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ew on the Stratigraphy and Geological Age of the Hominid Footprints-bearing Strata, Jeju Island, Korea

남제주 사람 발자국 화석을 포함한 지층의 층서와 지질 연대에 대한 고찰

  • 김경수 (충북과학고등학교) ;
  • 김정률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6.04.28

Abstract

On the basis of field observation, geology of the footprints site consists of the Kwanghaeak Basalt, unnamed strata, Songaksan Tuff, Hamori Formation, and Sand Dune, in ascending order at the Hamori-Songaksan area and the Kwanghaeak Basalt, the hominid footprints-bearing strata, and Dune Sand are consisted in ascending order at the Sagaeri area.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that the Hamori Formation overlies the Songaksan Tuff, age dating results, and geologic sequence observed in the field, the strata containing hominid footprints are not correlated with the Hamori Formation but the unnamed strata, though the strata are shown as the Hamori Formation in the geologic map. It seems to be more reasonable that the geologic age of the footprints-bearing strata is thought to be around ca 15,000 yrs B.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14}C$ dating.

송악산과 사람 발자국 화석지 주변에서 측정된 절대 연대 측정 결과와 야외 지질 조사를 근거로 할 때,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층서는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 송악산 응회암, 하모리층 및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사계리 지역은 하부로부터 광해악 현무암, 사람 발자국 화석 산출 지층 그리고 사구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모리층은 송악산 응회암이 형성된 후 퇴적된 지층이라는 규정과 절대 연령 측정 결과 및 현지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사람 발자국 화석이 산출되는 지층은 하모리-송악산 지역의 송악산 응회암층 상부에 놓이는 하모리층이 아니라 하부에 분포하는 명명되지 않은 퇴적층과 대비된다. 따라서 사람 발자국 화석의 형성 시기는 $^{14}C$ 측정 결과인 약 15,000년 전으로 해석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기화, 조등룡, 김정찬, 2000, 모슬포.한림도폭 지질보고서. 한국자원연구소, 56 p
  2. 박기화, 진재화, 조등룡, 홍완, 김주용, 남욱현, 2005, 남제주 해안 사람 발자국 화석 지질연대 측정. 남제주군, 136 p
  3. 박용안, 공우석, 강영복, 김연옥, 김주용, 김태호, 박경, 박선주, 박승필, 박원규, 박희두, 배기동, 오건환, 우한준, 윤순옥, 이연규, 임동일, 장순근, 장진호, 장호, 정영화, 제종길, 조화룡, 최성길, 한영희, 황상일, 2001, 한국의 제4기 환경-제4기 환경과 인간. 서울대학교출판부, 서울, 564 p
  4. 손영관, 2003, 제주도 수성화산체의 형성과정. 제주화산연구소 개소기념 제1회 학술심포지엄 논문집, 제주화산연구소, 52-56
  5. 손영관, 2004, 제주도의 수성화산활동과 제4기 퇴적작용. 대한지질학회 춘계학술답사 안내서: 제주도의 화산암과 화산활동, 대한지질학회, 3-15
  6. 윤선, 정차연, 송시태, 양경희, 2001, 제주도 백록담 분화구 벽의 구성암석. 한국고생물학회 제17차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18
  7. 윤선, 정차연, 송시태, 현원학, 2002, 제주도 형성사에 있어서 탐라층의 의의. 한국고생물학회 제18차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17-18
  8. 윤선, 정차연, 송시태, 현원학, 2003, 제주도 한라산: 융기산체. 제주화산연구소 제1회 학술심포지엄 논문집, 7-14
  9. 윤선, 현원학, 정차연, 2005, 제주도 한라산의 지질. 대한지질학회지, 41, 481-497
  10. 이연규, 2005, 한국 남해해역 패류군집에서 나타나는 시간평균화 현상과 최종 빙하기 이후 해수면 변동. 한국지구과학회지, 26, 541-550
  11. 조등룡, 박기화, 진재화, 홍완, 2005, 제주도 하모리층에 발달하는 사람 발자국의 형성시기. 한국암석학회지, 14, 149-156
  12. 최성자, 최위찬, Walter, C. R., 2004, 제주도 홀로세 해안단구의 Reconnaissance와 제주 발자국 화석의 소고.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307-309
  13. 최정헌, 정창식, 장호완, 2004, 석영을 이용한 OSL(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ce) 연대측정의 원리와 지질학적 적용. 대한지질학회지, 40, 567-583
  14. 황상구, 2002, 남제주 송악산 및 응회환 화산체. 원종관, 손인석, 지질.광물 문화재 정밀 조사 보고서. 문화재청, 대전, 115-146
  15. Burroughs, W. J., 2005, Climate change in prehistory: The end of the reign of chao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56 p
  16. Cheong, C. S., Choi, J. H., Shon, Y. K. and Jeong, G. Y., 2005, optical dating of Holocene volcanism in Jeju Island, Korea. LED 2005 abstract volume, p. 41
  17. Chough, S. K. and Sohn, Y. K., 1990, Depositional mechanics and sequences of base surges, Songaksan tuff ring, Jeju Island, Korea. Sedimentology, 37, 1115-1135 https://doi.org/10.1111/j.1365-3091.1990.tb01849.x
  18. Duller, G. A. T., 2004, Luminescence dating of Quaternary sediments: recent advances. Journal of Quaternary Science, 19, 183-192 https://doi.org/10.1002/jqs.809
  19. Feng, Y., 1983, Since 40 Ka sea-level change and lowest sea level. East China Sea, 1, 36-42
  20. Godfrey-Smith, D. I, Huntley, D. J. and Chen, W. H., 1988, Optical dating studies of quartz and feldspar sediment extract. Quaternary Science Reviews, 7, 373-380 https://doi.org/10.1016/0277-3791(88)90032-7
  21. Kim, J. Y., Kim, K. S., Park, S. I. and Shin, M. K., 2004,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Quaternary Footprints of Hominids and Other Vertebrates. Namjejugun, Jeju, Korea, 175 p
  22. Park, S. C., Yoo, D. G., Lee, C. W. and Lee, E. I., 2000, Last glacial sea-level changes and paleogeography of the Korea (Tsushima) Strait. Geo-Marine Letters, 20, 64-71 https://doi.org/10.1007/s003670000039
  23. Sohn, Y. K., Park, J. B., Khim, B. K., Park, K. H. and Koh, G. W., 2002, Stratigraphy, petrochemistry and quaternary depositional record of the Songaksan tuff ring,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19, 1-20 https://doi.org/10.1016/S0377-0273(02)00302-5
  24. Suk, B. C., 1989, Sedimentology and history of sea level changes in the east China sea and Adjacent seas. In Taira, A. and Masuda, F. (eds.), Sedimentary facies in the active plate margins. Terra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Tokyo, 215-221
  25. Yoon, S., Jung, C. Y., Song, S. T. and Hyun, W. H., 2002, Mt. Halla, the main body of Jeju Island, Korea: an uplifted edifice.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New Concepts in Global Tectonics (NCGT), La Junta, Colorado, USA, 165-170
  26. Waelbroeck, C., Labeyrie, L., Michel, E., Duplessy, C., McManus, J. F., Lambeck, K., Balbon, E. and Labracherie, M., 2002, Sea-level and deep water temperature changes derived from benthic foraminifera isotopic records. Quaternary Science Review, 1, 295-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