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Tsunami Inundation Trace and it's Expectation Area in Coast Using GIS

GIS를 이용한 지진해일시 연안의 침수 흔적 및 예상 지역 분석

  • 이형석 (한중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efficient management for minimum losses and demage precautions of fragile region against coastal disasters such as seismic waves and seawater overflows is proceeding continually. This study is to analyze inundation trace and extract expected damage areas with historic records of tsunami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reat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of the Mangsang and the Nobong region in the east coast, we marked inundation record of tsunami and forecasted the flood area with a seismic wave height between 3 m and 5 m. The inundation trace layers and the expected damage areas on the cadastral map layer were superimposed individually. Consequently, the range and lot numbers of inundation expected area were calculated and inundation areas of 5 m tsunami were increased by 2.8 times than 3 m tsunami in case of subject regions. Analyzed results are expected to use evacuation work in case of seismic waves and to predict the compensation of the damaged area.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use suitable countermeasure for prevention from natural disasters.

해일, 해수범람 등 연안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취약 지역을 사전에 예방하고 최소한으로 손실을 경감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관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과거 지진해 일시 침수된 흔적과 예상되는 피해 지역을 분석하고자 한다. 동해안 연안인 망상과 노봉 지역을 대상으로 수치표 고모형을 완성한 후 과거 지진해일로 인한 침수 기록을 표시하고 향후 3m, 5m의 지진해일 내습시 침수되는 지역들을 예측하였다. 침수 흔적과 3m 및 5m의 침수예상 지역들을 지적도와 각각 중첩시켜 침수 예상에 따른 범위 및 지번을 산출하였고, 대상 지역은 5m 해일의 내습시 3m 해일보다 침수 범위가 2.8배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분석된 자료는 해일시 대피 작업 활동과 피해 보상 예측에 활용 가능하며, 자연재해 피해의 사전예방을 위해 적합한 방재대책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익범 (2005), 우리나라의 지진해일 원인 분석과 지진방재대책, 한국방재학회지, 제5권 제2호 pp. 89-93
  2. 고준환, 권재현, 최윤수 (2005), GIS를 활용한 지진 위험도 분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3권 제3호, pp. 239-249
  3. 국가지진정보시스템(NEIS) (2006), 지진해일, http://kmaneis.go.kr/
  4. 김동문, 양인태 (2003), Web GIS를 이용한 재해정보 제공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101-107
  5. 박병욱, 김철 (1997), 원격탐사 자료를이용한 자연재해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15권 제2호, pp. 237-244
  6. 박현철, 김형섭, 조명희 (2005), Web GIS를 이용한 연안위험취약지역 정보시스템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8권 제4호, pp. 155-164
  7. 백민호, 홍혜연 (2003), GIS를 이용한 재난관리체계구축에 관한 연구, 행정자치부 국립방재연구소, p. 373
  8. 신상영, 여창건, 백창현, 김윤종 (2005), GIS를 이용한 도시지역 돌발홍수 침수예상지도 작성 및 대피강우기준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제8권 제4호, pp. 71-80
  9. 양인태, 김욱남, 김재철, 박재국 (2001), GIS 분석을 통한 홍수시의 대피예보를 위한 시간 예측 -춘천시를 중심으로-, 한국측랑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211-217
  10. 원창길 (2005), 해일재해지도제작, 보고서, 동해시, pp. 16-29
  11. 유환희, 안기원, 이민우 (2001), 무선 인터넷 GIS를 이용한 도시 재해관리시스템 구축, 한국측량학회지, 제19권 제1호 pp 55-66
  12. 윤희천, 엄대용, 이용욱, 김정우 (2003), 가상 홍수 시나리오에 의한 홍수 범람 해석, 한국측량학회지, 제21권 제2호, pp. 181-189
  13. 해양수산부 (2006), 연안위험취약지역정보 http://www.coast.go.kr/
  14. 인태훈, 박구용, 조용식 (2004), 사면구조 격자에 의한 지진해일의 범람영역,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4권 제2호 pp. 71-76
  15. 首藤伸夫(1992),津波强度と被害,第9號, 津波工主要硏究報告, pp. 101-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