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er Dynamics of Phytoplankton Taxonomic Composition in a Coastal Estuarine System of Asan Bay

아산만 연안하구 식물플랑크톤의 2006년 하계 종조성 변화

  • Yi, Hyang-Hwa (Division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Shin, Yong-Sik (Division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Yang, Sung-Ryull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Kwangju University) ;
  • Park, Chul (Department of Oceanography,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향화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 양성렬 (광주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박철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Published : 2007.08.31

Abstract

Phytoplankton community was investigated in Asan Bay, South Korea. Samples were collected at 5 stations along Asan Bay axis during wet season from June to August, 2006. In June and July, salinity decreased especially at inside stations. Nutrients were high in June and July, however, decreased in August. We observed the community of phytoplankton including diatoms(62.8%), dinoflagellates(17.3%), cryptophytes(14.8%), euglenophytes(1.0%), cyanophytes (0.9%), chlorophytes(0.4%), and some of unidentified taxa(2.8%) during summer 2006 in Asan Bay. In June, dinoflagellates (mainly Prorocentrum sp.(29.6%)) were dominated, accounting for about 43.5% of total cell number, whereas in July and August diatoms (mainly Leptocylindrus sp.(21.4%), Chaetoceros sp.(27.6%)) were dominated occupying 69.1% and 89.9%,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freshwater inputs affecte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Asan Bay ecosystem.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하계 종조성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6년 6월, 7월, 8월에 매달 두 번씩 실시하였으며 조사 정점은 공간적 분포를 나타내는 5개 정점을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6월과 7월에 염분은 내만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영양염은 6월과 7월에 높았으나 8월에 낮은 경향을 보였다. 2006년 여름철 아산만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은 규조류(62.8%), 와편모조류(17.3%), 은편모조류(14.8%), 유글레나류(1.0%), 남조류(0.9%), 녹조류(0.4%) 등 6종과 확인되지 않은 종(2.8%)이 포함되었다. 6월에는 와편모조류(주요하게 Prorocentrum sp.(29.6%))가 우점 하였고 총 현존량의 43.5%를 차지하였지만 7월과 8월에는 규조류(주요하게 Leptocylindrus sp.(21.4%), Chaetoceros sp.(27.6%))가 우점 하였으며 각각 총 현존량의 69.1%, 89.9%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하계에도 강우에 따라 아산만 각 정점에서의 우점속의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강우에 따른 담수유입이 하계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종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암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식, 최중기, 엄희문, 2003. 고리 월성, 울진과 영광 연안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II. 우점종 분포와 환경 요인들. 조류학회지, 18(1): 29-47
  2. 권기영, 김창훈, 강찬근, 문창호, 박미옥, 양성렬, 2002. 생물검정 실험에 의한 섬진강 하구역 식물플랑크톤 성장의 제한영양염 평가. 한국수산학회지, 35: 455-462
  3. 권기영, 문창호, 이재성, 양성렬, 박미옥, 이필용, 2004.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양염의 하구내 거동과 플럭스.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9(4): 153-162
  4. 김영길, 조유숙, 1970. 금강하구의 Microplankton 량과 조성변화에 관하여(I). 군산수전논집, 4: 23-36
  5. 김용재, 김명운, 김상종, 1998. 한강 중하류 수계에서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조류학회지, 13(3): 331-338
  6. 김은택, 주정희, 2000. 적조생물 코클로디니움(Cochlodinium polykrikoides)에 관한 연구. 제 43회 경상남도과학전람회. pp. 6-16
  7. 문창호, 최혜지,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2): 144-154
  8. 문창호, 박철, 이승용, 1993.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Bull. Korean Fish. Soc., 26(2): 173-181
  9. 박주석, 김종두, 1967. 진해만의 적조현상에 관한 연구. 수진연보, 1: 63-79
  10. 박주석, 1980. 한국남해안의 식물성 Plankton의 출현량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서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수진연보, 23: 7-157
  11.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 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23(3): 51 pp
  12. 박태수, 1956. 하기남해안에 있어서 Microplankton의 량과 조성에 관한 연구. 부산수대연보, 1(1): 1-12
  13. 심재형, 이원호, 1979. 서해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에 대하여. 한국해양학회지, 14(1): 6-14
  14. 심재형, 신은령, 최중기, 1981. 여수 근해의 쌍편모조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16(2): 57-98
  15. 심재형, 신은령, 이원호, 198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 분포에 관한 연구. The Jour. Oceans. Soci. Korea, 19(2): 172-180
  16.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1991. 만경강 하류의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한국육수학회지, 24(1): 45-54
  17. 유광일, 허회권, 1982. 완도인근 도서해역의 해양플랑크톤. 자연실태 종합조사보고. 제2절. 완도인근도서. 2-3: 235-249
  18. 유광일, 1984. 연안역에 있어서의 적조생물 군집의 동태에 관한 연구. 한양대 환경과학 연구소 논문집
  19. 유성규, 1960. 용호만에서 이매패인 식이에 관한 연구. 제1보. 불통, Mactra veneriformis. 부산수대연보, 3(1-2): 43-52
  20.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7(2): 149-159 https://doi.org/10.4217/OPR.2005.27.2.149
  21. 이석구, 부성민, 1998. 아산 남방제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31(3): 181-185
  22. 이영식, 2002. 여수 돌산도 동부연안해역에서 담수 유입에 의한 규조적조 발생. 대한한경공학학회지, 24: 447-488
  23. 이진환, 한명수, 허형택, 1981. 진해만의 적조원인생물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소소보, 3(2): 97-105
  24.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2: 137-150
  25. 정 진, 조영관, 고창옥, 김운중, 2001. 동복호 조류군집의 다년간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7(2): 67-72
  26. 최 상, 1967. 한국해역의 식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II. 한국연안 수역의 식물플랑크톤. 한국해양학회지, 2(1-2): 1-12
  27. 한명수, 유광일, 1983. 진해만의 추계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에 대하여. 인하대 기초연구논문집. 제3집. 4(2): 169-176
  28. 현봉길, 신용식, 박철, 양성렬, 2006.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환경생물학회, 24(1): 7-18
  29. 岡市友利, 1986. 환경과학 특별연구 R14-11 연안생태계의 천이와 환경의 해역 특성. 145 pp
  30. Asakawa, M., K. Miyazawa and T. Noguchi, 1993. Studies on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toxification of bivalves, in association with appearance of Alexandrium tamarense, in Hiroshima Bay, Hiroshima prefecture. J. Food. Hyg. Soc, Japan, 34: 50-54 https://doi.org/10.3358/shokueishi.34.50
  31. Asakawa, M., K. Miyazawa, H. Takayama and T. Noguchi, 1995. Dinoflagellate Alexandrium tamarense as the source of paralytic shellfish poison (PSP) contained in bivalves from Hiroshima Bay, Hiroshima prefecture, Japan. Toxicon, 33: 691-697 https://doi.org/10.1016/0041-0101(94)00177-A
  32. Holm-Hansen, O., C.J. Lorenzen, R.W.Holms and J.D.H. Strickland, 1965. Fluorometric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J. Cons. Perm. int. Explor. Mer. 30: 3-15 https://doi.org/10.1093/icesjms/30.1.3
  33. James, A., 1979. The value of biological indicators in relation to other parameters of water quality. In: James A. and L. Evison(eds.). Biological Indicators of Water Qual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16
  34. Jotaro U., Tek B.G., Takehito Y., Tatsuki S., Masami N., Masahiro M. and Eiichiro N., 2000. Diel changes in phagotrophy by Cryptomonas in Lake Biwa. Limnol. Oceanogr., 45(7): 1558-1563 https://doi.org/10.4319/lo.2000.45.7.1558
  35. Ludwig, J.A., Reynolds, J.F., 1988. Statistical Ecology: A Primer on Methods and Computing. Wiley. New York, 337pp
  3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s, 3: 36-71
  37. Marshall, H.G. and Raymond W.A., 1990. A comparison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and environmental relationships in three estuarine river of the lower Chesapeake Bay. Estuaries, 13(3): 287-300 https://doi.org/10.2307/1351920
  38. McNaughton, S.J., 1977. Diversity and stability of ecological communities: a comment on the role of empiricism in ecology. American Naturalist, 111: 515-525 https://doi.org/10.1086/283181
  39. Parsons, T.R., Maita, Y. and Lalli, C.M.,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pp. 22-25
  40. Pimm, S.L., 1984. The complexity and stability of ecosystem. Nature 307: 321-326 https://doi.org/10.1038/307321a0
  41. Reynolds, C.S., S.W. Wiseman, B.M. Godfrey and C. Butterwick., 1983. Some Effects of artificial mixing on the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populations in large liminetic enclosures. J. Plankton Res., 5: 203-234 https://doi.org/10.1093/plankt/5.2.203
  42.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43. Sommer, U., Z.M. Gliwicz, W. Lampert and A. Duncan., 1986. The PEG-model of seasonal succession of planktonic events in fresh waters. Arch. Hydrobiol., 106: 433-471
  44. Sournia, A., 1978. Phytoplankton manual. In: Monographs on oceanographic Methodology 6. ed. by Sournia, A., UNESCO, Paris
  45. Tilman, D., Downing, J.A., 1994. Biodiversity and stability in grasslands. Nature 367: 363-365 https://doi.org/10.1038/364363a0
  46. Tilman, D., 2000. Causes, consequences and ethics of biodiversity. Nature 405: 208-211 https://doi.org/10.1038/35012217
  47. UNESCO, 1978. Water quality surveys. Unesco. WHO, UK., 350 pp
  48. Welschemeyer and Lorenzen, 1985. Role of herbivory in controlling phytoplankton abundance: Annual pigment budget for a temperate marine fjord. Mar. Biol., 90(1): 75-86 https://doi.org/10.1007/BF00428217
  49. Whittaker, R.H., 1972. Evolution and measurement of species diversity. Taxon 21: 213-251 https://doi.org/10.2307/1218190
  50. Yentsch, C.S. and D.W. Menzel, 1963. A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ytoplankton chlorophyll and phaeophytin by fluorescence. Deep Sea Res., 10: 221-231
  51. Yoder, J.A., 1979. A comparison between the cell division rate of natural populations of the marine diatom Skeletonema costatum (Greville) Cleve grown in dialysis culture and that predicted from a mathemathical model. Limnol. Oceanogr., 24: 97-106 https://doi.org/10.4319/lo.1979.24.1.0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