정-한문, 컴퓨터, 환경, 생활 외국어-. 서울: 교육부
  5. 김희백, 이선경 (1996) 과학.기술과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쟁점화된 주제에 대한 중.고등학생의 태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61-469
  6. 박정, 한경혜, 정은영, 김경희 (2004). TIMSS 2003 결과 분석 및 논의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 성과와 과제- 2003 TlMSS와 OECD/PISA 결과를 중심으로 (pp. 1-6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박정, 홍미영, 이봉주, 전현정 (2003).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2003)-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신동희, 김동영 (2003). 평가 방법에 따른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65-275
  9. 신동희, 박정 (2002). 국제 비교 연구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틀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3(3), 207-220
  10. 이미경, 홍미영, 정은영 (2004). TlMSS-R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35-1244
  11. 이미옥, 최돈형 (2005). 환경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발표논문집
  12. 이연우, 우종옥 (1991). 과학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표준화 검사지 개발-중학교 2학년의 자료 분석과 해석능력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1(1), 59-72
  13. 최석진, 김정호, 이동엽, 장혜정 (1997) 우리나라 학교 환경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14. 한재영, 강석진, 노태희 (2000a). 고등학생들의 화학 관련 환경 개념 및 환경에 대한 태도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344-355
  15. 한재영, 정영선, 노태희 (2000b). 산성비, 오존층, 온실 효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64-370
  16. Arvai, J. L., Campbell, V. E. A., Baird, A., & Rivers, L. (2004). Teaching students to make better decisions about the environment: Lessons from the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1), 33-44
  17. Ballantyne, R., Witney, E., & Tulip, D. (1998). Developing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through interactive worksheet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7(1), 1-16
  18. Bolger, N., & Kellaghan, T. (1990). Method of measure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7(2), 165-174
  19. Boyes, E., & Sranisstreet, M. (1998).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how major global environmental effects might cause skin cancer.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2), 31-36
  20. DeMars, C. E. (1998).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science on a high school proficiency exam: The role of response format,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1(3), 279-299
  21. Gambro, J. S., & Switzky, H. N. (1996). A national survey of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knowledg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7(3), 28-33
  22. Hamilton, L. S. (1998). Gender differences on high school science achievement tests: Do format and content matter?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0(3), 179-195
  23.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z, E . J., & Chrostowski, S. J. (2004). TIMSS 2003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l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s. Boston: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24. McComas, W. F. (2002). The ideal environmental science curriculum: I. history, rationales, misconceptions & standard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4(9), 665-672
  25. McComas, W. F. (2003). The nature of the ideal environmental science curriculum: Advocates, textbooks & conclusiors, The American Biology Teacher, 65(3), 171-178
  26. NAAEE (North Americ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2004). Excell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Guidelines for learning (Pre K-12). www.naaee.org/npeee/learner_guidelines.html
  2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 C.: National Academ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