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ting and Fire Enduring Properties of High Strength RC Column Subjected to Axial Load Depending on Fiber Contents

중심 축하중을 받는 고강도 RC기둥의 섬유 혼입량에 따른 폭열 및 내화 성상

  • Han, Cheon-Goo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ongju University) ;
  • Hwang, Yin-Seong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ongju University) ;
  • Lee, Jae-Sam (Dept. of RC Research & Development, Doosan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 ;
  • Kim, Kyoung-Min (Dept. of RC Research & Development, Doosan Industrial Development Co., LTD.)
  • 한천구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 황인성 (청주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재삼 (두산산업개발(주) RC연구개발팀) ;
  • 김경민 (두산산업개발(주) RC연구개발팀)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experimentally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and spatting resistance of high performance reinforced concrete column member subjected to fire containing polypropylene fiber(PP fiber) and cellulose fiber(CL fiber). An increase in PP fiber and CL fiber contents, respectively resulted in a reduction of fluidity due to fiber ball effect. Air content is constant with m increase in fiber content. Compressive strength reached beyond 50 MPa. Based on fire resistance test, severe failure occurred with control concrete specimen, which caused exposure of reinforcing bar. No spall occurred with specimen containing PP fiber. This is due to the discharge of internal vapour pressure. Use of CL fiber superior to control concrete in the side of spatting resistance, localized failure at comer of specimen was observed. Corner of specimen had deeper neutralization than surface of specimen. Specimen containing PP fiber had the least damaged area due to spatting. Neutralization depth ranged between 6 and 8 mm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 containing PP fiber maintained 40%, which is larger than control concrete with 20% of residual strength. Specimen containing CL fiber had 25% or residual strength.

본 연구는 PP 및 CL 섬유 혼입량 변화에 따라 제작한 고성능 K 기둥부재를 대상으로 화재를 상정한 내화시험 후 폭열 방지 및 내화성능을 검토한 것으로, 그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특성으로, PP 및 CL섬유 혼입량 증가에 따른 유동성은 섬유의 엉킴현상 등에 의해 플레인보다 저하하였고, 공기량은 다소 증감의 차이는 있으나 모두 목표 공기량의 범위를 만족하였으며, 경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섬유 혼입량 변화에 따라 50 MPa 전후의 고강도로 나타났다. 내화시험 후 RC 기둥부재의 폭열특성으로, 섬유를 혼입하지 않은 플레인은 전체적으로 심한 파괴폭열이 발생하여 철근이 노출되었고, PP섬유를 혼입한 경우는 내부 수증기압의 효과적인 배출로 폭열이 방지되었으며, CL섬유는 플레인보다 폭열 방지효과는 있으나, 모서리 부분에서 일부 파괴폭열이 발생하였다. 또한, 내화시험 후 폭열깊이는 표면보다 모서리에서 더 깊게 나타났고, 폭열발생면적율은 폭열방지 성능과 관계하여 PP섬유를 혼입한 경우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중성화깊이는 $6{\sim}8mm$ 전후의 유사한 깊이로 나타났다. 내화시험 후 잔존 압축강도율은 PP섬유를 혼입한 경우 40% 전후로 플레인의 20% 보다 크게 나타났고, CL섬유를 혼입한 경우는 25% 전후로 플레인과 큰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池尾陽作, 高彈度コンクリ-トの耐火性能(爆裂)に關する硏究, 日本コンクリ-ト工學, 第37巻,第8號, 1999. 8, pp.53-57
  2. 吉田正友, コンクリ-トの爆熱に及ぼすコンクリ-ト内部の空隙および含水量の影響に關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概集, 199.9, pp.33-34
  3. 한천구, 양성환, 이병열, 황인성, '골재종류 및 폴리프로필렌 섬유 혼입률 변화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열 특성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논문집, 11권 5호, 1999. 10, pp.69-78
  4. 한천구, 양성환, 이병열, 황인성, '혼화재 종류 및 폴리프로펼렌 섬유의 혼입률 변화에 따른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열 특성', 한국구조물진단학회지, 4권, 1호, 2000. 1, pp.85-92
  5. 소양섭, '고성능 콘크리트의 내화성능(고강도 및 섬유보강 콘크리트)', 콘크리트학회지, 14권 2호, 2002. 3, pp.3744
  6. Sanjayan, G. and Stocks, L.J., 'Spalling of High-Strength Slica Fume Concrete in Fire', ACI Materials Journal, Vol.90, No.2, 1993, pp.170-173
  7. 西田朗, 山崎唐行, 井上秀之, '爆熱防止用ポリプロ ピレン短纖維を混入した高強度コンクリト性狀に關闘する硏究', 日本建築學會大會學術講演梗概集, 1994. 9, pp.331-338
  8. 藤中英生, 吉平章夫, 米滭敏男, 三井健郎, 'ポリプロ ピレン纖維を混入した高強度コンクリトRC柱の耐火性能', 日本建築學會學術講演梗概集, 1998. 9, pp.35 - 36
  9. 한천구, 황인성, 정덕우, 'PP섬유 혼입 및 횡구속에 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폭열 방지 성능', 대한건축학회 구조계 논문집, 19권 1호, 2003. 1, pp.61-68
  10. 오창희, 강병희, '고온수열 콘크리트의 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권 4호, 1987. 12, pp.163 -171
  11. 강병희, 오창희, '고온수열 콘크리트의 성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II)',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권 4호, 1989. 8, pp.285-292
  12. 金和中, '高温度におけるコンクリ-トの力學的擧動に關する實驗的硏究', 東京工業大學博士學位論文, 1988. 3, pp.285-292
  13. 송훈, 형원길, 도정윤, 소양섭, '고강도 실리카 품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함수율에 따른 폭열특성', 대한건축학회 구조계 논문집, 20권 9호, 2004. 9, pp.111 - 118

Cited by

  1. State-of-the-Art Research and Experimental Assessment on Fire-Resistanc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Concrete vol.18, pp.3, 2014, https://doi.org/10.11112/jksmi.2014.18.3.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