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Image Shown on the Product, Brand and Advertisement of Jean Brand

전 브랜드의 상품, 상표, 광고 이미지에 관한 연구

  • Choi Hyun-Ju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Yoon-Kyou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Kyoung-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mantic structure about the image shown on the product, brand and advertisement and figuring out its features through the correlation among brand images. For the study, nine brands(Guess, Bangbang, ONG, NIX, TBJ, Levi's, OPT, FRJ, Jambangee) as subjects for investigation has been selected and divided into the image of brand(9 brands), product(108 products, 12 pieces for each product) and advertisement(9 points) by the measure of 26 adjective pairs. The survey has been collected on the subject of 540 men and women who live in around Busan city areas and has been taken the statistics. The results on investigating the semantic structures of the product images about jean brands, there are five main factors, such as, individuality, attractiveness, activeness, modernity, hardness & softness. The results on examining the semantic structures of the brand images about jean brands, the factors are attractiveness, activeness, vitality, hardness & softness, fadness. The results on investigating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advertisement images about jean brands, the factors are attractiveness, individuality, modernity, activeness. The results on the classification of brand images are presented as four groups, the first group is that brand and advertisement image are pretty similar but product image is differential according to brand and the second group, product and advertisement image are similar but brand image is differential. The third group is that product and brand image are similar but advertisement is differential and the fourth group, product, brand and advertisement are similar.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 (1994). 국내 및 외국 상표 청바지의 구매의도에 따른 평가기준과 추구 이미지 및 의복태도의 차이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8(2), 263-272
  2. 김미수, 이경희. (1995). 진 의류의 제품지각에 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19(1), 23-35
  3. 김칠순, 이훈자, 심규혜. (1998). 진 의류 마케팅 전략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2(1), 159-169
  4. 김칠순, 이훈자. (1998). 진 의류 마케팅 전략을 위한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제2보). 한국의류학회지, 22(4), 503-514
  5. 김칠순, 이훈자. (1999). IMF 이후의 신세대 진 바지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 및 추구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진의류 시장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3(3), 447-458
  6. 김효신, 이선재. (1999). 청바지 제품의 지각된 상표간 차이에 따른 상표전환의 유형과 특성. 服飾, 26, 113-124
  7. 남미우. (1988). 여대생의 자아 이미지와 선호 상표 이미지와의 일치도가 의복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문화를 통한 국가브랜드가치 제고 전략. (2003, 12). 국가브랜드경영연구소(National Brand Management Institute). 자료검색일 2005, 2. 4, 자료출처 http://fileserver.adic.co.kr
  9. 이경희.(2001). 패션감성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제1보). 한국의류학회지, 25(3), 537-547
  10. 이미현, 임숙자. (1997). 의류상품의 효과적인 TV 광고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5), 880-888
  11. 이상하. (2001). 브랜드 이미지 강화 전략에 관한 연구. 인하대 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진희, 이명희. (1995). 상표 및 의류광고 수용도에 따른 청바지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1), 13-22
  13.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 (2001). 소비자 행동: 마케팅 전략적 접근. 서울: 법문사
  14. 임정선, 임숙자. (1997). 고등학생의 상표충성에 의한 진 의류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4), 782-794
  15. 정강옥, 장대련, 장동련. (2002). 브랜드명과 심볼의 불일치 선, 제품 지식을 중심으로 한 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소비자학연구, 13(4)
  16. 정영주. (2001). Jean 제품의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조사-국내외 6대 브랜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차배근. (1992). 설득 커뮤니케이션 개론: 광고.홍보학 개설. 서울: 나남
  18. 최일경, 고애란. (1995),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 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제2보)-인식도에 의한 브랜드 이미지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19(5), 699-721
  19. 패션큰사전편찬위원회. (1999). Fashion Dictionary. 서울: (주)교문사
  20. Batra, R., & Ray, M. L. (1986). Affective responses mediating acceptance of advertis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234-249 https://doi.org/10.1086/209063
  21. Dunn, S. W. (1961). Advertising: It's role in moderal marketing.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22. Feinberg, R. A., Mataro, L., & Burroughs, W. J. (1992). Clothing and social identity.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0(4), 18-23 https://doi.org/10.1177/0887302X9201000203
  23. Fiske, J. (1989). The jeanning of america in understanding popular culture. Boston:Unwin Hyman
  24. Holman, R., & Wiener, S. E. (1985). Fashionability in clothing: A valuew and life-style perspective. In Solomon, M. R. (Ed). The psychlolgy of fashion Lexington. MA: D.C. Heath and Company
  25. Horowitz, I. A., & Kaye, R. S. (1975). Perception and advertising.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5(3)
  26. Rodger, L. W. (1965). Marketing in a Competitive Economy. Hutchinson Co
  27. Schmid, 8., & Loschek, I. (1999). 황현숙 옮김 (2001). 패션의 클래식. 서울: 예경
  28. Shimp, T. A., & Dyer, D. C. (1978). The effects of comparative advertising mediated by market position of sponsoring brand. Journal of Advertising, 3, 1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