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and Fecal-Origin Bacterial Group in Seawater and Sediments near Samcheonpo Bay

삼천포만 인근해역과 저질토에서 종속영양세균과 분변성 기원 세균의 분포

  • Park, Suhk-Hwan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Lee, Geon-Hyoung (Department of Biolog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unsan National University)
  • 박석환 (군산대학교 자연대학 과학기술학부) ;
  • 이건형 (군산대학교 자연대학 과학기술학부)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Distribution of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E. coli, and Salmonella and Shigella in seawater and sediments at 40 stations near Samcheonpo Bay were measured for 3 times from July to December, 2003.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in seawater during survey periods were in the range of $1.7{\pm}0.9{\times}10^3{\sim}2.4{\pm}0.9{\times}10^5$ CFU $mL^{-1}$ and the highest density was shown at St. 34 during the sampling period of September, 2003. Population densities of heterotrophic bacteria were shown higher values on September than those of July and December at all sampling stations. Population densities of anaerobic heterotrophic bacteria in sediments during survey periods were in the range of $2.2{\pm}0.2{\times}10^3{\sim}2.0{\pm}0.2{\times}10^5$ CFU $mL^{-1}$ and their population densities at sampling stations far from Samcheonpo Bay measured lower values than those near Samcheonpo Bay. Population densities of anaerobic heterotrophic bacteria in the sediments were not affected by physico-chemical factors of upper water environment. E. coli were detected only at 8 stations in seawater and 4 stations in the sediments among 40 sampling stations on July and were not detected during September and December. Salmonella and Shigella were detected only a few stations on July and September during sampling periods.

본 연구는 경상남도 사천시 삼천포 항을 중심으로 인근의 40개의 조사정점을 선정하여 해수와 저질토에서 해양종속영양세균, E. coli, 그리고 Salmonella와 Shigella의 분포를 2003년 7월부터 12월가지 3차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기간(2003년 $7{\sim}12$월)중 삼천포만 인근해역의 조사정점에서 해양 종속영양세균의 분포는 $1.7{\pm}0.9{\times}10^3{\sim}2.4{\pm}0.9{\times}10^5CFUmL^{-1}$의 범주에서 변화하였으며, 정점 34에서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9월이 7월과 12월에 비해 모든 정점에서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저질토에서 혐기성 세균의 분포는 $2.2{\pm}0.2{\times}10^3{\sim}2.0{\pm}0.2{\times}10^5CFUg^{-1}dry$ wt.의 범주에서 변화하였다. 혐기성 세균의 경우 외해 정점에서는 내만에 위치한 정점들보다 년 중 낮은 균체수를 유지하고 있어 물리, 화학적인 환경요인들에 의해 별 영향인 없음을 알 수 있다. E. coli의 분포는 해수의 경우, 7월중에만 사천만 인근(St. 1, 2, 3, 4),진주만과 창선도 인근 (St. 15, 23, 31), 삼천포항 인근(St. 14)에서 검출되고 9월과 12월에는 전 정점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저질토의 경우, 7월에 사천만 인근(St. 1, 2)과 창선도 인근(St. 16, 31)에서만 검출 되었다. Salmonella와 Shigella의 분포는 해수와 퇴적토에서 7월과 9월에 일부 해역에서만 검출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성, 이우범, 주현수, 이제철, 조재위, 전순배, 이성우, 박종천. 2000. 강진만 생태계에서의 이화학적 특성과 미생물군집의 계절적 분포. 미생물학회지. 36:285-291
  2. 김말남, 임아현, 이진환, 검종만. 2004. 통영 바다목장 해역의 종속영양세균의 계절적 변화. 환경생물. 22:75-82
  3.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2001a. 삼천포화력 건설 및 가동으로 인한 해양영향조사보고서 (상). pp.25-29
  4. 부경대학교 해양과학공동연구소. 2001b. 삼천포화력 건설 및 가동으로 인한 해양영향조사보고서(하). pp.59-69
  5. 이건형. 2001. 인천만 인근해역의 미생물학적 조사(미발표)
  6. 이건형, 김재원, 김정희. 1994. 군산인근 해역에서 종속영양세균의 분포, 평균체적 빛 세포의 효소활성력. 한국생태학회지. 17:79-90
  7. 이인규 외 9인. 1992. 발전소 가동이 주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연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종합연구소
  8. APHA. 1989.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pp.961-963. 17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9. Austin B. 1988. Marine Microbiology. pp.31-41. 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New York, New Rochelle, Melbourne
  10. Colwell RR and JD Walker. 1977. Ecological aspects of microbial degradation of petroleum in the marine environment. Crit. Rev. Microbiol. 5:423-445 https://doi.org/10.3109/10408417709102813
  11. Lee GH, SJ Kim, WH Lee and DM Lee. 1990. Seasonal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trophic marine bacteria in the intertidal zone near Kunsan of Yellow Sea, Korea. Kor. J. Microbiol. 25:415-420
  12. Munn CB. 2004. Marine Microbiology (Ecology & Application). pp.183-195. BIOS Scientific Publishers, London and New York
  13. Rheinheimer G. 1985a. Aquatic Microbiology. pp.63-93. New York, Brisbane, Toronto
  14. Rheinheimer G. 1985b. Aquatic Microbiology. pp.119-127. John Wiley & Sons, Chichester, New York, Brisbane, Toronto
  15. Tagger S, A Bianchi, M Julliard, J Le Petit and B Roux. 1983. Effects of microbial seeding of crude oil in seawater in a model system. Mar. Biol. 78:13-20 https://doi.org/10.1007/BF003929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