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ow Influence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Precipitation

강설이 겨울철 강수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 Kang, Gong-Unn (Department of Medical Administration, Wonkwang Health Science College) ;
  • Kim, Nam-Song (School of Preventive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Oh, Gyung-Jae (School of Preventive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
  • Shin, Dae-Yew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osun University) ;
  • Yu, Du-Cheol (Jelabukdo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Sang-Baek (Korea Global Atmosphere Watch Observatory/METRI/KMA)
  • 강공언 (원광보건대학 의무행정과) ;
  • 김남송 (원광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 오경재 (원광대학교 예방의학교실) ;
  • 신대윤 (조선대학교 환경공학과) ;
  • 유두철 (전라북도 보건환경연구원) ;
  • 김상백 (기상연구소 지구대기감시관측소)
  • Published : 2007.01.31

Abstract

To know the differences in ionic compositions in rain and snow as well as snow influence on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inter precipitation, precipitation samples were collected by the wet-only automatic precipitation sample, in winter(November-February) in the Iksan located in the northwest of Chonbuk from 1995 to 2000. The samples were analyzed for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ion species, in addition to p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The mean pH of winter precipitation was 4.72. According to the type of winter precipitation, the mean pH of rain was 4.67 and lower than 5.05 in snow. The frequencies of pH below 5.0 in rain were about 73%, while those in snow were about 30%. Snow contained 3 times higher concentrations of sea salt ion components originated from seawater than did rain in winter, mainly $Cl^-,\;Na^+$, and $Mg^{2+}$. Neglecting sea salt ion components, $nss-SO_4^{2-}$ and $NO_3^-$ were important anions and $NH_4^+$ and $nss-Ca^{2+}$ were important cations in both of rain and snow. Concentrations of $nss-SO_4^{2-}$ was 1.3 times higher in rain than in snow, while those of $nss-Ca^{2+}$ and $NO_3^-$ were 1.5 and 1.3 times higher in snow, respectively. The mean equivalent concentration ratio of $nss-SO_4^{2-}/NO_3^-$ in winter precipitation were 2.4, which implied that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sulfuric and nitric acids to the precipitation acidity was 71% and 29%, respectively. The ratio in rain was 2.7 and higher than 1.5 in sn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 of $NO_3^-$ in rain and snow could be due to the more effective scavenging of $HNO_3$ vapor than particulate sulfate or nitrate by snow. The lower ratio in snow than rain is consistent with the measurement results of foreign other investigators and with scavenging theory of atmospheric aerosols. Although substantial $nss-SO_4^{2-}$ and $NO_3^-$ were observed in both of rain and snow, the corresponding presence of $NH_4^+,\;nss-Ca^{2+},\;nss-K^+$ suggested the significant neutralization of rain and snow. Differenc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non-sea salt ions and neutralizing rapacity of $NH_4^+,\;nss-Ca^{2+}$, and $nss-K^+$ between rain and snow could explain the acidity difference of rain and snow. Snow affected that winter precipitation could be less acidic due to its higher neutralizing rapacity.

강설과 강우에서의 이온성분 차이와 강설이 겨울철 강수의 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북 익산지역에서 1995년부터 2000년까지 강우와 강설의 포집이 가능한 매 $11\sim12$월과 $1\sim2$월 동안에 자동강수채취장치를 사용하여 강수를 포집한 후 pH와 전기전도도 그리고 수용성 이온성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겨울철 강수의 평균 pH는 4.72이었으며, 강수의 침적형태에 따라서는 강설(5.05)보다 강우(4.67)에서 높은 산성도를 나타내었다. pH 5.0 이하의 저 pH 발생빈도는 강우의 경우 약 73%이었으며, 강설은 30%이었다. 이온성분의 경우 강설은 강우에 비해 해염에서 기원하고 있는 이온성분들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특히 $Cl^-$, $Na^+$, $Mg^{2+}$ 의 경우 3배 이상의 농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해염기원 성분을 제외할 경우 강우와 강설 모두 음이온에서는 $nss-SO_4^{2-}$$NO_3^-$가 그리고 양이온에서는 $NH_4^+$$nss-Ca^{2+}$가 주성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nss-SO_4^{2-}$는 강우에서 1.3배 높은 농도를 나타낸 반면, $nss-Ca^{2+}$$NO_3^-$의 경우 강설에서 각각 1.5배와 1.3배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겨울철 강수 중 $nSS-SO_4^{2-}/NO_3^-$의 당량농도비는 2.4이었는데 이것은 강수의 산성도에 대한 $H_2SO_4$의 기여율이 71%이고 그 나머지가 $HNO_3$에 의한 것임을 의미한다. 강우와 강설에서는 각각 2.7과 1.5를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입자상의 $SO_4^{2-}$$NO_3^-$보다 가스상의 $HNO_3$가 강설에서 효율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으로 국외의 다른 실측 연구결과와도 일치하고 있으며, 대기에어로졸의 세정이론과도 잘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산지역의 겨울철 강우와 강설 모두 $nss-SO_4^{2-}$$NO_3^-$가 국내 외 비오염지역에 비해 고농도로 검출되었지만, 이에 대응하는 알칼리성의 $NH_4^+$, $nss-Ca^{2+}$, $nss-K^+$ 등이 존재함으로써 중화작용이 이 지역 강수의 중요한 특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강우와 강설에서의 이온성분의 차이 그리고 산성원인물질에 대한 이들 알칼리성 물질의 중화능 차이에 의해 강우에 비해 강설의 산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적으로 강설은 겨울철 강수의 산성도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공언, 김남송, 전선복, '가을철 대기환경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침적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2(4), 359-372(2006)
  2. 原宏, 酸性雨(酸性雨とその生成メカニズム), 大氣汚染學會誌, 26(2), A33-A40(1991)
  3. Howells, G., Acid rain and acid waters, Ellis Horwood, pp. 9-149(1990)
  4. Legge, A. H., Krupa, S. V., Acidic deposition : Sulphur and nitrogen oxides, Lewis Publishers Inc., pp. 5-8(1990)
  5. 김기현, 김용표, 이강웅, 김조천, 김득수, 구윤서, 강공언, 이정주, 이병규, 김종호, 대기환경학, 향문사(2006)
  6. http://en.wikipedia.org/wiki/Cloud_condensation_nuclei, Cloud condensation nuclei(2007)
  7. Finlayson-Pitts, Barbara J. and Pitts, James N. Jr., Chemistry of the Upper and Lower Atmosphere -Theory, Experiments, and Applications-, Academic Press(2000)
  8. 강공언, 강병욱, 김희강, '해안지역과 도시지역 강수의 화학적 성상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3), 191-197(1992)
  9. 강공언, 강병욱, 김희강, '강화지역 강수의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1), 57-68(1995)
  10. 강공언, 이주희, 김희강, '서울지역 강수 중 이온성분 분석 자료의 해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3), 323-332(1996)
  11. 강공언, 신대윤, 김희강, '익산지역에서 봄철 강수의 화학 성상과 중화능,' 대기환경공학회지, 21(1), 197-206(1999)
  12. 강공언, 오인교, 김희강, '익산지역 강수의 계절별 산성도와 화학성상,'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4), 393-402(1999)
  13. 강공언, 전종남, 김희강, '강수 중 화학성분 분석자료의 해석,' 한국환경위생학회지, 22(4), 62-68(1996)
  14. 강공언, 임재현, 김희강, '서울지역 강수 산성도의 장기적 경향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3(1), 9-18(1997)
  15. 강창희, 홍상범, 김원형, 고희정, 이순봉, 송정민, '1997-2005년 제주시 지역 강수의 산성화 및 중화 특성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4), 487-498(2006)
  16. 구자공, 박경렬, '대전지역 산성강우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9(2), 147-153(1993)
  17. 김만구, 강미희, 임양석, 박기준, 황훈, 이보경, 홍승희, 이동수, '산성강하물의 침착량과 동태 해명에 관한 연구-춘천과 서울 강우의 화학조성 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2), 89-100(1999)
  18. 김선태, 임봉민, ,Tsujino, T., Maeda, Y., '동북아시아 지역 강수의 화학적 성분 비교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7(4), 523-529(1998)
  19. 김지영, 전영신, 조하만, 최재천, 남재철, 김산,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내린 강수의 중화특성,' 한국기상학회지, 36(1), 15-24(2000)
  20. Lee, B. K., Hong, S. H., and Lee, D. S., '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and wet deposition of major ions on the Korean peninsula,' Atmos. Environ., 34, 563-575(2000) https://doi.org/10.1016/S1352-2310(99)00225-3
  21. 류성규, 권오일, 배광수, 서길수, '경북 영천과 구미지역 산성강우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18(9), 1115-1124(1996)
  22. 문영수, 박문기, 김희종, 김경익, 이동인, '경산에서의 강수의 화학성분과 지상풍과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지, 15(2), 141-152(1996)
  23. 박승택, 강공언, 최규철, '익산지역 겨울철 강수의 산성도와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5(12), 1584-1595(2003)
  24. 박종길, 황용식, '김해지방의 강수의 산도 및 화학적 성분 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6(5), 461-472(1997)
  25. 손동헌, 양성칠, '서울시의 산성물질 강하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1),33-41(1985)
  26. 송기형, 박용남, 정용승, 박국태, '충청북도 농촌 지역의 강수의 산성도에 관한 기초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8(1), 38-44(1992)
  27. 심상규, 강창희, 김용표, '제주도에서의 빗물 이온 농도 분석,'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0(2), 98-104(1994)
  28. 오길영, 양수인, 이원진, '목포, 여천지역 강수의 무기이온 성분농도와 거동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5(4), 385-392(1999)
  29. 이근준, 정용승, '충남 웅천에서 관측된 강수의 산성도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2(2), 179-187(1996)
  30. 정용승, 김태군 '한국 서해안에서 관측된 산성비의 발원지 추적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7(3), 203-207(1991)
  31. 조경숙, 오성남, 최재천, 박상순, 방소영, '한반도 배경지역 강수 중 수용성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희지, 39(1), 29-41(2003)
  32. 조하만, 최재천, 김지영, 전영신, 김산, '1994-1997년 중 부지방에 내린 강수의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보전학회지, 14(6), 589-598(1998)
  33. 최재천, 김성균, 이민영, 김산, '1991-1995년 소백산 지역에 내린 강수의 화학 조성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3(3), 477-485(1997)
  34. 익산시홈페이지 , http://www.iksan.go.kr/intro/?intro_1610, 주요통계(2006)
  35. 강공언, '익산지역에서 자동 및 수동채취방식에 따른 강수의 화학적 특성 비교,'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0(3), 381-396(2004)
  36. 정관영, 정영선, 황병준,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한반도 강설 지역 구분,' 한국기상학회지, 35(3), 466-473(1999)
  37. Kasahara, M., Takahashi, K., and Shimada, M., 'Identification and apportionment of release sources of particulate matters in the atmosphere,' J. Japan Soc. Air Pollut., 19(5), 337-358(1984)
  38. Wilson, T. R. S., Salinity and the major elements of sea water. In: Riley, J.P., Skirrow, G.(Eds.), Chemical Oceano-graphy(1, 2 Edition). Academic, Orlando FL, pp. 365-413(1975)
  39. Cheng, Z. L., Lam, K. S., Chan, L. Y, Cheng, K. K.,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erosols at coastal station in Hong Kong. I. Seasonal variation of major ions, halogens and mineral dusts between 1995 and 1996,' Atmos. Environ., 34, 2771-2783(2000) https://doi.org/10.1016/S1352-2310(99)00343-X
  40. Tsitouridou, R., C. Samara, First results of acidic and alkaline constituents determination in air particulates of The-ssaloniki, Greece, Atmos. Environ., 27B(3), 315(1993)
  41. Samara, C, Tsitouridou, R, and Balafoutis, Ch., 'Chemical composition of Rain in Thessaloniki, Greece, in relation to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 Environ., 26B(3), 369-367(1992)
  42. http://www.seafriends.org.nz/oceano/seawater.htm,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eawater,' By Dr. J Floor Anthoni(2000, 2006)
  43. Ahmed, A. F. M., Singh, R. P., and Elmubarak, A. H., 'Chemistry of atmospheric precipitation at the Western Arabian Gulf Coast,' Atmos. Environ., 24A(12), 2927-2934(1990)
  44. Singer, A., Shamay, Y., and Fried, M., 'Acid rain on Mt Carmel, Israel,' Atmos. Environ., 26B(4) 2287-2292(1993)
  45. Hara, H., Ito, E., Katou, T., Kitamura, Y., Komeiji, T., Oohara, M., Okita, T., Sekiguchi, K., Taguchi, K., Ta-maki, M., Yamanaka, Y., and Yoshimura, K., 'Analysis of Two-Year Results of Acid Precipitation Survey within Japan,' Bull. Chem. Soc. Jpn., 63, 2691-2697(1990) https://doi.org/10.1246/bcsj.63.2691
  46. 김상백, 최병철, 오숙영, 김산, 강공언, '한반도 배경지역(안면, 울진, 고산) 강수의 산성도와 화학특성',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2(1), 15-24(2006)
  47. Kang, Gongunn, Jeffrey L. Collett JR., Dae-Ywen Shin, Shin-Ichi Fujita and Hui-Kang Kim,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on the Western and Eastern Coasts of Korea,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51, 11-34(2004) https://doi.org/10.1023/B:WATE.0000009854.40334.da
  48. Galloway, J. M., Likens, G. E., Keene, W. C, and Miller, J. M., 'The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in remote areas of the world,' J. Geophys. Res., 87, 8771-8786 (1982) https://doi.org/10.1029/JC087iC11p08771
  49. Galloway, J. N. and Gaudry, A., 'The composition of precipitation on Amsterdam Island, Indian Ocean,' Atmos. Environ., 18, 2649-2656(1984) https://doi.org/10.1016/0004-6981(84)90329-9
  50. Marinorn, A., Polesello, S., Smiraglia, C, Valsecchi, S.,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snow samples from the southern slope of Mt. Everest region(Khumbu-Himal region, Nepal),' Atmos. Environ., 35, 3183-3190(2001) https://doi.org/10.1016/S1352-2310(00)00488-X
  51. Topol, L. E., 'Differences in ionic compositions and behavior in winter rain and snow,' Atmos. Environ., 20(2), 347-355(1986) https://doi.org/10.1016/0004-6981(86)90037-5
  52. Huebert, B. J. and Lazarus, A. L., 'Tropospheric gasphase and particulate nitrate measurements,' J. geophys. Res., 85, 7322-7328(1980) https://doi.org/10.1029/JC085iC12p07322
  53. Huebert, B. J, Fehsenfeld, F. C, Norton, R. B., and Albritton, D., The scavenging of nitric acid vapor by snow. In precipitation Scavenging, Dry Deposition, and Resuspension, Vol. 1, Precipitation Scavenging, Elsevier, New York. pp. 293-300(1983)
  54. Chang, T. Y., 'Rain and snow scavenging of HNO3 vapor in the atmosphere,' Atmos. Environ., 18, 191-197(1984) https://doi.org/10.1016/0004-6981(84)902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