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Research for the Seismic Activities and Crustal Velocity Structure

국내 지진활동 및 지각구조 연구동향

  • Kim, Sung-Kyun (School of Earth Systems and Environmental Scienc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un, Myung-Soon (Earthquak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 Jeon, Jeong-Soo (Earthquake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김성균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 전명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 전정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Korean Peninsula, located on the southeastern part of Eurasian plate, belongs to the intraplate region. The characteristics of intraplate earthquake show the low and rare seismicity and the sparse and irregular distribution of epicenters comparing to interplate earthquake. To evaluate the exact seismic activity in intraplate region, long-term seismic data including historical earthquake data should be archived. Fortunately the long-term historical earthquake records about 2,000 years are available in Korea Peninsula. By the analysis of this historical and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seismic activity was very high in 16-18 centuries and is more active at the Yellow sea area than East sea area. Comparing to the high seismic activity of the north-eastern China in 16-18 centuries, it is inferred that seismic activity in two regions shows close relationship. Also general trend of epicenter distribution shows the SE-NW direction. In Korea Peninsula, the first seismic station was installed at Incheon in 1905 and 5 additional seismic stations were installed till 1943. There was no seismic station from 1945 to 1962, but a World Wide Standardized Seismograph was installed at Seoul in 1963. In 1990, Korean Meteorological Adminstration(KMA) had established centralized modem seismic network in real-time, consisted of 12 stations. After that time, many institutes tried to expand their own seismic networks in Korea Peninsula. Now KMA operates 35 velocity-type seismic stations and 75 accelerometers and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operates 32 and 16 stations, respectively.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and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operate 4 and 13 stations, consisted of velocity-type and accelerometer.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27 intraplate earthquake mechanisms since 1936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regional stress orientation and tectonics. These earthquakes are largest ones in this century and may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in this region. Focal mechanism of these earthquakes show predominant strike-slip faulting with small amount of thrust components. The average P-axis is almost horizontal ENE-WSW. In north-eastern China, strike-slip faulting is dominant and nearly horizontal average P-axis in ENE-WSW is very similar with the Korean Peninsula. On the other hand, in the eastern part of East Sea, thrust faulting is dominant and average P-axis is horizontal with ESE-WNW. This indicate that not only the subducting Pacific Plate in east but also the indenting Indian Plate controls earthquake mechanism in the far east of the Eurasian Plate. Crustal velocity model is very important to determine the hypocenters of the local earthquakes. But the crust model in and around Korean Peninsula is not clear till now, because the sufficient seismic data could not accumulated. To solve this problem, reflection and refraction seismic survey and seismic wave analysis method were simultaneously applied to two long cross-section traversing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since 2002. This survey should be continuously conducted.

유라시아판 동남쪽에 위치한 한반도는 판경계로부터 수백 km 떨어진 판내지역에 해당하며, 판내부 지진은 판경계부에서의 지진에 비해 발생하는 지진에 비해 숫자가 상대적으로 적고 크기도 작을 뿐만 아니라 발생 위치도 매우 불규칙한 편이다. 이는 단층의 활동주기가 매우 길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약 2,000년 동안의 지진역사가 기록되어 있는 우리나라는 이들 자료를 정확히 분석하여 역사시대 동안에 발생한 지진의 활동도 및 특성 등을 규명하여야 한다. 역사지진의 자료에 의하면 지진활동은 조선 중기 즉 16-18 세기에 특히 활발했으며 높은 지진활동의 기간은 중국 북동부와 일치하고 있다. 이는 이 두지역의 지진활동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역사지진 및 계기지진 자료에 의하면 대체로 서해안쪽이 활발하며, 한반도 남동부에서 서북서 방향으로 활발한 양상을 보여준다. 우리나라에서의 근대적 지진관측은 1905년 최초로 인천관측소가 설치되어 광복이전 6개소의 지진관측소를 운영하였다. 그 후 지진관측 공백기를 거쳐 1963년 서울에 세계표준지진계가 설치되었으며 1990 년 초에 기상청은 중앙집중식 12개소의 관측소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지속적인 확장을 통해 기상청에서는 속도계관측소 35개소, 가속도 관측소 75개소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32개소의 속도계관측소, 16개소의 가속도 관측소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4개소의 속도계 및 가속도 관측소를, 한국전력연구원은 13개소의 속도계 및 기속도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27개 지진의 발생원인을 분석한 결과 한반도 및 인접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대부분은 주향이동 단층 운동에 의한 메카니즘과 다소의 역단층 운동이 첨가된 단층운동 특성을 보여준다. 한반도 및 주변에서 단층작용을 일으킨 주응력 방향은 거의 수평한 동북동-서남서 방향으로 같은 판내 지역인 북동부 중국 지역의 주응력 방향과 매우 유사하고 동해 동부와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는 한반도 및 그 주변에서 지진을 일으키는 주응력은 동쪽에서 유라시아판 밑으로 침강하는 태평양판의 영향뿐만 아니라 서남쪽에서 충돌하는 인도판의 영향도 상당히 작용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지각 속도구조는 지진이 발생한 진원의 위치와 지진규모를 정확히 알아내는데 필수적이다. 그 동안 국내 지진관측망 미비, 한반도 내부의 낮은 지진 발생 빈도 등의 이유로 양질의 지진자료를 구하기 어려워 지진자료를 이용한 지각속도 구조에 대한 연구가 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국내의 여러 지친관측망에서 축적된 지진기록과 반사 및 굴절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여 종합적으로 지각 속도구조를 규명하기 시작하였다. 이와 같은 인공발파를 이용한 지각속도구조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많은 인원과 예산을 필요로 하므로 관련분야의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한 상황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1993) 지진관측보고 (1978-1992). 기상청 112p
  2. 기상청 (2001) 지진관측보고(1978-2000). 기상청, 166p
  3. 기상청 (2004) 2003 기상청 지진업무. 기상청
  4. 기상청 국가지진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kmaneis. go.kr/)
  5. 건설교통부 (1997) 내진설계 기준연구 (II), 건설교통부. p.279-359
  6. 경북대학교 이정모교수 홈페이지 (http://bh.knu.ac.kr/~jung/)
  7. 김상조 (1980) Study on earthquakes of Korea based on the local data of 1926-1943. 광산지질, 13권, p.1-19
  8. 김상조 (1983) 지진파를 이용한 남한의 지각구조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8p
  9. 김성균, 정부흥 (1985) 한반도 남부지역의 지각구조, 광산지질, 18권, p. 151-157
  10. 김성균 (1995) 한반도의 지각구조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31권, p. 393-403
  11. 김성균 (1997) 한반도의 지진활동: 과거, 현재, 미래, 콘크리트학회지, 9권, p. 4-12
  12. 김소구 (1978) 한반도의 지진활동, 자원개발연구소, 지원개발연구소보문
  13. 김소구 (1980) 한반도와 그 인접지역의 지진활동. 광산지질, 13권, p. 51-63
  14. 김우한, 김성균, 조봉곤, 최광선, 이희권 (2004) 한반도와 한반도 주변의 지진지체구조. 한국과학재단 보고서
  15. 류용규 (2006) 국내 지진관측망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및 실시간 지진자료 분석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6p
  16. 서정희 등 (1978) 원자력발전소 내진설계를 위한 지진학적 및 지질학적 기술지침 작성을 위한 연구(I) , 서울공대 생산기술연구소
  17. 엄상호. 양승진. 전명순. 김정호 (1983) 한반도의 지진위험 도.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 295p
  18. 이기화, 정봉일, 김광호 (1986) 한반도의 지진활동(I): 홍성일대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2권, p. 164-175
  19. 이기화, 권병두, 장태우 (1987) 한반도의 지진활동 :3.경기육괴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3권, p.257-276
  20. 이기화, 권병두, 박창업, 장태우, 김광호 (1988) 한반도의 지진활동: 4. 옥천대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4권 p. 464-488
  21. 이기화, 권병두, 장태우 (1989) 한반도의 지진활동: 5. 영남육괴의 지진활동. 지질학회지, 25권, p. 474-494
  22. 이기화 (1990) 경상분지의 지진활동 (부록 1), 양산단층조사 중간보고서,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23. 이기화 (1998) 한반도의 역사지진자료. 지구물리 1권, p. 3-22
  24. 이승규, 김소구 (1998) 원격수신함수를 이용한 서울과 인천관측소 하부의 지각속도구조와 Moho 불연속변 특정 연구. 지원환경지질, 31권, p. 339-347
  25. 전명순, 전정수 (2001) 한반도 초기계기지진자료 (1905-1942). 자원환경지질, 34권, p. 573-581
  26. 전명순, 전정수, 제일영 (1999), 한반도 지진의 메카니즘, 한국지진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3권, p. 58-63
  27. 정봉일 (1981) 한국의 고지진에 관한 연구, 지질학회지, 17권, p. 257-268
  28. 정태웅 (1995) 1991-94년의 지진자료를 이용한 한반도 지각구조의 정량적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권, p. 152-157
  29. 조선지진연구소 (1984) 조선지진목록 (2-1983). 69p
  30. 최광선 (1986) 한반도 남부의 중력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0p
  3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지진감시센터 홈페이지(http://emc.kins.re.kr/)
  32. 한국전력연구원 (2004) 2003년 지진연보
  33. 한국전력연구원 (2005) 2004년 지진연보
  3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 홈페이지 (http://quake.kigam.re.kr)
  35. 朝鮮總督府 觀測所 (1905-1912), 朝鮮地震報告 (1905-1912)
  36. 朝鮮總督府 氣象臺 (1940-1942) 朝鮮氣象要報 (1940-1942)
  37. 朝鮮總督府 氣象臺 (1943) 地震年報 1940
  38. 中國地震局 (1983) 中國地震目錄.科學出版社, p. 894
  39. 武者金吉 (1951) 日本及 隣接地域, 地震, 噴火, 地變年表, 日本地震史料, 每日新聞社
  40. 隼田公地 (1936) 朝鮮氣象30年報, 朝鮮總督府觀測所
  41. 隼田公地 (1940) 智異山南麓 雙磎寺強震報告, 朝鮮總督府 觀測所 彙報, 第1號, p. 145-157
  42. 吳戈 (1995) 黃海及其周囲地區歷史地震, 地震出版止, 347p
  43. 和田雄治 (1912) 朝鮮古今地震考, 朝鮮總督府 觀測所 學術報文 第2卷, p. 16-38
  44. Central Meteorological Observatory of Japan (1952) The catalogue of major earthquakes which occurred in Japan (1885-1950). Seismological bulletin of the Central Meteorological Observatory, p. 99-184
  45. Chang, S. J. and Baag, C. E. (2005) Crustal Structure in Southern Korea from Joint Analysis of Teleseismic Receiver Functions and Surface-Wave Dispersion.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95, 1516-1534 https://doi.org/10.1785/0120040080
  46. Hayata, K. (1940) Report of Ssanggye-sa strong earthquake on the southern foot of Mount Chiri(in Japanese). Bulletin of the Meteorological Observatory of th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v.1, p.145-157
  47. Kim, S. G. and Li, Q.(1998a) 3-D crustal velocity tomography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Econ. Environ. Geol. Korea, 31, 89-99
  48. Kim, S. G. and Li, Q.(1998b) 3-D crustal velocity tomography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Econ. Environ. Geol. Korea, 31, 235-247
  49. Kim, S. K. (1979) Geodetic and geophysical analysis of gravity data in Korea, Kor. Inst. Mining Geol., v. 12, p. 17-28
  50. Kwon, B. D. and Yang, S. Y. (1985) A study on the crustal structure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through gravity analysis. Jour. Kore. Inst. Mining Geol., v. 18, 309-320
  51. Kyung, J. B. (1989)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ismicity of the Korean Peninsula, Ph.D. Thesis, Seoul National Univ., 327p
  52. Lee, K. (1979) On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Jour. Geol. Soc. Korea, v. 15, p. 134-150
  53. Lee, K. and H. O. Jung (1980) A study of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of the Korean Peninsula, Jour. Geol. Soc. Korea, v. 16, p. 32-45
  54. Meteorological Observator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1918-1934) Annual report of the meteorological observator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en for the year 1916-1932
  55. Tsuboi, C. (1954) Determination of Guternberg-Richter's magnitude of earthquakes occuring in and near Japan, Zishin, 7, 185-193
  56. Weather Bureau of Tyosen (1935-1940) The seismological bulletine of weather bureau of Tyosen for the year of 1933-1938, The Government General of Tyos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