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Floristic Study of Nature Sabbatical Area of Mt. Unmun in Gyeongsangbuk-Do

경북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의 식물상 연구

  • 박선주 (영남대학교 생물학과) ;
  • 박성준 (영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황규진 (자연환경복원연구원) ;
  • 손성원 (영남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e native vascular plants, growing at the nature sabbatical application area, were classified & recorded as a total of 407 taxa, 83 families, 235 genera, 338 species, 3 subspecies, 54 varieties and 12 forms. The endangered wild plants were recorded as 2 taxa (Paeonia obovata and Lilium cernuum) and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observed to exist in the formation of 21 taxa, 13 families, 19 genera, 15 species, 4 varieties and 2 forms including Cephalotaxus koreana, Pseudostellaria coreana, Aconitum pseudo-laeve, Clematis trichotoma, Geranium koreanum for. hirsutum, Thalictrum uchiyamai. The floristic special plants consist of 55 taxa, 35 families, 50 genera, 51 species, 4 varieties(Crypsinus hastatus, Cimicifuga heracleifolia, Paeonia obovata, Lilium cernuum and Gastrodia elata etc.). The naturalized plants comprise 10 taxa, 4 families, 10 genera, 9 species and 1 variety. The ratio of Urbanization and Naturalized Index was 3.51% and 2.46%, respectively. Life form spectra were displayed as H-R5-D4-e type.

운문산 자연휴식년제를 실시한 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3과 235속 338종 3아종 54변종 12품종 총 407분류군으로 동정되었다. 멸종위기야생식물은 산작약과 솔나리 2분류군이 관찰되었으며, 한국특산식물은 개비자나무, 참개별꽃, 진범, 할미밀망, 털둥근이질풀, 자주꿩의다리 등을 포함한 13과 19속 15종 4변종 2품종 총 2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고란초, 승마, 산작약, 솔나리, 천마 등 35과 50속 51종 4변종 총 55분류군이 관찰되었다. 귀화식물은 4과 10속 9종 1변종 총 10분류군이며 도시화지수(U.I) 및 귀화율(N.I)은 3.51%, 2.46%이다. 생활형조성은 $H-R_5-D_4-e$ type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1995)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조사(I). 국립환경연구원보 17: 25-35
  2. 국립환경과학원(2006) http://alienplant.nier.go.kr
  3. 김인택, 송민섭, 이지훈(1998) 가지산의 식물상. 한국생물상연구지 3: 57-91
  4. 산림청, 임업연구원(1997)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 산림청 139쪽
  5. 박수현(1995) 한국귀화식물도감. 일조각, 서울, 371쪽
  6. 박수현(2001) 한국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177쪽
  7.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184쪽
  8. 박재홍(2001) 가지산(청도)와 그 인근 산지의 식물상. 전국자연환경조사(환경부), 105-157쪽
  9. 백원기(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제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13: 5-84
  10. 양인석(1961) 경북식물조사연구. 경북대논문집 5: 17-65
  11. 오수영(1974) 가지산 식물조사 보고서-경북지방식물조사연구-. 안동교대 논문집 7: 239-278
  12. 이영노(1996) 원색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1237쪽
  13. 이영노(2006) 한국식물도감(상), 교학사, 서울, 975쪽
  14. 이영노(2006) 한국식물도감(하), 교학사, 서울, 885쪽
  15. 이우철(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624쪽
  16. 이우철(1996b) 한국식물명고(1). 아카데미서적, 서울, 1688쪽
  17. 이우철, 임양재(1978) 한국유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식물분류학회지 8: 1-33
  18.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980쪽
  19.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상). 향문사, 서울, 914쪽
  20.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하). 향문사, 서울, 910쪽
  21.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 69-83
  22.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1982) 한국에서의 Raunkiaer 생활형의 지리적분포.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9: 5-20
  23. 환경부(2005) 자연환경보전법. 서울
  24. 환경부(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127쪽
  25. 沼田眞, 小瀧唵一夫(1975) 歸化植物. 日本園書館, 東京, 160pp
  26.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666pp
  27. Mueller-Dombois and Ellenberg(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New York, 547pp
  28.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632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