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for Methodology of Design of Emergency Lightings by Using Space Syntax Theory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지하공간 비상유도등의 효율적인 위치선정 방법론 검토

  • 원슬기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 김영욱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 최안섭 (세종대학교 건축공학과)
  • Published : 2006.12.31

Abstract

The emergency lighting plan for underground space should be done with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In terms of utilizing the Depthmap program from the Space Syntax theory, it is possible to analyze space quantitatively. Integration and intelligibility are major induces of this theory and we can use them as emergency lighting design parameters. For this study, human behaviors and survivor's evacuation routes in fire emergencies a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ology of emergency lighting plan in underground space.

지하공간은 화재를 비롯한 재난이 발생했을 때 지상공간에 비해 더 큰 위험이 따르므로 비상유도등 설계시에 공간의 특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공간구문론의 뎁쓰맵(Depthmap) 프로그램은 공간의 정량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이를 통해 개구부의 위치 등 평면 구성에 따른 공간의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지하공간 비상유도등의 위치선정 방법론을 검토하기 위해 화재발생시 나타나는 인간 행동의 특징을 파악하고 복잡한 공간에서 생존자득의 피난경로를 선택하는 방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간구문론으로 분석된 특정 공간에 이상의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천편일률적인 설치가 아닌, 공간의 구조를 고려한 비상유도등의 효율적인 위치선정 방법론을 검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홍원화, 대구지하철 화재시 피난자 행동유형 분석을 통한 지하공간안전피난대책에 관한 연구, 2005. 대한건축학회학회지논문집. 제21권 1호
  2. 이상준외 3, 대형할인매장의 화재시 피난에 관한 연구
  3. 이윤석, 커뮤니티 시설로서의 센다이 미디어테크의 활성화 방법에 대한 연구, 2004. 공학석사학위논문
  4.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5.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
  6. 김종석, 지하상가의 화재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 2004
  7. 이원석, 화재시 지하공간의 피난시설계획에 관한 연구, 1989
  8. 이경회, 건물 화재시 재실자의 피난형태 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1988. 대한건축학회학회지논문집, 제4권 4호
  9. 박재성, 대규모 미로형 다중이용공간에서의 피난경로선택 특성에 관한 연구, 2004. 대한건축학회학회지논문집. 제20권 9호
  10. 홍원화, 지하공간화재시 비상 유도등 성능평가를 통한 피난유도효율 향상에 관한 연구, 2005.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5권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