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Accessibility Patterns for Commuting Trips in Seoul Metropolitan Area

수도권 통근통행의 접근도 변화패턴 분석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accessibility patterns for commuting trips in Seoul Metropolitan Area using National Census Data between 1990 and 2000. the results show that the accessibility increased between 1990 and 1995, while it decreased between 1995 and 2000, due to the raised commuting time. Seoul, Kangju, Yeuju, Yangpyoung, Gapyoung show relatively high accessibility. The GINI parameters tell that the regional balance for commuting accessibility were worsen between 1990 and 1995, compared to that between 1995 and 2000. The accessibility patterns for commuting to Seoul were also analyzed 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accessibility reduced between 1995 and 2000. Kwachun, Kwangju, Sungnum are found to have very high accessibility to Seoul, which is close to Soeoul with high percentage of incoming commuting trip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ven continuous transport infrastructure supplies were not enough to solve the congestion problems for commuting trips in Seoul Metropolitan Area because of the induced traffic and traffic congestion.

본 연구에서는 인구주택총조사자료를 이용하여 과거 $1990{\sim}2000$년간 수도권내 각 시군의 접근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여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 시군별 접근도 변화를 살펴보면, $1990{\sim}1995$년에는 수도권 시군별 접근도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1995{\sim}2000$년에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에서 가장 접근도가 놓은 지역은 서울, 광주, 여주, 양평, 가평 등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지역별 접근도의 불평등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지니 계수를 분석해 본 결과 1990년에서 1995년에는 시군별 불균형이 증가하였으나 2000년의 경우는 상대적인 불균형정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각 시군에서 서울시로의 접근도 변화를 살펴본 결과 $1990{\sim}1995$년에는 서지로의 유입통근통행의 접근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1995{\sim}2000$년에는 서울시로의 접근도가 전반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로의 유입통행의 접근도가 높은 지역은 과천시, 광주군, 성남시 등으로 서울시로의 유입통행비율이 높고 서울에 근접한 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에서 접근도가 높은 지역인 여주, 가평, 포천 등은 서울로의 유입통행에 대해서는 접근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접근도의 결과는 그동안의 지속적인 교통시설투자와 공급정책에도 불구하고 유발교통량으로 인한 교통 혼잡 등으로 수도권내 접근성이 악화된 도시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통개발연구원, 2002년 국가교통DB구축사업-수도권 및 지방 5개 광역권 여객통행량분석
  2. 김강수.정경옥, 2004,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대도시 통근통학 분석, 교통연구원
  3. 김광식, 1987, '접근성의 개념과 측정치,' 대한교통학회지, 5(1), 33-46
  4. 김동효.안강기, 1997, 수도권 통근.통학 인구규모 및 특성분석, 통계청
  5. 남영우, 1988, '한국도시의 연결체계: 전화통화량을 지표로,' 국토계획, 23(2), 41-53
  6. 남영우.北田晃司.손승호.성은영, 2000, '그래프이론으로 본 서울시의 통행목적별 결절지역구조,' 국토계획, 35(2), 81-91
  7. 남영우.이경택.손재선, 2004, '통행목적별 트립으로 본 수도권의 지역구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7(1), 1-12
  8. 남영우.한문희.우관석, 2005, '수도권의 통행수단별 지역연결체계,'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1), 7-16
  9. 서울특별시, 2003 서울시 가구통행실태조사
  10. 손승호, 2000, '서울시의 출근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3(2), 81-91
  11. 손승호, 2003, '수도권의 통근통학통행과 지역구조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6(1), 69-83
  12. 손승호, 2005, '서울시 통근통행의 공간구조변화: 1996-2002년,' 서울도시연구, 6(2), 79-94
  13. 신상영, 2003, '직주접근성과 통근통행: 수도권을 사례로,' 국토계획, 38(4), 73-87
  14. 윤인하.김호연, 2003, '수도권의 통근통행패튼에 관한 연구: 1990-1996,' 국토계획, 38(6), 87-97
  15. 이승재.정일호.권혁.류승규, 2003, 수도권 통행패턴 변화분석을 통한 교통정책 방향 도출 연구, 국토연구원
  16. 이종호.진교남, 1991, 교통센서스자료분석연구, 교통개발연구원
  17. 정명진.정명지, 2003, '서울대도시권 통근통행 특성변화 및 통근거리 결정요인 분석: 1980-2000년의 변화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8(3), 159-173
  18. 정희윤.김선웅, 2002, 서울시 장거리 및 교차통근의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 하성유.김재익, 1992, '주거지와 직장의 불일치 현상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7(1), 51-71
  20. 허우긍, 1991, '서울의 통근과 거주지 선택,' 지리학, 26(1), 46-61
  21. Bach, L., 1981, The problem of aggregation and distance for analyses of accessibility and access opportunity in location-allocation models, Environment and Planning A, 13(8), 955-978 https://doi.org/10.1068/a130955
  22. Hansen, W.G., 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25(1), 73-76 https://doi.org/10.1080/01944365908978307
  23. Hutchinson, B.H., 1974, Principles of Urban Transport Systems Planning, McGraw Hill
  24. Gutierrez, J., Gonzilez, R., and Gomez, G., 1996, The European high-speed train network,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4, 227-238 https://doi.org/10.1016/S0966-6923(96)00033-6
  25. Gutierrez, J., 2001, Location, economic potential and daily accessibility: an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impact of the high-speed line Madrid-BarcelonaFrench border,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9, 229-242 https://doi.org/10.1016/S0966-6923(01)00017-5
  26. Lowry, I.S., 1964, A Model of Metropolis, Rand Corporation, Santa Monica
  27. Sweet, R., 1997, An aggregate measure of travel utility,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1, 403-416 https://doi.org/10.1016/S0191-2615(97)00004-0
  28. Wilson, A.G., 1974, Urban and Regional Models in Geography and Planning, John Wiley, London
  29. Zhu, X. and Liu, S., 2004, Analysis of the impact of the MRT system on accessibility in Singapore using an integrated GIS tool,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2, 89-101 https://doi.org/10.1016/j.jtrangeo.2003.10.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