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f the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the College of Education and their Improvement Plans

사범대학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 김종희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학부) ;
  • 이기영 (한성과학고등학교)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urrent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in the four fields of teaching profession theory: student-teacher practice, subject lesson education, and subject content education.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In case of teaching profession theory, too much emphasis is put on pedagogical theory over practical issues, and a problem arises upon completion. Therefore, it is sugguest that teaching profession theory might be completed before subject lesson education to ensure more authentic subjects performing teaching profession. The current term for student-teacher training is too short to understand the whole school system. Current school system does not have any off-job training course or internship system. Therefore, student-teacher training term should be increased by at least $3{\sim}6$ months to play a vital role in the current system. The credit number of subject lesson education is too small compared with subject content education. Consequently, the credit number of subject lesson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and more professor majored in subject lesson education should be recruited. Significant deviation between the content of subject content education and that of middle school grade exists, and there is also much difference in the ratio of subject according to university. To get rid of these problems, subject content education should be connected with subject lesson education and appropriate number of credit needs to be assigned to each subject domain.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의 현행 지구과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을 크게 교직 이론, 교육 실습, 교과 교육학, 교과 내용학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교직이론의 경우는 교육학 이론 학습에 치중하고 있어 실제성이 떨어지며, 교과 교육학 선수 학습 교과로서 이수 시기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과목간 연계성 유지를 위해 교직 이론을 교과 교육학 이전에 이수하도록 하며, 되도록이면 현장성이 강한 교직 이론 과목을 이수하도록 권장하여야 할 것이다. 교육 실습의 경우는 교육실습 기간이 외국에 비해 짧으며, 신규 교사를 위한 별도의 업무 외 연수과정이 없고 인턴제도나 직무 연수 프로그램이 미흡한 현재의 교사 양성 교육과정 체제에서는 교육 실습이 이런 역할을 대신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학교 시스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 교육 실습 기간을 최소$3{\sim}6$개월 이상으로 늘려야 할 필요가 있다. 교과 교육학의 경우는 우선 교과 내용학에 비해 할당된 과목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그러므로 교과 교육학 과목의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지구과학 교과 교육 전공 교수의 확보가 필요하다. 교과 내용학의 경우, 다루는 내용이 중등학교 교육 과정과 동떨어진 면이 있으며 대학별로 개설 강좌의 영역별비율에서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교과 교육학 강좌와 교과 내용학 강좌를 연계시켜 개설하고, 각 영역별 기본 이수 학점을 적정 비율로 할당하는 방법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는 것을 알 수 있다.충분한 해상도로 인한 경우가 3예(12%), 이전 바륨 검사에 의한 잔존 바륨의 beam harding artifact로 복막파종을 놓친 경우가 2예(8%), 경구 조영제가 미충만된 위장관과 인접 전이성 결절을 오인한 경우가 1예(4%)였다. 판독인자로는 인접 장기와의 지방면 소실을 간과한 경우가 10예(40%), 경미한 복막비 후나 파종을 간과한 경우가 6예(24%), 장간막의 림프절 종대를 간과한 경우가 3예(12%)였다. 결론: 복강 내 지방 조직의 결핍, 불충분한 해상도의 CT, 판독 과정에서 경미한 복막파종이나 인접 장기와의 지방면 소실의 간과 때문에 CT에 의한 수술 전 병기결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그 중 판독인자에 의한 것이 가장 많은 원인이 되므로 적절한 영상 관리와 함께 세심한 판독이 매우 중요하겠다.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Waf1/Cip1}(+)/p27^{kip1}(+)$인 경우에 T1-2 (87.5%)가 많았고 $p21^{Waf1/Cip1}(-)/p27^{kip1}(-)$인 경우에는 T3-4(58.1%)가 많았다(P<0.05). 또한 Lauren 분류에서는 $p21^{Waf1/Cip1}(+)/p27^{kip1}$인 경우가 장형 (100%)에서만 나타났으며(P<0.05), $p21^{Waf1/Cip1}(-)/p27^{kip1}(-)$인 경우는 미만형인 경우(87.0%)가 장형(54.9%)의 경우보다 많은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개혁위원회, 1998, 21세기 한국교육의 발전 지표. 교육개혁위원회, 서울, 187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5,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양성과, 212 p
  3. 김동영, 2006, 과학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기 진단 프로그램 연구: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9 p
  4. 김상달, 1991, 지구과학 수업에 있어서 개별화 방략의 개발과 그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4 p
  5. 김혜숙, 2003, 교원 '전문성'과 '질'의 개념 및 개선 전략 탐색. 교육학연구, 41(2), 93-114
  6. 백성혜, 1995, 사범대학 화학교육 교육과정에 대한 제언. 화학교육, 22(4), 198-206
  7. 손충기, 2004, 사범대학 교육과정 편성.운영방법 개발을 위한 교사의 요구 분석 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251- 271
  8. 이규호, 김성하, 1996, 생물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비교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4(1), 87-99
  9. 이창진, 2003, 지구과학의 정체성과 학문 분류. 한국지구과 학학회지, 24(7), 650-656
  10. 이학동, 1989, 중학교 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9(1), 1-17
  11. 이화국, 1985, 화학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의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과학교육연구논총, 10(1), 63-76
  12. 이화국, 1992,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교과교육 평가 요목에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3), 1-16
  13. 이화국, 김창식, 1990, 과학교육 모듈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2), 25-37
  14. 정진우, 1992, 교과교육학의 한 영역으로서 지구과학교육학의 이론과 실제. 한국지구과학회지, 13(1), 84-93
  15. 정진우, 우종옥, 김찬종, 임청환, 이연우, 소원주, 정남식, 이경훈, 이항로, 홍성일, 윤선진, 정철, 박진홍, 1999, 지구과학교육론. 교육과학사, 서울, 422 p
  16. 조희형, 이문원, 이칭찬, 1985, 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과 운 영에 대한 모델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99- 112
  17. 홍영란, 2003, 2003년도 평가를 통해서 본 사범대학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7 p
  18. Lee, H., 2002, A case study of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Earth systems approach.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314 p
  19. Magnusson, S., Krajcik, J., and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CK. In Gess-Newsome J., and Lederman N.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95-132
  20. Shulman, L.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2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