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nd Cause of Rusty-Ginseng Occurrence

인삼 적변의 발생 요인과 원인

  • Park Hong-Woo (Colla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ungnam Nat'l Univ.) ;
  • Lim Tai-Kyo (Colla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ungnam Nat'l Univ.) ;
  • Choi Chun-Hwan (Colla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ungnam Nat'l Univ.) ;
  • Choi Jae-Eul (Colla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Chungnam Nat'l Univ.)
  • 박홍우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임태교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춘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최재을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factors(soil moisture content, type of organic fertilizers, wound of ginseng, and concentration of rusty-root causing bacteria) inducing the rusty-root of ginseng were investigated. The Hue values were measured for the degree of rustiness affected by the factors. The rustiness was severe on the wounded-ginseng and on the ginseng inocula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CG20126). The Hue values of the control, the non-wounded ginseng inoculated with CG20126, the wounded-ginseng, and the wounded-ginseng inoculated with CG20126 were 113.3, 108.1, 85.8, and 57.5, respectively. The Hue value of the horticulture bed-soil was 56.8 whereas the value of the paddy bed-soil counterpart was 64.7. The Hue values on the ginseng roots grown in the soil containing 10%, 20%, 50%, and 70% of moisture, were 96.2, 85.9, 78.0, and 75.7, respectively. The organic fertilizer increased the rustiness of ginseng and the range of Hue values was 35.2-27.8. The increased concentrations of A. tumefaciens CG20126 increased the rustiness of ginseng. The concentration of A. tumefaciens CG20126 at $10^{2},\;10^{4},\;10^{6},\;and\;10^{8}cells/m{\ell}$ resulted in the Hue values of 62.8, 63.3, 55.6, and 48.8, respectively.

본 연구는 접종방법, 상토 및 유기물의 종류, 토양수분, 세균밀도가 적변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적변발생 요인 및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 Hue value는 무상처 무접종에서 113.1, 무상처 접종 108.1, 상처 무접종 85.8, 상처접종 57.5로 적변은 무상처 무접종 < 무상처 접종 < 상처 무접종 < 상처 접종 순으로 심하게 발생하였다. 2. 원예용 상토와 수도용 상토에서 Hue value는 각각 56.8, 64.7로 수도용 상토보다 원예용 상토에서 적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3. 토양의 수분농도가 10%, 20%, 50%, 70%일 때 Hue value는 각각 96.2, 85.9, 78.0, 75.7로 수분이 높을수록 적변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4. 유기질 비료를 첨가한 토양에서의 Hue value는 35.2-27.8로 유기질 비료의 시용은 적변 발생을 심하게 유발하였다. 5 세균접종 농도가 $10^{2},\;10^{4},\;10^{6},\;10^{8}\;cells/m{\ell}$일 때, Hue 값은 각각 63.3, 62.8, 55.6, 48.8로 세균농도가 높을수록 적변의 발생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안용준, 김홍진, 오승환, 최승윤. 1982. 연작지 토양에서 토양훈증제 처리가 인삼의 근부, 적변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고려 인삼학회지 6(1) : 46-55
  2. 최재을, 이종신, 윤선미, 차선경. 2002. 건전삼과 적변삼 표피 및 무기성분의 비교. 한국작물학회지 47(3) : 161-166
  3. 최재을, 육진아, 김진희, 최춘환, 천종식, 김영준, 이향범.2005. 적변삼으로부터 분리한 내생세균의 동정 및 적변 유발. 약용 작물학회지 13(1) : 1-5
  4. 정영륜, 오승환, 이일호, 박창석. 1985. 적변삼의 생물.화학적 특성과 그 발생원인에 관하여. 고려인삼학회지 9(1) : 24-35
  5. 김명수, 홍순근, 이태수, 한종구, 전정복. 1986. 인삼의 생리장해 방제에 관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797-903. 한국인삼연초연구소
  6. McGuire, R. G. 1992. Reporting of objective color measurements. Hort Science 27 : 1254-1255
  7. 목성균, 반유선, 천성기, 이태수, 이성식, 이장호, 박동이, 전정복, 이정기, 박상오. 1995. 적변삼 발병원인 및 방제법 구명.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51-87. 한국인삼연초연구소
  8. 목성균, 홍순근, 김명수, 이태수, 한종구 1987. 인삼의 생리장해에 관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재배분야, 환경 및 육종) 363-434. 한국인삼연초연구소
  9. 목성균, 김명수, 이종화. 1982. 생리장해에 관한 연구. 인삼연구 보고서(재배분야) 159-186.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0. 목성균, 박규희. 1981. 생리장해에 관한 연구. 인삼연구보고서 (재배분야) 263-269.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1. 목성균, 반유선, 이태수, 천성기, 한종구, 이장호, 민병선, 박상오. 1998. 수삼품질 향상을 위한 재배법개선 연구. 인삼연구 보고서(재배분야) 19-28. 한국인삼연초연구소
  12. 박훈. 1991. 인삼의 생리장해. 한국작물학회지 36(5) : 459-480
  13. 上田榮次郞. 1909. 本邦及韓國における人蔘赤腐病の研究成績. 農試報 35 : 61-104
  14. 양덕조, 김용해, 윤길영, 이성식, 권진이, 강현미. 1997. 인삼근 적변현상과 근권 토양환경. 고려인삼학회지 21(2) : 91-97
  15. 윤길영, 양덕조. 2001. 인삼 적변현상과 적변물질의 형태-화학적 특성. 고려인삼학회지 24(3) : 107-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