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Focusing on the late Joseon Period of Korea and the Edo Period of Japan-

동양 미학적 관점에 의한 한, 일 여성 전통 복식의 미적 특성 고찰 -조선 후기와 에도(강호(江戶))시대 여성복식을 중심으로-

  • Lee Jin-Mi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Women's University) ;
  • Kim Min-J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7.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view for the analysis of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dres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of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view for the aesthetic analysis of dress from the viewpoint of oriental aesthetic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spirit of human, culture and the external form of dress. Based on this consideration, the viewpoints for the analysis of dress formation were the 'Form' as the basic structure of the external formation of dress and 'the Ornamentation' as the emphasis of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dress. The common world view shared by Korea and Japan holds the thinking system that everything is created from 'not to bee(無)' to 'being(有)'. This view emphasizes the totality and circulation of energy called 'Ki(氣)'. According to this view, oriental culture has been developed by intuition and pleasure called 'Heung(興)'. Therefore, the form of the oriental culture includes ambiguity and emphasizes the total harmony. Thes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dress as the design of ambiguity, asymmetry and concealment. The meaning of the ornamentation in oriental world was the unified harmony of diversity and the colors and patterns of oriental dress were used by the symbolic meaning of Yin-Yang & Wu-Shing (陰陽五行)s principles. On the basis of the world view of the Ki,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commonly shared the aesthetic values of concealment, emptiness, and symbolism. Also, their costumes expressed the difference, especially in the ornamentation. Korean costume expressed the beauty of simplicity and naivety, and Japanese costume expressed the beauty of ornamentation and nonornamentatIon.

Keywords

References

  1. 홍준화(2003). 조형예술에 있어 형식형성의 미학적 과제. 미학.예술학연구, 18(Dec). p. 202
  2. 張 法 저, 유중하 외 역 (1999).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서울: 푸른숲, P. 36
  3. 이상우(1999). 동양미학론. 서울: 시공사, p. 136
  4. 張 法(1999).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서울: 푸른숲, p. 38, pp. 41-42
  5. 張 法(1999).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서울: 푸른숲, pp. 46-48
  6. 張 法(1999).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서울: 푸른숲, pp. 52-53, pp. 284-286
  7. 張立文 저, 김교빈 외 옮김(2004). 기의 철학. 서울: 예문서원. pp. 58-60
  8. Worringer. W., 권원순 역(1982). 추상과 감정이입. 대구.계명대 출판부. p. 69
  9. 張 法 (1999).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서울: 푸른숲, pp. 281-282
  10. 양재학(1986). 書經洪節思想의 考察.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3
  11. 송갑준(2001). 음양오행설의 사유체계. 경남대학교 人文論叢, 14, pp. 113-114
  12. 張立文(2004). 기의 철학. 서울: 예문서원, pp. 97-98
  13. 조요한(1999). 韓國美의 照明. 서울: 열화당, pp. 35-55
  14. 금기숙(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김영자(1990). 禮義觀을 통해서 본 한국복식미의 특성 연구. 비교민속학, 6(1). pp. 93-113
  16. 최세완(1992).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3-59
  17. 김윤희(1990).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7-118
  18. 임영자, 유순례(2000). 한국인의 미의식 변천과정과 복식미의 특징에 관한 연구. 服飾, 50(8), pp. 57-66
  19. 최선은(2001). 조선후기와 江戶(에도)시대 전통복식의 조형적 특성 비교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6
  20. 윤보연(2001). 현대패션에 반영된 전통 미의식 연구: 한국과 일본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요한(1995). 예술철학. 서울: 경문사, p. 193
  22. 백기수(1984). 美學序說. 서울: 서울대 출판부, pp. 149-168
  23. 양취경.김효진(2001). 전통 미의식적 관점에서 본 요지 야마모토의 작품세계연구. 생활문화연구, 15, 성신여대 생활문화연구소, pp. 1-31
  24. 채금석(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꾸밈 미학. 服飾, 54(3), pp.113-127
  25. 채금석(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반꾸밈 미학. 服飾, 54(8), pp. 129-146
  26. 柳田聖山, 한보광 역(1995). 禪과 일본문화. 서울: 불광출판사, p. 41
  27. Leonard Koren(1984). New Fashion in Japan. Tokyo: Kodansha, p. 52
  28. 채금석(2004). 현대 일본 패션에 내재한 꾸밈 미학. 服飾, 54(3), pp. 116-117
  29. 쓰지 노부오, 이원혜 역(1996). 일본미술 이해의 길잡이. 서울: 시공사, p.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