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Multi-sensory Preferences and Image Influences of Outdoor Leisure Spaces

옥외여가공간의 다중감각 선호 및 이미지 영향력 연구

  • Yun Hee-Jeong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Im Seung-B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희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Multi-sensory design results from sensory design paradigm and image centricism, which stimulates 5 sensation; visual, auditory, haptic, smell and taste sensation when we experience environment. This is helpful for designing outdoor space considering integrated sensation not only visual and auditory sensation as well as for improving visitor's satisfaction. Therefore, this study mainly intended to analyse the multi-sensory preference and the image influence of outdoor leisure space. For these purpose, this study selected 3 leisure spaces around Seoul city; Gwan-ak mountain(the type oriented natural resource), Insa-dong(the type oriented cultural resource) and Seoul land as theme park(the type oriented facility) and a survey was performed with a total of 204 visitors at the above spaces in winter and summ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visual sensation was evaluated most high at 3 outdoor leisure spaces in both winter and summer. Visitors at Gwan-ak mountain and Seoul land prefer visual and haptic sensation, but visitors at Insa-dong prefer visual and haptic sensation in summer, visual and taste sensation in winter. Above all, this study led the designer to consider diverse sensation to access leisure space, especially haptic sense, which can be an effective design strategy to satisfy visitors.

Keywords

References

  1. 권영걸(2004) 색채계획과 디자인. 서울: 도서출판 국제
  2. 김광득(2003) 21세기 여가와 현대사회. 서울: 백산출판사
  3. 노형진(2001) 한글 SPSS 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서울: 형설출판사
  4. 민정희(2003) 소리환경을 도입한 공감각적 환경만들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석희 (2002) 신관광자원론. 서울: 일신사
  6. 변재상, 정수정, 임승빈(1999) 도시가로경관요소가 시각적 선호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2) 9-18
  7.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 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서주환, 성미성(2001)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소리의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29(3): 10-18
  9. 서주환, 성미성(2003) 청각정보와 경관의 선호도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한국조경학회지 31(4): 49-56
  10. 서주환, 박태희, 허준(2004) 도시가로 경관에 있어 환경조형물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2(1): 57-68
  11. 신지훈(2003) 도시경관계획 지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2. 윤양수, 김의식(2002) 레져행태변화와 여가공간 조성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보고서
  13. 윤희정(2006) 녹색관광마을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한 CI 통합 계획. 한국조경학회지 34(2): 72-79
  14. 이선화, 김유일, 서주환(1998) 도시환경의 이미지 및 시각적 선호도에 관한 연구-도시업무용 건물의 외부공간을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6(3): 134-142
  15. 이승구(2002) 도시기혼여성의 레저활동 참여제약과 레저활동 활성화를 위한 연구. 경영과학연구 28: 145-165
  16. 이태희, 임승빈(1987) 쌍체비교기법을 통한 중정의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4(3): 3-19
  17. 이현택, 이정(1994) 서원 중정공간의 폐쇄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21(4): 101-111
  18. 임승빈(1987) 시각적 질의 계량적 측정기법에 관한 연구. SBE 기법의 일반화. 한국조경학회지 15(2): 91-100
  19. 임승빈(1992) 도시환경과 환경심리. 도시문제 27: 9-21
  20. 임승빈(2001) 환경심리행태론, 서울: 보성문화사
  21. 정성관, 박정길(1990) 자연폭포의 구조와 청각적 특성의 관계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18(1): 19-32
  22. 조유현, 이정인(2003) 여가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결정요인 분석. 중앙대학교 생활과학논집 18: 125-146
  23. 주신하, 임승빈(1998) 경관시물레이션 기법에 관한 연구 - 현장음과 동화상의 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조경학회지 26(3): 312-320
  24. 최창열(1973) 공감각적 의미의 전이. 한국언어문학 11: 107-138
  25. Anderson. M. L.(1983) Effects of sounds on preferences for outdoor setting. Environment and Behavior 15(5): 560-565
  26. Fromm, E. (1950) The Anatomy of Human Perspectiveness. New York: Halt Rinehart and Winston
  27. Jim. C. Y. and W. Y. Chen(2006) Recreation-amenity use and contingent valuation of greenspace in Guanzhou.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 81-96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08.008
  28. Kliskey. A. D.(2000) Recreation terrain suitability mapping: a apatially explicit methodology for determining recreation potential for resource use assessment.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52: 33-43 https://doi.org/10.1016/S0169-2046(00)00111-0
  29. Kong. F., H. Yin. and N. Nakagoshi (2006) Using GIS and landscape metrics in the hedonic price modelling of the amenity value of urban green space: a case study in Jinan City. Chi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in press)
  30.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London: The M.I.T. Press
  31. Murphy. F. J.(1973) Leisure Service Delivery System: a Modem Perspective. London: Lea & Febiger
  32.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Graw Hill
  33. Oku, H. and K. Fukamachi (2006) The differences in scenic perception of forest visitors through their attributes and recreational activ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5: 34-42 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4.10.008
  34. Torkildsen, G.(1992) Leisure and Recreation Management. London: E&FNSpon
  35. Wu, B. and L. A. Cai(2006) Spatial modeling: suburban leisure in Shangha. Annals of Tourism Research 33(1): 179-198 https://doi.org/10.1016/j.annals.2005.1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