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odeling Study for Change of Tidal Zone and Flushing Rate by the Construction of Sea Dike

해안 구조물 건설에 따른 조간대 및 희석률 변화에 관한 모델 연구

  • Kim, Hyun-Kyou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Hye-W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Choi, Jung-Hyu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Park, Seok-S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김현경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이혜원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최정현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박석순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07.10.31

Abstract

This study predicts the changes of near-shore hydraulic behavior and tidal Tone induced by water movement through the sea dike associated with the progress of the Saemangeum construction using RMA-2/RMA-4 models. 4 different geometric grids were generated to represent the changes of geological features according to the project progress. Salinity was used to simulate the flushing rate which finds out the effect of physical process on water quality. The model results shows that there is up to 34% decrease of tidal zone when sea water passes through Sinsi and Garyuk floodgates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In addition, there is gradual decrease of flushing rate by the restriction of water movement which results in the accumulation of contaminants incoming from the watershed withing the Saemangeum area.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conduct water quality management based on the capacity of self·purification for the successful progress of the Saemangeum construction.

본 논문은 새만금 지구의 방조제 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방조제 개방구간을 통한 해수 소통시 호측의 수위 변화 및 조간대의 변화를 2차원 모델인 RMA-2/RMA-4를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방조제 건설 진행 단계에 따라 4개의 단계로 나누어 격자를 구성하고 모의하였으며, 조석에 의한 물리적인 수질변화만을 파악하는 희석률은 사멸을 고려하지 않는 염분도를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모델을 적용하여 조간대의 넓이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사 전에 비해 공사 완공 후 신시 가력 배수갑문을 통해 해수가 유통되는 경우 약 34%의 조간대가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공사에 따른 희석률을 비교한 결과, 해수 유동이 제한되면서 모든 비교 지점에서 희석률이 감소했다. 희석률이 감소하는 현상을 통해 방조제가 건설되면, 해수유동의 변화로 인해 항내 오염원이 유입될 경우 외해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정체되는 결과가 초래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새만금 사업을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자정능력의 변화로 인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확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Frey, R. W., Howard, J. D., Han, S. J., and Park. B. K., 'Sediments and sedimentary sequences on a modem macrotidal flat, Inchon, Korea,'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59, 28 - 44(1989)
  2. 양하백, '해외 간척사업의 최근 동향,' 국토연구원 국토 정책, 40, 2-4(2003)
  3. 윤춘경, 함종화, 'SWMM과 WASP5 모형을 사용한 하구담수호의 수질 예측,' 한국환경농학회지, 19(3), 252 - 258(2000)
  4. Wright, J. and Worrall, F., 'The effects of river flow on water quality in estuarine impoundments,' Physics and Chemistry of the Earth (B) , 26(9), 741 - 746(2001)
  5. Fisher, H. B., List, E. J., Koh, R. C. Y., Imberger, J., and Brooks, N. H., 'Mixing in Inland and Coastal,' Waters, Academic Press, New York, pp. 483(1979)
  6. 박석순, 박재우, '해안매립에 따른 항내 조류변화 예측,' 환경영향평가학회지, 5(1), 31 - 45(1996)
  7. 농어촌진흥공사, '한국의 간척,' (2002)
  8. 김종구, 김양수,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서 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1. 해역의 수질 특성 및 저질의 용출 부하량 산정,' 한국수산학회지, 35(4), 348 - 355(2002)
  9. 김종구, 김양수, 조은일, '새만금 사업지구의 연안해역에 서부영양화관리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2.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한국수산학회지, 35(4), 356 - 365(2002)
  10. 농업기반공사, '2002년 새만금호 수질관리 및 수환경개선 조사연구,' (2002)
  11. 박정은, 박석순, '폐쇄 해역의 자정능력 평가를 위한 모델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19(3), 247 -256(2003)
  12. Brigham Young University-Engineering Computer Graphics Laboratory, 'Surface Water Modeling System: User's Manual,'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