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Analysis of Constructed Wet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를 활용한 천변저류지 적지분석에 관한 연구

  • 하성룡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재일 (충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This study aim is to establish the suitability analysis of a constructed wetlan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 constructed wetland is a flood control reservoir that is able to control flows and conserve a preserving integrity of nature maximum. It has been did that DB construction of flood area, socioeconomic analysis, and space analysis using GIS. Achieved reiteration arithmetic function from results of several elements, it has been did analysis for possibility space of constructed wetland. Through the analysis of flood area and a constructed wetland capacity, it has been established the estimation where is possible to build wetland. This study is applied suitability analysis method where has been choose the basin of To-Phyeong river in Kyongsang-namdo with methodology presentation about suitability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천변저류지 입지선정에 대해 GIS를 활용한 적지분석 방법을 정립하는데 있다. 천변저류지는 자연의 본래의 모습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홍수조절 및 유량 확보 그리고 생태학적인 측면에서 앞으로의 설치가 확대될 가능성이 큰 조절지이다. 적지분석의 과정으로 범람지역의 DB구축, 사회 경제적 지표분석, 그리고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의 방법을 수행했다. 여러 요소들의 결과들을 GIS를 활용한 중첩연산 기능을 수행하여 천변저류지의 가능지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천변저류지 가능대상지들에 대한 저류 면적 및 저류용량에 대한 분석을 하여 천변저류지 가능 대상지들에 대하여 평가가 가능하도록 지표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적지분석에 대한 방법론 제시와 더불어 경상남도 창녕군 토평천 유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적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