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ractal Analysis of Tidal Channel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고해상도 위성 영상을 이용한 조류로의 프랙털 분석

  • Eom, Jin-Ah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Lee, Yoon-Kyung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
  • Ryu, Joo-Hyung (Ocean Satellite Research Group,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Won, Joong-Sun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 엄진아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이윤경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 유주형 (한국해양연구원) ;
  • 원중선 (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idal channel development is influenced by sediment type, grain size, composition and tidal current. Tidal channels are usually characterized by channel formation, density and shape. Quantitative analysis of tidal channels using remotely sensed data have rarely been stud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idal channels in terms of fractal dimension and compare different inter-tidal channel patterns and compare with DEM (Digital Elevation Model). For the fractal analysis, we used box counting method which had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streams, coastlines and others linear features. For a study, the southern part of Ganghwado tidal flats was selected which know for high dynamics of tidal currents and vast tidal flats. This area has different widths and lengths of tidal channels. IKONOS was used for extracting tidal channels, and the box counting method was applied to obtain fractal dimensions (D) for each tidal channel. Yeochari area where channels showed less dense development and low DEM had low fractal dimenwion near $1.00{\sim}1.20$. Area (near Donggumdo and Yeongjongdo) of dendritic channel pattern and high DEM resulted in high fractal dimension near $1.20{\sim}1.35$. The difference of fractal dimensions according to channel development in tidal flats is relatively large enough to use as an index for tidal channel classification. Therefore we could conclude that fractal dimension, channel development and DEM in tidal channel has high correlation. Using fractal dimension, channel development and DEM, it would be possible to quantify the tidal channel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surface characteristics.

조간대의 조류로 발달은 조간대 퇴적물 종류, 입도, 조성 및 조류의 세기 등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조류로의 발달 특성, 밀도, 형태 등은 조간대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조류로에 대한 정량적 분석은 시도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목적은 고해상도 위성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조류로에 대한 프랙털 차원 결과와 조류로 발달에 영향을 주는 지형(DEM : Digital Elevation Model)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프랙털 분석 중에서 하천 해안 등 선형의 특징에 많은 적용을 하는 box counting 방법을 이용하였다. 연구 지역은 조차가 심한 강화도 남단의 조간대이다. 연구 방법은 IKONOS 영상으로부터 조류로를 추출한 뒤 프랙털 차원을 구하였다. 그 결과 프랙털 차원은 약 $1.0{\sim}1.35$ 정도의 결과 값을 얻었다. 지형이 낮으며 채널의 발달이 미비한 지역(강화도 남단 여차리 부근)에서는 프랙털 차원이 약 $1.0{\sim}1.2$ 정도의 낮은 값을 가지는 반면에 지형이 높고 채널 발달이 수지상으로 잘 발달된 지역(영종도 북단)의 프랙털 차원은 약 $1.20{\sim}1.35$ 정도의 높은 값을 가진다. 이 분석으로부터 프랙털 분석으로 인하여 조류로의 정량적 분류가 가능하며 지역의 지형에 따라서 조류로의 발달 형태가 달라 프랙털 차원 값이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철환, 박철 외 7명,1997. 해양생물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2. 권순진,2005. 프랙털 차원을 이용한 지질공학적 지구 조구 설정 기준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박경우, 김천수, 배대석, 김경수, 고용권, 김건영, 조성일,2004 한반도 선구조 분석에 대한 Fractal dimension의 적용,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포스터 11-25
  4. 선우춘, 1989. Fractal 방법에 의한 fracture network 의 분포 해석, Jour. Geol. Soc. Korea, 25: 468-473
  5. 신정환, 장태우, 2001. 포항분지지역에 발달하는 단열의 프랙탈 분석, 한국암석학회 2001년도 공동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11-114
  6. 유주형, 우한준, 유흥룡, 안유환,2004. EOC를 이용한 강화도 갯벌 조류로와 퇴적상과의 관계 연구, 2004, GIS/RS 공동춘계학술대회, 한국과학기술회관, March 26, pp. 475-479
  7. 우한준, 제종길, 2002. 강화 남부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Ocean and Polar Research, 24: 331-343 https://doi.org/10.4217/OPR.2002.24.4.331
  8. 장진호, 1995, 한국 서해안 곰소만 조간대의 퇴적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2
  9. 차상화, 권기욱, 2001. GIS를 이용한 하천유역의 프랙탈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1-60
  10. 최한우, 장태우, 1999. 모량단층 주변 절리의 분포 특성과 프랙탈 해석, 지질공학학회지, 9: 119-134
  11. Angeles, G. R., 2004. Fractal analysis of tidal channels in the Bahia Blanca Estuary (Argentina), Geomorphology, 57: 263-274 https://doi.org/10.1016/S0169-555X(03)00106-5
  12. Carr, J. R. and Benzer, W. B., 1991. On the practice of estimating fractal dimension. Math, Geol., 23: 945-58 https://doi.org/10.1007/BF02066734
  13. Cleveringa, J. and Oost, A. P., 1999. The fractal geometry of tidal-channel systems in the Dutch Wadden Sea, Geologie en Mijnbouw, 78: 21-30 https://doi.org/10.1023/A:1003779015372
  14. Frazier, P. S. and Page, K. J., 2000. Water body detection and delineation with Landsat TM data,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6: 1461-1467
  15. Lee, Y K., Ryu, J. H., Eom J. A., Kwak, J. Y, and Won, J. S., 2006. Detection of the morphologic change on tidal flat using intertidal DEMs, ISRS 2006 PORSEC (CD-Rom)
  16. Mandelbrot, B. B., 1967. How long is the coast of Britain? Statistical self-similarity and fractional dimension, Science, 156: 636-638 https://doi.org/10.1126/science.156.3775.636
  17. Mandelbrot, B. B., 1983. The fractal geometry of nature, Freeman, New York
  18. Okubo, P. G. and Aki, K., 1987. Fractal Geometry in the San Andreas Fault System, J. Geophys, Res., 92: 345-355 https://doi.org/10.1029/JB092iB01p00345
  19. Richardson, L. F., 1961. The problem of contiguity: an appendix of statistics of deadly quarrels. General Systems Yearbook, 6: 139-187
  20. Rodriguez. I. I. and Rinaldo, A., 1997. Fractal River Basins: Cjance and Self-Organization,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547
  21. Ryu, J. H., Won, J. S., and Min, K. D., 2002. Waterline extraction from Landsat TM data in a tidal flat: A case study in Gomso Bay, Ko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 442-456 https://doi.org/10.1016/S0034-4257(02)00059-7
  22. Turcotte, D. L., 1992. Fractals and Chaos in Geology and Geophysics, Cambridge Univ. Press, Cambridge, 275
  23. Xiaohua Z., Yunlong C., and Xiuchun Y, 2004, On Fractal Dimension of China's Coastlines, Mathematical Geology, 36: 447-461 https://doi.org/10.1023/B:MATG.0000029299.02919.f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