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flection of Science Museum Exhibitions in the Curriculum: A Case Study of the Contents of Earth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 기준 개발 및 적용 - 초등학교 지구과학 내용을 중심으로 -

  • Lee, Chang-Zin (School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Ryu, Chun-Ryol (School of Science Educ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in, Myeong-Kyeong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창진 (충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류춘렬 (충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신명경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flection of science museum exhibitions in science curriculum. Asses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national achievement standards for earth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s measured the reflection level and evaluation scale by applying the developed assesment standards to exhibitions i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flection level and evaluation scale of science curriculum far elementary school i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were measured as 52% and 3.53 respectively. Especially, the level of the reflection of science curriculum in the National Science Museum was found to be at the high level in Geologic field and Astronomic fiel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s an informal education institute is comparatively well connected to scie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museum should be connected with school education and it should start after a substantial reflection on the curriculum. For this, science museum need to develop standards that reflect science curriculum.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hat evaluate the level of connection between science museum and school education and that guid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cience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에 대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초등 과학과 지구과학 성취기준에 근거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고 이를 국립중앙과학관 전시에 적용하여 과학관 전시의 교육 과정 반영도와 평가 척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국립중앙과학관의 초등 과학과 교육 과정 중 지구과학 내용의 반영도는 52%이고 평가 척도는 3.53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지질 영역과 천문 영역에서는 높은 반영수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국립중앙과학관이 비형식 교육 기관으로서 학교 과학 교육과 비교적 잘 연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과학관은 학교 과학 교육과 연계되어야 하며, 그 과정은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충실히 반영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과학관이 교육 과정을 반영하는데 지표가 될 기준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의 결과는 과학관과 학교 과학 교육의 연계 수준을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1998, 과학과 교육 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9). (주)대한교과서, 서울, 101 p
  2. 김소희, 송진웅, 2003, 과학관 전시물의 특징과 학생들의 전시물에 대한 인식: 서울시 소재 3개 과학관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44-560
  3. 김정호, 이화진, 채선희, 김진숙, 박태호, 이재승, 황혜정, 윤현진, 조미혜, 양종모, 이경언, 김지현, 1999,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개발 연구: 초등학교 1, 2학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RRC 99-5, 582 p
  4. 김주훈, 이범홍, 이양락, 2000,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0-3-5, 166 p
  5. 김주훈, 김영애, 정구향, 2001,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 예시 평가 도구의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4-6, 310 p
  6. 김찬종, 신명경, 이창진, 차현정, 2006, 자연사박물관 전시물의 학교 지구과학 교육 과정 반영 정도와 전시 방법의 교육적 분석: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7(2), 130-139
  7. 김효경, 1999, 과학박물관의 현황과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p
  8. 류재택, 정구향, 강운선, 최승현, 김주훈, 이경언, 임찬빈, 박승렬, 안양옥, 류재만, 전경숙, 2000,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학년 성취 기준 및 평가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0-4-1, 630 p
  9. 신동희, 최승언, 송호장, 김동영, 1999, 고등 학교 '지구 과학 I' 과목의 성취 기준 개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0(4), 313-333
  10. 이선경, 최지은, 신명경, 김찬종, 임진영, 변호승, 이창진, 2004, 세계 주요 자연사박물관의 교육 프로그램의 유형 및 특징. 한국과학 교육학회지, 24(2), 357-374
  11. 이선경, 신명경, 김찬종, 2005, 자연사박물관의 전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6(5), 376-387
  12. 이양락, 이선경, 홍미영, 홍재식, 이미경, 조난심, 1998, 국가 교육 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연구: 고등학교 공통과학. 한국교육 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98-3-7, 221 p
  13. 장현숙, 최경희, 2006, 현장 학습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관 선호도 및 인식 변화. 한국과학 교육학회지, 26(3), 330-341
  14. 최지은, 김찬종, 이창진, 임진영,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2004, 자연사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69-885
  15. 최지은, 김찬종, 이창진, 임진영, 이선경, 변호승, 신명경, 2004, 자연사와 자연사 박물관에 대한 학생, 교사, 학부모들의 인식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869-885
  16. Hursey, E., 1992, Excellence and equity: Education and the public dimension of museums. American Association of Museums, Washington D.C., USA, 28 p
  17. Hein, G.E., 1998, Learning in the museum. Routledge. New York, USA, 203 p
  18.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1998, True needs true partners: Survey highlights-museums serving schools. Institute of Museum and Library Services, Washington D.C., USA, 14 p
  19. Song, J., Lee, J., Kim, S., Oh, W., and Cho, S., 2004, A survey of the distribution of the facilities supporting students' out-of-schoo1 science activities and their program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 (1), 157-170
  20. Wellington, J., 1990, Formal and informal learning in science: The role of the interactive science centres. Physics Education, 25 (5), 247-252 https://doi.org/10.1088/0031-9120/25/5/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