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ole of Geography Education in Marine Education

해양 교육의 중요성과 지리 교육의 역할

  • Yoon Ok-Kyong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윤옥경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ocean as a present and future resource and the Korean peninsular location, it is strongly urged to develop renewed recognition and educational programs on ocean, so as to respond properly to the newly emerging political changes surrounding the country. By setting up the purpose of marine education as engendering greater interests in and knowledge of ocean,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frame of marine education can be founded appropriately on four educational sub-categories: humanity education, territory education, economy education, and resources and environment education. At an operational scale, this paper particularly analyzed ocean- related content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substantial ways for strengthening marine education. The study simultaneously compared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with the curriculum of marine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and founded that explicit ocean-related contents in the 7th curriculum were significantly limited. Yet, the study alternatively points out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variety of teaching materials and apply them for writing textbooks or developing teaching-teaming curriculum. I provide some of the ways for strengthening marine education by using marine-related themes in the curriculum of geography education. Marine is not simply one of the key elements in the discipline of geography. But, more importantly, I suggest that geography is particularly useful in developing various and familiar themes such as swimming beach, fishing villages, ports, marine-bound industrial district and port cities into teaching materials.

현재 뿐 아니라 미래의 자원으로서 해양의 중요성과 육지와 해양 중간의,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위치적, 국제 정치적 특성을 고려할 때 해양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해양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해양교육의 방향을 해양에 대한 관심과 국민적 소양을 넓히는 것으로 설정하고 해양교육의 틀을 해양에 대한 기본 지식을 바탕으로 인성교육, 영역(영토)교육, 경제교육, 자원 및 환경교육 등으로 구성하였다. 현실적으로 해양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해 우선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해양교육 관련 내용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외국의 교육과정에서는 해양교육이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지 비교하였다.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명시적으로 드러난 해양 관련 내용은 비중이 적었다. 그러나 교육과정의 해양관련 내용을 바탕으로 교과서 집필 시, 또는 교수-학습 과정에 적용 시 해양교육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소재의 활용이 가능하며 본고에서는 지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해양 관련소재를 통해 해양 교육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지리과는 특히 지역을 이루는 한 요소로서 해양을 다루고 있으며, 해양 관련 소재는 해수욕장, 어촌, 항구, 임해산업단지, 항구도시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일상생활과 연결된 친숙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현 엮음, 1998, 해양오염과 지구환경, 한국해양연구소, 안산
  2. 교육부, 199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 , 대학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 1999,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3-1, 3-2, 4-1, 4-2, 5-1, 5-2, 6-1, 6-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 국립해양조사원, 2003, 해양지명 표준화방안 연구
  5. 김대식.이춘우, 2005, '부산시 어촌.어항개발에 대한 의식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17(2), 218-227
  6. 김삼곤.박종운.이상철, 2002, '경북지역 수산업 종사자의 수산업 의식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14(2), 213-228
  7. 김예동.안인영 편저, 2001, 남극과 지구환경, 한국해양연구원, 안산
  8. 김웅서.강성현 엮음, 2005, 해양개발의 현재와 미래, 한국해양연구원, 안산
  9. 김웅서.제종길 엮음, 1998, 해양생물의 세계, 한국해양연구소, 안산
  10. 대한지리학회 부설 지리연구소, 2005, 동해 중부 해양지명 조사, 국립해양조사원
  11. 동해연구회, 2006, 차기 교육과정 개정 관련 해양교육 강화에 관한 연구, 해양수산부
  12. 석봉출.이희일 엮음, 1999, 지구환경 변화사와 해저자원, 한국해양연구소, 안산
  13. 송경언, 2003, '제주도 어촌의 관광지화에 따른 공간이용 변화과정,' 대한지리학회지, 38(1), 87-103
  14. 송원오.박우선 엮음, 2001, 연안개발, 한국해양연구원, 안산
  15. 윤기문, 1990, 초등학교 해양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연구-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윤옥경, 2004, '항구의 지리를 매개로 한 새로운 지역지리 학습의 전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3), 395-408
  17. 이길래, 2000, '21 세기 수, 해양교육의 새로운 지표 설정에 의한 발전방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12(2), 123-141
  18. 이민부, 1980, 港灣이 都市空間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태천, 2001, 한국 일본 중학생들의 해양에 대한 관념 비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홍금.이유경 엮음, 2005, 해양바이오, 한국해양연구원, 안산
  21. 임채정 외, 2005, 간도에서 대마도까지, 동아일보사, 서울
  22. 장석.반석호 엮음, 2002, 선박의 이해, 한국해양연구원, 안산
  23. 조화룡 외, 2000,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주) 금성출판사, 서울
  24. 지삼업.김용재.이재형, 2005, '어항을 활용한 해양스포츠 체험관광 활성화 방안,'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수산해양교육연구, 17(1), 86-105
  25. 최형태.김웅서 엮음, 1999, 해양과 인간 (개정증보판), 한국해양연구소, 안산
  26. 한국영토학회, 2005, 독도 영유권 수호의 정책방안, (사) 한국영토학회 창립기념 학술 토론회 자료집
  27. 홍후조, 2002, 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문음사
  28. 文部科學省, 1998, 學習指導要領 (2003년 일부개정), 東京
  29. Beddis, R. and T. Parker, 1991, A Sense of Place, Oxford University Press
  30. Haslam, A., 2001, Living Geography, Tow-Can, NJ
  31. Philip, S., 1995, Target Geography, Key Stage 3 (Book 3), World Lock Educational, Sussex
  32. Waugh, D. and T. Bushell, 2001, The New Wider World, Nelson Thornes
  33. 日本 文部科學省 (http://www.mext.go.jp)
  34. California Department of Education (http://www.cde.ca.gov/)
  35. National Curriculum for England (http://www.nc.uk.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