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Water Quality Data Monitored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관측한 장기 수질자료의 비교 분석

  • Park, Sun-Jae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Seong-Mo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Seo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rends of tempor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using chemical dataset during 1993 ${\sim}$ 2004,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ccording to long-term limnological analyses, Suspended solids (SS) in Imha Reservoir were 2 ${\sim}$ 8 fold2 greater, than those in SS of Andong Reservoir, and the high solids increased total phosphorus (TP) and biological oxygen demand ($BOD_5$) and decreased the transparency, measured as Secchi depth (SD). Chlorophyll-a (CHL-a) increased little or decreased slightly in the both reservoirs during the high solids, resulting in reduced yields of CHL-a : TP ratios. The deviation analysis of Trophic State Index (TSI) in Imha Reservoir showed that about 70% of TSI (CHL-a)-TSI (SD) and TSI (CHL-a)-TSI(TP) values were less than zero and the lowest values were-60, indicating that influence of inorganic solids (or non-volatile solids) on phytoplankton growth was evident in Imha Reservoir and the impact was greater than that of Andong Reservoir. Inorganic solids in Imha Reservoir resulted in light limitation on phytoplankton growth and thus contributed variations in the relations among three parameters of trophic state index. Especially, seasonal data analysis of nutrients in both reservoirs showed that during the postmonsoon, mean TP concentration was Imha Reservoir greater in than that in Andong Reservoir. The higher TP concentrantion was mainly attributed to increases of inorganic solids from soil erosions and nonpoint source inputs within the watershed. The high inorganic turbidity in Imha Reservoir should be reduced for the conservation of water quality for, especially a tap water supply.

본 연구는 1993 ${\sim}$ 2004년의 기간에 환경부에서 측정된 안동호 및 임하호의 이화학적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영양상태 분석 및 그에 따른 계절별, 연별 수질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장기적인 육수학적 추이분석에 따르면, 임하호의 총부유물 (Total suspended solids, TSS)의 농도는 안동호에 비해 특성 시기에 2 ${\sim}$ 8배 이상의 큰 증가를 보였으며, 이런 기간 동안 총인(Total phosphorus, TP) 및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iological oxygen demand, $BOD_5$)은 증가하였고, 투명도(Secchi depth, SD)는 감소를 보였다. 한편, 동일기간 동안 엽록소(Chlorophyll-a, CHL-a)는 차이가 거의 없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단위 총인당 엽록소의 농도(Chl-a/TP ratio)는 뚜렷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영양상태 (Trophic State Index, TSI)의 변이 분석에 따르면, 임하호에서 TSI (CHL-a)-TSI(SD) 값 및 TSI (CHL-a)-TSI (TP) 값치 70% 이상이 0 이하의 음수값을 보였으며, 거의 -60까지의 값으로 나타나 무기성 부유물(inorganic solids)의 영향이 안동호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즉, 임하호에서 무기성 미세부유물은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대한 광제한 효과를 보여 영양상태 지수들간의 상호관계의 변이에 안동호보다 좀 더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마전기, 장마기 및 장마후기에 두 호수의 수체내 총인 농도자료 분석에 따르면, 하절기 장마가 심할 때 임하호에서 장마후기의 총인농도는 안동호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런 주요 원인은 하절기의 집중강우에 의한 수계침식 및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부유물을 증가로 사료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11}C]raclopride$ PET을 이용하여 비흡연 정상인에서 흡연에 의한 도파민 유리를 영상화 및 정량화 하였고, 흡연에 의한 선조체내 도파민 유리는 흡연시 흡수된 니코틴의

Keywords

References

  1. 김범철, 안태석, 조규송. 1988.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1: 151-164
  2. 김범철, 박주현, 임병진, 허우명, 황길순, 최광순, 채기숙. 1997. 국내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1): 옥정호. 한국육수학회지 30: 431-453
  3. 김범철, 박주현, 임병진, 허우명, 황길순, 최광순, 채기숙. 1998. 국내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2): 합천호. 한국육수학회지 31: 312-327
  4. 김범철, 박주현, 임병진, 허우명, 황길순, 최광순, 채기숙. 1999. 국내주요호수의 육수학적 조사(3): 진양호. 한국육수학회지 32: 111-126
  5. 김용재, 정 청. 1993. 임하호의 식물성 플랑크톤 군집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26(3): 175-196
  6. 김용재, 최재신, 김도한, 정 청. 1995. 임하호에서의 식물성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고찰. 한국육수학회지 28(1): 61- 77
  7. 김용재, 최재신, 김한순. 1997. 임하호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 조. 한국육수학회지 30(4): 307-324
  8. 류강기, 이희무. 1995. 임하호 저니 침전물 성분에 관한 조사 연구. 농업과학기술 연구논문집 2: 77-88
  9. 박영규, 서유덕, 김징호. 1988. 안동호의 영양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물환경연구지 4(2): 23-30
  10. 박정원, 신종학, 이갑숙. 1999. 하계 임하호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구조.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7(1): 95-115
  11. 안광국. 2000a. 호수내 인의 주요원으로 몬순 유입수. 한국육수학회지 33(3): 222-229
  12. 안광국. 2000b. 호수 지형 및 수리수문학적 변화에 대한 몬순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3(4): 342-349
  13. 안광국. 2001. 인공호에서 수온의 수직분포와 수층혼합의 계절 적 변화 및 중층수 유입 현상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4(1): 9-20
  14. 오세명, 황재문, 윤태명, 정정학, 권순태. 1994. 안동호와 임하호 주변지역의 농작물 재배실태조사. 농업과학기술 연구논문집 1: 1-11
  15. 이중복, 이희무, 이건주, 박정원, 박재충, 김동걸, 권기석. 2002. 안동호 상류 운곡천의 이화학적 수질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특성. 환경연구지 2(1): 87-90
  16.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표층수 수질의 연별 추이 및 상, 하류 이질성 분석. 한국육수학회지 35(1): 36-44
  17. 한국수자원공사. 1996. 안동호 다목적관리연보. pp. 123
  18. 허우명, 김범철, 안태석, 이기종. 1992. 소양호 유역과 가두리로부터의 인부하량 및 인수지 (phosphorus budget). 한국육수학회지 25: 207-214
  19. 허우명, 권상용, 김범철, 박주현. 2000. 안동호 수질의 장기적인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3(3): 260-266
  20. An, K-G. 2000. An influence of point source and flow events on inorganic nitrogen fractions in a large artificial reservoir. Kor. J. Limnology 33: 350-357
  21. An, K-G. 2000.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in Taechung Reservoir, Korea. Kor. J. Limnology 33: 222-229
  22. An, K-G. 2000. The impact of monsoon on seasonal variability of basin morphology and hydrology. Kor. J. Limnology 33: 342-349
  23. An, K-G. 2001. Hydrological significance on interannual variability of cations, anions, and conductivity in a large reservoir ecosystem. Kor. J. Limnology 34: 1-8
  24. An, K-G. 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ies of nutrient limitation based on in situ experiments of nutrient enrichment bioassay. Journal of Env. Sci. & Health-Part A, 38(5): 867-882 https://doi.org/10.1081/ESE-120018597
  25. An, K-G. and D.S. Kim. 2003. Response of lake water quality to nutrient inputs from various streams and inlake fishfarms.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9(1-4): 27-49 https://doi.org/10.1023/A:1025606205096
  26. An, K-G. and J.R. Jones. 2002. Reservoir response to the Asian monsoon with an emphasis on longitudinal gradients. Journal of Freshwater Ecology 17(1): 151-160 https://doi.org/10.1080/02705060.2002.9663878
  27. An, K-G. and S.S. Park. 2002. Indirect influence of the summer monsoon on chlorophyll-total phosphorus models in reservoirs: A case study. Ecological Modelling 152(2-3): 191-203 https://doi.org/10.1016/S0304-3800(02)00020-0
  28. An, K-G. and S.S. Park. 2003. Influence of seasonal monsoon on the trophic state deviation in an Asian reservoir.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45: 267-287 https://doi.org/10.1023/A:1023688819724
  29. An, K-G., J.W. Seo, and S.S. Park. 2001. Influences of seasonal rainfall on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near the intake tower of Taechung Reservoir. Kor. J. Limnology 34(4): 327-336
  30. Carlson, R.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 Limnology and Oceanography 22(2): 361-36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31. Carlson, R.E. 1991. Expanding the trophic state concept to identify non-nutrient limited lakes and reservoirs. Enhancing the States's Lake Management Programs, p. 59-71
  32. Forsberg, C. and S.O. Ryding.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7-207
  33. Jones, R.J., M.F. Knowlton and K-G. An. 1997. Developing a paradigm to study and model the eutrophication process in Korean reservoirs. Kor. J. Limnology Special Issue 82: 1-9
  34. Kim, B., J.-H. Park, G. Hwang, M.-S. Jun, and K. Choi. 2001. Eutrophication of reservoirs in South Korea. Limnology 2: 223-229 https://doi.org/10.1007/s10201-001-8040-6
  35. Morris, D.P. and W.M. Lewis. 1988. Phytoplankton nutrient limitation in Colorado mountain lakes. Freshwater Biology 20: 315-327 https://doi.org/10.1111/j.1365-2427.1988.tb00457.x
  36. U.S. EPA. 1976. Water Quality Criteria Research of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Proceedings of an EPA Sponsored Symposium, EPA-600/3-7-079, 185
  37. Vollenweider, R.A. 1975. Input output model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hosphorous loading concept in Limnology. Schwei. for Hydro. 37: 53-84 https://doi.org/10.1007/BF02505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