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lors of Dancing Suits in Bosangmu, Cheomsumu and Heoncheonhwa

보상무, 첨수무, 헌천화 복식의 복색사상

  • 남후선 (대경대학 패션스페셜리스트과) ;
  • 김순영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 Received : 2005.06.13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court dancing suit, so-called 'Jeongjae suit', has been worn by court dancers on the occasion of the royal court's feasts or festivals such as auspicious events of a country, court banquets, and parties or receptions for national guests from foreign countries. The court dancing suits are divided into two styles; Dangak-Jeongjae style and Hyangak-Jeongjae style, depending on dancing styles.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the dancing suits of Hyangak-Jeongjae styles created in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such as Bosangmu, Cheomsumu, Heoncheonhwa, and discussed the thought of EumYang-Ohaeng(the cosmic dual forces and the five elements) that the colors of the court dancing suits imply. Generally, in the dancing suits of Bosangmu, Cheomsumu, and Heoncheonhwa, the color expression focused on the main stream of red, blue, yellow, white and black. The colors were mainly expressed in harmony between upper garments and under garments, outer garments and inner garments, a simple dress and its decorations. Especially, in the dancing suits of Heoncheonhwa, the purple color symbolized the auspiciousness of the Purple Palace where the God lives.

Keywords

References

  1. 김매자 . 김영희 (1995) '한국무용사' 삼신각, 서울, p.153
  2. 김순영 . 남윤자 . 조우현 (2004) 조선시대 복식 에 나타난 자색계 색명의 개념 적 의미. 한국의류학회지, 28(11), 1458-1469
  3. 김순영 (2005)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자색계 색명의 연상적 의미. 복식, 55(3), 1-18
  4. 김효주 (2005) '조선후기 창작정재연구 -효명세자연구-'. 두솔, 서울, p.137
  5. 나혜숙 (1996) 우리말 색채어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남후선 (1995) 한국 궁중 무용복식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남후선 . 김순영 (2005) 봉래의 . 향발무 . 학무 복식의 복색사상. 복식, 55(6), 51-61
  8. 리봉옥 (1985) '조선고전무용 -해외 우리 어문학 연구총서 115-' 한국문화사, 서울, pp.324-326
  9. 문길영 (1973) '해동철학체계'. 상당출판사, 서울, pp.70-71
  10. 성경린 (1982) '한국의 전통무용'. 일지사, 서울, pp.46-47
  11. 송방송 (2000) 조선후기 공연예술에 나타난 심미적 새 양상. 한국문화연구, 1, 41-78
  12. 장사훈 (1986) '한국전통무용연구'. 일지사, 서울, p.302
  13. 영조 20년 (1744) 進宴儀軌
  14. 영조 41년 (1765) 進宴儀軌
  15. 정조 19년 (1795) 園幸乙卯整理儀軌
  16. 순조 28년 (1828) 進宴儀軌
  17. 순조 29년 (1829) 進宴儀軌
  18. 헌종 14년 (1848) 進宴儀軌
  19. 고종 5년 (1868) 進宴儀軌
  20. 고종 10년 (1973) 進宴儀軌
  21. 고종 14년 (1877) 進宴儀軌
  22. 고종 24년 (1887) 進宴儀軌
  23. 고종 29년 (1892) 進宴儀軌
  24. 광무 5년 (1901) 進宴儀軌
  25. 광무 6년 (1902) 進宴儀軌
  26. 광무 5년 (1901 ) 연세대학교 박물관 소장 병풍
  27. 이익 (1747년 경) 星湖樓設 卷5 萬物門條 '禮疏云 金色白 金克木 木色靑 靑白間色堅 木克土 士色黃 靑黃間色綠 士克水 水色黑 黃黑間色 勳 水克火 花色赤 赤黑間色紫 火克金 赤白間色紅'
  28. 高麗史 권71 樂志, 권18 世家
  29. 樂學軌範 권 9 女妓服節
  30. 宣祖實錄 선조 39년 6월 戊申'掌樂院牌里千禮曹曰... 內當用女樂 而女妹及管絃盲人 亂後 爲革罷 非朝夕卒然可辦'
  31. 光海君日記 광해군 3년 11월 發卯 '進豊呈宴于通明戰', 戊申 '遭豊呈義註有日 女伶陳樂於願庭'
  32. 孝宗實錄 효종 8년 10월 丁丑 '楽章大壌 煩舌促 少無 和執之象...令禦官習古調…', 12월 甲申 '上進宴於慈殿'
  33. 粛宗責錬 숙종 8년 1월 内子 '設楽器造成廉 以工曹堂上一人 掌禦院 提調一人 監造永寧殿宗廟祭事万響', 32년 8월 王子 . 40년 9월 丁巳 '舞童入作初舞...舞童入作牙柏... 舞童入作響鼓... 舞童入作舞鼓... 舞童入作麿袖... 底容舞進'
  34. 純租實錄 순조 29년 2월, 6월
  35. 豊里都監儀軌 甲子 十月 初三日 '朝議時 知事李廷亀析啓 豊里儀註...臣之意前在辛亥年命婦亦皆南行坐...', 庚午 三月 初六日'同日 都監啓日 進豊里臼期巳追... 献仙桃 毒延長 金尺 鳳来儀 蓮花喜 地球楽六敷 響鉄四散 舞鼓三数 虞答舞 九呈オ落鮎'
  36. 衫本正午 (1981) 中国服色考. 衣生活硏究, 71, 26
  37. 史記 封硝書 '大神賁著太一'
  38. 尚書 夏書 권6 禹貢 '微音惟十五色...[疏 韓詩外博云 天子社債五丈 東方靑 南方赤西方白 北方黒 土胃以黄土...]'
  39. 宋史 권15 女弟子除舞候
  40. 禮記 干後 권29 '朝元端夕深衣... 衣正色裳間色... [疏 正義日... 皇氏云 正謂青赤黄白黑五力正色也 不正謂五万間色也 線紅碧紫留責是也...]'
  41. 准南子 天文訓 '紫宮著太一之居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