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ical Stream Health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Keum-Ho River Watershed

금호강 수계에서 생물학적 하천 건강도 및 이화학적 특성

  • Kwon, Young-Soo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biological health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status using multi-metric models at five sites of the Keum-Ho River during August 2004 and June 2005. The research approach was based on a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 and long-term chemical data (1995 ${\sim}$ 2004), which was obtain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For the biological health assessments, regional model of the IBI in Korea (An,2003), was applied for this study. Mean IBI in the river was 30 and varied from 23 to 48 depending on the sampling sites. The river health was judged to be "f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stream health criteria of US EPA (1993) and Barbour et al. (1999).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hemical water quality data of the river, BOD, COD, conductivity, TP, TN, and TSS largely varied epending on the sampling sites, seasons and years. Variabilities of some parameters including BOD, COD, TP, TN, and conductivity were greater in the downstream than in the upstream reach. This phenomenon was evident in the dilution by the rain during the monsoon. This indicates that precipitation is a very important factor of the chemic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Community analyses showed that species diversity index was highest (H=0.78) in the site 1, while community dominance index was highest in the site 3, where Opsariichthys uncirostris largely dominated. In contrast, the proportions of omnivore and tolerant species were greater in the downstream reach, than in the upstream reach. Overall, this study suggests that some sites in the downstream reach may need to restore the aquatic ecosystem for better biological health.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 8월부터 2005년 6월까지 금호강의 5개 조사지점에서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이용하여 물리적 서식지건강도 평가(QHEI)및 생몰학적 건강도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접근방식은 본 연구에서 직접측정한 정성적 식지평가지수(QHEI),어류를 이용한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IBI)및 환경부에 획득한 지난 10년간(1995 ${\sim}$ 2004)의 수질 모니터링 자료와 비교 평가에 기반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이미 한국의 지역적 생태 특성에 맞게 개발된 An(2003)의 모델이 생물학적 건강도 평가에 적용되었다. 총체적인 건강성평가EPA(1993)및 Barbour et al. (1999)의 기준에 따르면, 금호강의 생물학적 건강도 지수는 평균 30이었고, 지점에따라 23 ${\sim}$ 48까지의 변이를 보이며, 건강도는 보통상태(Fair)로 나타났다. 금호강의 이화학적 수질자료 석에 따르면, 1995년부터 2004년 가지 10년 동안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소요구량(COD), 전기전도도(Conductivity), 총인 (TP), 총질소(TN), 총부유물(755)은 조사지점별, 계절별, 연별로 오염농도 변화 폭이 크게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강우량에 BOD, COD, TP, TSS, Conductivity은 상류지점 1에서는 영향이 적었지만 하류로 올수록 많은 영향을 받아 유량에 의한 희석현상으로 장마후에 수질이 향상되는 양상으로 보아 강우가 수질의 이차학적 변이에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군집분석에 따르면 종다양도 지수는 지점 1에서 최대치를 보였고(H'=0.781), 지점 3에서는 끄리의 착실한 우점도를 보였다. 대조적으로 잡식성, 내성종 비율이 상류보다 하류로 갈수록 높았다. 전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류의 지점들은 수환경생태의 생물학적 건강도 향상을 위하여 복원이 필요함을 제시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 금지돈. 2001. 비슬산 생태조사 보고서. 영남자연 생태 보존회. 대구. 156-179
  2. 공동수. 2002. 생물학적 수질기준 설정 필요성 및 접근방안. 환경생물 20: 28-49
  3.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 한국 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4. 김익수, 박종영. 2002. 원색도감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5. 김익수, 박종영. 2002. 원색도감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6. 김종선, 함순아, 나철호. 1995. 수서곤충을 이용한 탐진강 수계 의 수질평가, 환경생물 13(2): 225-231
  7. 김호섭, 황순진. 2004.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계 절에 따른 수질변화. 육수지 37(2): 180-192
  8. 남광현. 2003. 금호강 수질오염 현황 및 조사방법 개선연구. 대구경북개발 연구원
  9. 대구환경청. 금호강의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2000
  10. 박경훈. 2003. 금호강 유역의 환경 특이성이 하천수질에 미치 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6(4): 85-98
  11. 박재홍, 최의소, 공동수. 2005. 수질환경척도. 한국물환경학회 109-117
  12. 배준웅, 장혜영, 송희봉, 서무룡, 하광수, 박태명. 1995. 금호강 수질의 장기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4(3): 207-220
  13. 배준홍, 이상학, 이성호. 2002. 금호강 오염의 종합적 조사. Analytical & Technology 15(1): 54-56
  14.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수계의 평가. 환경생물 19: 261-269
  15.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 및 서식지 평가지 수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평가. 육수지 34(3): 153-165
  16. 안광국. 2003. 어류군의 다변수 접근 방식에 의거한 생물보존 지수 산정에 의한 생태학적 하천 건강성 평가, 대한환경공학회 논문집 pp. 548-552
  17. 안홍규, 우효섭. 2004. 중규모 하천 생물 서식처의 특성 분석- 복하천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2(2): 102-119
  18. 양홍준, 채병수, 강영훈. 2001. 담수어를 이용한 금호강 수계의 수질판정. 한국환경과학회지 10(3): 225-231
  19. 양홍준, 채병수. 1994. 대도시 주변 하천수계의 수질환경과 육 수생물학적 연구, 금호강 수계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 조(II). 육수지 27: 177-188
  20. 양홍준. 1973. 낙동강산 어류조사. 목록과 분포에 대하여. 육수지 6: 125-141
  21. 염동혁, 안광국, 홍영표, 이성규. 2000. 어류군집을 이용한 금호 강의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평가. 환경생물 18(2): 215-225
  22. 유경아, 신재기, 공동수, 황순진. 2004. 낙동강 유역의 호수수와 하천수에 대한 조류생장 잠재력 측정, 한국물환경학회-대 한상하수도학회 공동논문집 35p
  23. 윤일병, 공동수, 류재근. 199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생물학적 수질평가 연구(II). 환경생물 10(1): 40-55
  24. 윤일병. 1990, 생물에의한 환경평가, 생물과학 심포지움 11: 21-32
  25. 이상균, 박성배,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 강우가 낙동강 하류 (물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 육수지 35(3): 160-171
  26. 이태관, 박태규. 1996. 금호강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관리. 환경과학논집 1(1): 155-170
  27. 장민호, 조가익, 주기재. 2001. 낙동강 본류의 어류상. 육수지 34(3): 223-238
  28. 정연태, 최민규, 김백호, 위인선, 이종빈. 1996. 수질오염 판정을 위한 기법 개발(I) 부착조류 군체화에 미치는 기질특이성 연구. 환경생물 14(1): 95-111
  29. 정효준, 황병기. 2002. 금호강 유역의 오염총량 관리 대책 수 립. 한국환경과학지 11(10): 1125-1131
  30. 환경부. 2000. 환경통계연감(제13호) 2000. 450p
  31. 환경청. 1987. 자연생태계 전국조사 1987-제2차년도-(I): 담수 어류/수서곤충. 450p
  32. An, K-G. 2000. The impact of monsoon on seasonal variability of basin morphology and hydrology. Korean J. Limnol. 33(4): 342-349
  33. An, K-G. 2001. Seasonal patterns of reservoir thermal structure and water column mixis and their modifications by interflow current. Korean J. Limnol. 34(1): 9- 19
  34.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35.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36.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 User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USA
  37.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USA
  38.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Gross, S.K.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 EPA. Washington. DC, USA
  39.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
  40. US EPA. 2002. Summary of biological assessment programs and biocriteria development for states, tribes, territories, and interstate commissions: streams and wadable rivers. EPA-822-R-02-048. U.S. EPA,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