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on Soybean Growth in Paddy Field

파종기와 재배방법에 따른 논 재배 콩의 품종별 생장분석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on soybean growth and yield in paddy field. The plant height of soybeans in single cropping(SC) was higher than those in cultivating after barley culture (CB). Considering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plant height tend to be higher in SC with level row cultivation(LR) and in CB with high ridge cultivation(HR). In this SC method, nodule formation in LR was better than in HR, but number of nodules of cv. Hwangkeumkong was highest, regardless of planting date and cultivation method. In the progress of growth stage, leaf areas of all cultivars were distinctively increased in CB than in SC. However, dry weight of top plants and roots in SC was comparably higher than that in CB due to growing periods of the soybeans. In cultivation methods, general type of dry weight of top plants was higher in LR than in HR, however, root dry weight was via verses. Growth responses varied depending on cultivars, cultivation methods, and planting date and these factors affected to shoot root (T/R) ratio. The T/R ratios in LR and SC were higher than those in HR and CB. In R8 stage, number of pods and ripened seed varied depending on cultivars. cv. Hwaeomputkong, which showed early maturing trait, was lowest. However, both yield factors tended to be higher in HR and CB than in LR and SC. The ratios of ripened seeds percentage of cv. Hwangkeumkong and cv. Eunhakong were higher in CB than in SC. However, yields of cv. Daewonkon and cv. Taekwangkong were higher in CB than in SC.

파종시기와 포장조건을 달리한 콩의 논 재배 시 R2와 R5 시기의 생육반응과 R5 시기의 수량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 품종들의 경장에 있어서 R2와 R5 시기 모두 단작 시험구가 맥후작 시험구보다 긴 경향을 보였다. 파종 시기와 재배법 모두를 고려해 보면 단작의 경우 평휴 재배가 그리고 맥후작의 경우 고휴재배에서 다소 긴 경향을 보였다. 근류의 형성은 평휴보다 고휴재배에서 많았고, 파종기 및 재배 방법에 상관없이 황금콩이 가장 높았다. 단작 보다 맥후작 시험구에서 공시 5품종 모두 콩 생육기 진전에 따른 엽면적 증가 뚜렷하였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 생산량에 있어서 맥후작 보다 단작 시험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생육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재배 방법 별로는 지상부 건물중이 평휴에서 높았던 반면 지하부 건물중은 고휴재배에서 보다 양호하였다. 이러한 지상부 및 지하부의 생육은 T/R율에 영향을 주는데, 재배 방법별로는 평휴조건이 T/R율이 높았으며, 파종시기별로는 단작의 T/R율이 맥후작보다 높았다.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은 R2 시기에는 단작의 T/R율이 높았던 반면, R5 시기에는 맥후작의 T/R율이 높았는데, 이는 이들 품종이 생육기 진전됨에 따라 지하부 생육이 지상부 생육에 비해 미약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등숙기인 R8 시기에서 협수는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가장 적었고, 소립종인 은하콩이 가장 많았고,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평휴보다는 고휴에서 그리고 단작구보다 맥후작 파종구에서 협수가 많은 경향이었다. 조생종인 화엄풋콩이 맥후작에서 등숙이 낮았고, 황금콩과 은하콩은 단작구보다 맥후작에서 등숙율이 높았다. 수량성은 품종간 차이가 있는데 대원콩과 태광콩에서는 6월 19일 파종이 5월 25일 파종에 비해 수량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