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haracterization of Fish Communities in Agricultural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의 어류군집 특성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Most South Korean lakes are middle/small size artificial reservoirs, which are almost agricultural reservoirs (17,956). A total of 67 species (21 families) were recorded and collected from 65 agricultural reservoirs though field samplings and literature surveys. 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relative abundance 24.5%), and Carassius auratur (41 sites) was the highest frequency. Feeding group of fish communities in the reservoirs was as follows: carnivorous (16.2%), omnivorous (79.5%) and herbivorous fish (4.3%). The number of individuals (P=0.024), species number (P=0.047) and carnivores number (P=0.024)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reservoir ages. Reservoirs were classified into 3 groups according to feeding patterns of carnivore, omnivore and herbivore groups. The omnivores were dominant group in agricultural reservoirs. Detailed studies on fish community will be a base for the understanding of food web structure and biomanipulation in reservoir systems.

Keywords

References

  1. 강원대 부설 환경기술개발센터. 2004. 경기도 6개 호소 생물상 조사
  2. 강원도, 농업기반공사. 2001. 인흥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사전 환경성검토서. 농림부
  3. 군포시. 1998. 반월∙갈치 저수지 수질개선을 위한 생태공학적 공법에 관한 연구
  4. 김용재, 김한순, 정 준. 1991. 덕동호와 보문호의 식물플랑크 톤에 대한 계절적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4(4): 251-263
  5.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 김익수, 박종영. 2002. 원색도감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서울
  7. 김호섭, 황순진. 2004a. 부영양 저수지에서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대한 제한영양염과 질소/인 비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7(1): 36-46
  8. 김호섭, 황순진. 2004b.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 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7(2): 180-192
  9. 나창수, 신선숙. 1992. 주암댐 축조후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4(2): 55-62
  10. 남명모, 여혜경. 1998. 가평/춘천, 화악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11. 농업기반공사. 2000.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통계연보. 농림부
  12. 농업기반공사. 2002. 홍보지구 사후영향평가. 농림부
  13. 농업기반공사. 2003. 덕촌지구 지표수보강 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림부
  14. 농업기반공사. 2004. 불갑저수지 준설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림부
  15. 박종영. 2000. 정읍 (내장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 초조사, 환경부
  16. 변화근, 전상린, 김도한. 1997. 소양호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0(4): 325-335
  17. 변화근. 1999. 김포/인천, 계량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 경기초조사, 환경부
  18. 변화근. 2000. 보령 (성주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 초조사, 환경부
  19. 부산대 환경기술산업개발연구센터. 2002. 생물학적 및 수문학적 조절을 통한 상수원수용 소형저수지의 장기적인 수질 관리 방안. 부산시
  20. 손영목. 1998. 남양주/가평, 축령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 환경기초조사, 환경부
  21. 심재환, 윤창호. 1999. 월출산 주변 수역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상연구지 4: 237-244
  22. 양홍준, 채병수, 남명모. 1997. 안동댐 유역의 어류상과 어류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30(4): 347-356
  23. 양홍준, 금지돈, 이용호. 2001. 원동습지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13(4): 261-266
  24. 양홍준, 이용호. 1997. 충주/제천, 월악산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25. 유광일, 임변진, 최청일. 1987. 영산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0(2): 61-72
  26. 윤창호, 장상준. 1997. 신안, 대둔산 지역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27. 이학동, 강병찬, 김민영. 1994. 예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7(3): 219-226
  28. 인하대. 1999. 유입하천 및 호소 생태조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29. 전상린. 1985. 주왕산 계류의 담수어류상. 한국자연보존협회결과보고서 23: 111-125
  30. 전지홍, 윤춘경, 함종화, 김호일, 황순진. 2002. 농업용 저수지의 물리적 인자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5 (1): 28-35
  31. 정상옥. 2003. 호소전체를 대상으로 한 고전적 관점의 생물학 적 조절법에 관한 소고: 물고기 제거에 의한 호소 수질 향 상. 한국육수학회지 36(3): 375-380
  32. 정정의, 유형빈, 김석이, 이관식. 1993. 나주호에 서식하는 윤충류의 일중 수직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6(2): 83-92
  33. 조현영, 홍사욱. 1970. 저수지의 육수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3(1-2): 5-9
  34. 차진열, 윤희남. 1997. 청송, 구암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 환경기초조사, 환경부
  35. 채병수. 1998. 영암/강진, 월출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 경기초조사, 환경부
  36. 채병수, 박상민. 1997. 포항, 내연산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37. 채병수, 윤희남. 2000a. 연천 (군자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 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38. 채병수, 윤희남. 2000b. 연천/포천(금학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39. 최기철. 1969. 춘천호의 어류동태에 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 (1-2): 31-39
  40. 최신석, 이재훈. 2000. 대전/논산 (계룡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41. 최신석, 박두신. 1997. 예산/서산/홍성, 가야산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42. 최 윤, 김은영. 2000. 서울/성남 (관악산)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43. 최충길, 황영진, 박종천, 라명숙, 이종빈. 1994. 동복호와 상류수계의 추.동계 어류상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지 6(1): 28-38
  44. 홍영표, 장민호. 1997. 논산/완주/익산, 미륵산 및 그 일대의 담수어류. 전국자연환경기초조사, 환경부
  45. Carpenter, S.R., J.F. Kitchell and J.R. Hodgson. 1985. Cascading trophic interactions and lake productivity: Fish predation and herbivory can regulate lake ecosystems BioScience 35: 634-639 https://doi.org/10.2307/1309989
  46. Cho, G.I., M.-H. Jang, S.B. Park, K.S. Jeong and G.J. Joo. 2003. Fish fauna and the exotic species Micropterus salmoides in the floodplain wetlands (Woopo and Junam) of the Nakdong River in S. Korea, Ecohydrology & Hydrobiology 3(4): 363-369
  47. Jang, M.-H., J.-G. Kim, S.-B. Park, K.-S. Jeong, G.-I. Cho and G.-J. Joo. 2002.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tribution of introduced fish in large river systems of South Korea. Int. Rev. Hydrobiol. 87: 319-328 https://doi.org/10.1002/1522-2632(200205)87:2/3<319::AID-IROH319>3.0.CO;2-N
  48. Jang, M.-H., M.C. Lucas and G.-J. Joo. 2003. The fish fauna of mountain streams in South Korean national parks and its significance to conservation of regional freshwater fish biodiversity. Biol. Conserv. 114: 115- 126 https://doi.org/10.1016/S0006-3207(03)00016-8
  49. Krebs, C.J. 2001. Ecology-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5th eds.).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50. McQueen, D.J., J.R. Prost and E.L. Mills. 1986. Trophic relationships in freshwater pelagic ecosystems. Can. J. Fish. Aquat. Sci. 43: 1571-1581 https://doi.org/10.1139/f86-195
  51. Moss, B. 1998. Ecology of Fresh Waters-Man and Medium, Past to Future (3rd eds.). Blackwell Science Ltd, Oxford
  52. Moyle, P.B. and J.J. Cech. 2000. Fishes-An Intoroduction to Ichthyology (4th eds.). Prentice Hall, Upper Saddle Rvier
  53.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s.). John Willey & Sons, New York
  54. Schindler, D.W. 1988. Experimental studies of chemical stressors on whole-lake ecosystems. Verh. Int. Verein. Limnol. 23: 11-41
  55. Shapiro, J., V. Mamara and M. Lynch. 1975. Biomanipulation: an ecosystem approach to lake restoration, In: Proc. Sym. on Water Quality Management through Biological Control (Brezonik and Fox eds.). University of Florida, pp. 85-99
  56. Vollenweider, R.A. 1976. Advances in defining critical load levels for phosphorus in lake eutrophication. Mem. Ist. Ital. Idrobiol. 33: 5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