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the Lower Course of the Imjin River

임진강 하류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 Lee, Wan-Ok (Korea and Chongpyong Inland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
  • Byeon, Hwa-Kun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완옥 (국립수산진흥원 청평내수면 연구소) ;
  • 변화근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were studied in the lower course of Imjin River from April 2003 to October 2004. During the survey period 80 species belonging to 23 families were collected. Twenty-five species (31.1%) of them were Korean endemic species. Exotic fishes were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and they complied 1.3% of total catch. The species of Hemibarbus mylodon was identified as natural monument, and acheilognathus signifer, Pseudopungtungia tenuicorpa, Gobiobotia macrocephala and Gobiobotia brevibarba were endangered species. Migration fish were Coilia ectens, Anguilla japonica, Plecoglossus altivelis and Takifugu obscurus. Dominant species were Zacco platypus (St. 1), Microphysogobio yaluensis (St. 2), Hemibarbus labeo (St. 3, 4) and coilia ectens (St. 5). The lower course of Imjin River was more abundance of species, high diversity and richness, and lower dominance index than those of the lower course of Han River.

2003년 4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임진강 하류에서 어류상과 어류군집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집된 어류는 총 23과 80종이었으며 이중 한국고유종에 속하는 종은 25종(31.1%)이었다. 국외에서 도입된 외래어종은 C. cuvieri, L. macrochirus, M. salmoides 등 3종이었고 개체수 비교풍부도가 1.4%이었다.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종은 H. mylodon 1종이었고 멸종위기야생동 ${\cdot}$ 식물에 속하는 종은 A. signifer, P. tenuicorpa, G. macrocephalus, G. brevibarba등 4종이었다. 회유성 어종으로는 C. ectens, A. japonica, P. altivelis, T. obscurus 등 4종이 출현하였다. 지점별 우점종은 Z. platypus (St. 1), M. yaluensis (St. 2), H. labeo (St. 3,4), C. ectens (St. 5) 등이었다. 임진강 하류역에서는 한강 하류역보다 출현종이 많았으며 우점도 지수는 낮고 종다양도 지수와 종풍부도는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익수. 1995. 한국 담수생태계의 특성과 어류상 '95 한국생태학회, 한국어류학회 공동 심포지움, pp. 31-50
  2.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제37권 동물편 (담수어류). 교육부, pp. 21-520
  3. 김재원, 이병기. 1975. 남한강 상류의 어류상과 수서곤충. 한국육수학회 8(3, 4): 39-49
  4. 변화근, 조규송, 최재석, 최준길, 송병용. 1994. 치악산 (부곡)계류 어류의 월별 군집구조와 서식밀도. 한국육수학회지 27 (3): 257-273
  5. 변화근, 최재석, 전상린, 최준길, 송병용. 1996. 치악산 계류의 어류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4(1): 47-54
  6. 변화근, 전상린, 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4): 325-335
  7. 변화근, 손영목. 2003. 복하천의 미소환경과 어류군집. 한국어류학회지 15(4): 295-302
  8. 변화근, 이광열. 2002. 한강 생태계 조사 연구. 서울특별시 pp. 223-246
  9. 손영목, 송호복, 변화근, 최재석. 1997.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9(1): 141-152
  10. 송호복, 권오길. 1992. 댐 건설에 따른 의암호의 어∙패류상 변화. 강원대학교 논문집(과학기술연구) 31: 178-186
  11. 송호복, 권오길, 전상호, 김휘중, 조규송. 1995. 횡성 섬강 상류의 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28(2): 225-232
  12.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1. 홍천강 상류역의 추계 어류상. 한국육수학회지 24(1): 37-44
  13.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서울
  14. 전상린. 1994. 계방산 계류의 수환경 및 담수어류상.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2(1): 43-51
  15. 전상린, 변화근, 최청일. 2002. 동강의 어류군집에 대한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35(5): 350-358
  16. 정문기. 1977. 한국어도보. 일지사, 서울
  17. 최기철, 전상린, 최신석. 1968. 광나루 지역산 육수어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1(1): 33-38
  18. 최기철. 1969. 춘천호의 어류동태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 1, 2 : 31-38
  19. 최기철. 1971. 춘천호.의암호 및 아침못의 어류동태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육수학회지 4(1): 43-62
  20.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2002. 개정 원색 한국담수어도감. 향문사
  21. 최준길, 변화근, 석형근. 2000. 원주천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육수학회지 33(3): 274-281
  22. 최준길, 변화근. 1999. 한강 하류역의 어류 군집. 한국육수학회 32(1): 49-57
  23. 최재석, 이광열, 장영수, 고명훈, 권오길, 김범철. 2003. 소양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15(2): 95-104
  24. 內田惠太郞 1939. 조선어류지. 조선총독부 수산시험장보고, 6: 1-460
  25.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2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27.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 144
  28.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131-144 https://doi.org/10.1016/0022-5193(66)90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