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Temperature Rising on the Distribution of Plant - in Case of Bamboos and Garlics -

우리나라에서 기온 상승이 식생분포에 미치는 영향 - 대나무와 마늘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05.11.06
  • Accepted : 2006.01.19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Global warming brings about changes of diverse environmental, especially changes of plant distribu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ture rise and changes of northern limit of vegetation growth in Korea. Bamboos (Phyllostachys) and boundary between the northern type and southern type of garlic (Allium sativum L.) were selected. The data of the distributions of bamboos and garlic are collected by field survey and interviews. Temperature is analyzed from 1904 to 2000. The northern limit of Phyllostachys moves 60-100 km northward, for about 100 years, the period of 1907-2003 and mean temperature of Korea increases about $2^{\circ}C$ during the same period. It means that the northern limit moves 30-50 km northward, for each $1^{\circ}C$ rising of January mean temperature. The boundary between the northern type and southern types of garlic moves northward 40-140 km from 1980s to 2000. The moving width is broad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ile the width is narrow in the inland and mountain regions. The mean moving width is about 100 km.

Keywords

References

  1. 공우석, 1985, 한반도의 대나무류 분포와 그 환경요인에 관한 식물지리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8, 89-98
  2. 공우석, 2001, 대나무의 시.공간적 분포역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36, 444-457
  3. 기상연구소, 2002, 기후 변화협약대응 지역기후시나리오 산출기술개발(I), 기상연구소
  4. 문영수, 1990, 클러스터분석에 의한 한국의 강수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26(4), 203-215
  5. 박원규, 최덕규, 김영근, 2001, 마늘파종기 개발에 관한 연구(I) -마늘의 파종실태 및 물리적 특성 조사-,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6(6), 495-502
  6. 윤성호, 임정남, 이정택, 심교문, 황규홍, 2001, 기후 변화와 농업생산의 전망과 대책, 한국농림기상학회지, 3(4), 263-274
  7. 윤진일, 2002, 우리나라의 기온상승-도시효과인가 지구온난화인가, 한국농림기상학회지, 4(1), 58-63
  8. 이명인, 강인식, 1997, 한반도의 기온 변동성과 온난화, 한국기상학회지, 33(3), 429-443
  9. 이승호, 2003, 우리나라의 동.서해안의 기온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9(1), 43-57
  10. 이승호, 이경미, 2003, 기온 변화에 따른 벚꽃 개화 시기의 변화 경향, 환경영향평가학회, 12(1), 85-99
  11. 이우승, 1994, 한국의 채소, 경상북도대학교 출판부, 532pp.
  12. 임양재, 1973, 한반도 수종의 수직적 분포에 관한 기후학적 연구, 중앙대 문화 연구논집, 18, 159-170
  13. 임양재, 1991, 한국의 식생과 기후환경, 식물의 환경 적응과 생태 기술, 1991 한국식물학회 및 한국생태학회 심포지엄 및 워크샵
  14. 충청북도기술원, 2000, 난지형 마늘 고위도 및 내륙지역 재배실태 조사, 152-521
  15. 하경자, 하은호, 류철상, 전은희, 2004, 1909년 이후의 우리나라 4대 도시의 기온 경향과 극한 기후, 한국기상학회지, 40(1), 1-16
  16. 植木秀幹, 1932, リギダマツの一般, 近澤出版部
  17. Houghton, J. T., L. G. Meira Filho, B. A. Callender, N. Harris, A. Kattenberg and K. Maskell, 1996, Climate cha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econ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572pp.
  18. Houghton, J. T., Y. Ding, D. J. Griggs, M. Noguer, P. J. van der Linden, X. Dai, K. Maskell and C. A. Johnson,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gne, 881pp.
  19. Jung, H-S, Y. Choi, J-H. Oh, and G-H. Lim, 2002, Recent trend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over South Korea, Int. J. Climatology, 22, 1327-1337 https://doi.org/10.1002/joc.797
  20. Lautensach, H., 1988, Korea; A Geography based on the author's travels and literature, Springer-Verla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