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Analysis of GIS-based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GIS기반 수변구역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 이근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 황의호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수자원환경연구소)
  • Received : 2005.12.06
  • Accepted : 2006.01.27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Geology and terrain of Imha basin has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so much soil particles flow into Imha reservoi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 water when it rains a lot. Especially, since the agricultural area of Imha basin is mainly located in river boundary, Imha reservoir has suffered from turbid water by soil eros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imate the influence of soil erosion to establish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for the reduction of turbid water. By applying GIS-based RUSLE model, this study can acquire 12.23% that is the ratio of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and is higher than area-ratio (9.95%) of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This is why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27.24%)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is higher than the area-ratio of agricultural district (14.96%) in Imha basin. Also as the result of soil erosion in sub-basin, Daegok basin shows highest soil erosion in water-pollutant buffering zone, second is Banbyeon_10 basin and last is Seosi basin.

임하호 유역은 지질 및 지형이 토사유실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강우발생시 많은 토사가 호소로 유입되어 고탁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임하호유역의 농경지가 주로 하천주변에 분포하고 있어 강우시 토사유실로 인한 탁수발생이 큰 지역이다. 따라서, 탁수저감을 위한 수변구역의 체계적인 관리와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수변구역에서 발생하는 토사유실량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 기반 RUSLE 모형을 선정하여 수변구역에서의 토사유실 비율을 평가한 결과 약 12.23%로서 임하호 전체유역과의 면적비율(9.95%) 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수변구역 주변의 농경지비율(27.24%)이 전체유역에 대한 농경지비율(14.96%) 보다 높은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소유역별 분석결과를 볼 때 수변구역중 대곡천 유역이 가장 높은 토사유실량 분포를 나타냈으며, 반변천_10 그리고 서시천 순서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경훈 (2003) GIS 및 RUSLE 기법을 활용한 금호강 유역의 토양침식 위험도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6권 제4호, pp. 24-36
  2. 윤호석(2001) GIS를 이용한 합리적 수변구역 실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3. 신계종 (1999) 지형공-정보체계를 이용한 유역의 토양유실분석,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대학원
  4. 이근상, 전형섭, 임승현, 조기성 (2002) GIS 기반 Voronoi Diagram 을 이용한 하천인식 DEM 생성에 관한 연구, 한국GIS학회지, 한국GIS학회, 제 10권 제3호, pp. 439-454
  5. 이근상, 박진혁, 황의호, 고덕구 (2004) GIS 기반 토사유실모델을 이용한 저수지사면의 토사유실 영향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7권 제3호, pp. 108-117
  6. 이근상, 조기성 (2004)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12권 제4호, pp. 75-81
  7. 이환주(2002) GSIS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토양침식 잠재성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대학원
  8. 장영률 (2003) GIS와 RS를 이용한 토양침식의 정량화,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9. 한국수자원공사 (2003) 임하다목적댐 관리연보
  10. Desmet, P.J. and G. Govers (1996) A GIS procedure for the automated calculation of the USLE LS factor on topographically complex landscape unit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51, No.5, pp. 427-433
  11. Dissmeyer, G.E. and G.R. Foster (1981) Estimating the cover management factor in the USLE for forest condition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36, No.4, pp. 235-240
  12. Erickson, A.J. (1997) Aids for estimating soil erodibility - K value class and soil loss toleranc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Soil Conservation Service. Salt Lake City of Utah
  13. Nearing, M.A. (1997) A single, continuous function for slope steepness influence on soil loss, Journal of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Vol. 61, No.3, pp. 917-919 https://doi.org/10.2136/sssaj1997.03615995006100030029x
  14. Renard, K.G, G.R. Foster, G.A. Weesies and P.J. Porter (1991) RUSLE :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46, No.1, pp. 30-33
  15. Wischmeier, W.H. (1971) A soil erodibility nomograph for farmland and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Soil and Water Conservation, Vol. 26, pp. 189-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