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Digitalization Performance of Sinological Resource in Korea

고문헌의 디지털화 성과 연구

  • 조형진 (강남대학교 인문학부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rocedures and contents of digitalization of sinological resources owned by major sinological resource institutes in Korea. It investigated the united organizations that use such sinological resources It also assessed governmental policies and future Plans for digitalization of sinological resources. Finally, it proposed steps and conditions necessary for successful digitalization of sinological resources. (1) The level of digitalization of library management, searching, and usage system of national library, university library, and research library that has been applied since 1980s has already been highly advanced. The amount of sinological resources collected is significant and its substance value is very high. The digitalized resources are already distributed on internet partially. However, the level of digitalization of sinological resources still lacks some aspects and requires further effort. (2) The data base for digitalized sinological resources already available can be grouped into bibliographic information, contents and annotation, and full text. and it includes both domestic and foreign resources. The quantities of resources are as described in the body (3) The types of digital sinological resources include antient books. archives, micro, and book blocks. (4) The encoding DB methods of digital sinological resources include text. image, PDF. and etc. (5) The united organizations of sinological resources enable us to avoid duplicated investigation and enhance service efficiency. Here are some factors to consider in order to accomplish ideal digitalization of sinological resources. (1)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control center for digitalization procedures of old materials, and allow it a certain degree of authority to develop and Proceed a comprehensive Plan. (2) Both short- and long-term plan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analyze various aspects of digitalization process. and their steps need to be taken gradually (3) It is necessary to train experts for old materials and let them construct and manage DB.

한국의 주요 고문헌 기관과 이들 기관이 소장한 고문헌이 디지털화 된 진도와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고문헌을 이용하기 위한 연합조직을 검토하였다. 국가의 고문헌 디지털화를 위한 정책과 향후계획을 파악하였다. 고문헌의 디지털화를 위한 절차와 필요조건을 제안하였다. (1) 1980년대에 추진하기 시작한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문도서관 등의 도서관 관리 검색 이용 시스템의 디지털화는 이미 상당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고문헌의 소장량은 상당히 많고 내용적 가치도 높다. 일부 디지털화 된 자료는 이미 Internet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고문헌의 디지털화 된 수준은 아직도 궤도에 오르지 못한 상태로 분발이 요구된다. (2) 이미 제공되고 있는 디지털 고문헌의 Data Base는 목록정보 DB 목차와 해제정보 DB 전문정보 DB로 구분할 수 있으며, 국내외 자료를 포함하고 있다. 그 수량은 본문의 서술과 같다. (3) 디지털 고문헌의 유형은 고서 고문서 Micro 책판 등을 포함하고 있다 (4) 디지털 고문헌 DB의 입력 방법은 Text Image PDF 형태 등이다. (5) 고문헌의 연합조직을 구축하여 중복 투자를 피하고 봉사 효율을 높이고 있다. 고문헌의 이상적인 디지털화를 위하여 갖추어야 할 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선 고문헌 디지털화 업무의 통정기구를 조직하여, 일정한 수준의 권한을 부여하고 종합적 계획을 수립한 후 추진하여야 한다. (2) 장단기 계획을 세워서 여러 디지털화 업무의 성격을 분석하고, 점진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3) 고문헌 자료의 전문가를 양성하여 DB를 구축하고 관리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 2003. '한국사립대학교도서관협의회회원교편람'. 수원: 한국사립대학교도관협의회
  2. 교육부. 1998. '1998대학도서관정보화현황'. 서울: 교육부교육정보화국
  3. 국립대학도서관보 제21집 편집위원회. 2003. 자료 현황. '국립대학도서관보', 21: 189-197
  4. 국립중앙도서관. 2004. '2003년도 국립도서관년보'.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5. 대학도서관소장 역사자료 DB구축 기본계획(안). 미간행 원고
  6. 한국도서관협회. 2003. '한국도서관통계2003'.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7. http://dl.chonbuk.ac.kr
  8. http://koreanhistory.or.kr
  9. http://kudos.knu.ac.kr
  10. http://kuksa.nhcc.go.kr
  11. http://kyujanggak.snu.ac.kr
  12. http://lib.andong.ac.kr
  13. http://library.chonnam.ac.kr
  14. http://library.gsnu.ac.kr
  15. http://library.snu.ac.kr
  16. http://pulip.pusan.ac.kr
  17. http://www.aks.ac.kr
  18. http://www.dlibrary.go.kr
  19. http://www.knowledge.go.kr
  20. http://www.koreastudy.or.kr
  21. http://www.minchu.or.kr
  22. http://www.nanet.go.kr
  23. http://www.n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