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ouse Dissimilarity and Marital Stability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상이성과 결혼 안정성

  • Published : 2007.12.25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attern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divorced couples of international marriage in Korea.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dissimilarity between husband and wife on the duration of marriage of divorced couples. It examines whether the differences of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married couples are linked to different process within their relationships and duration of marriage. Attention is focused on couple's age and education. Micro-data from divorce registration for the period of 1995-2005 are utilized. Results of analyses reveal the following. First, married couples may have different responses to dissimilarity between the partners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nationality of the couples. This indicates that cross-border marriage does not represent the same type of union in different societies or cultures. Second, both dissimilarities of age and education show negative impacts on the marital duration of the couples with foreign wiv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its pattern. Age dissimilarity displays higher impacts on the duration. Third, the result also indicates that the contribution of dissimilarity of age and education on marital duration is relatively small among the couples with foreign husbands.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국제결혼 부부 중에서 이혼한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살펴보고, 이들 부부의 연령과 교육 같은 사회인구학적 차이가 결혼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계청이 발표한 1995년부터 2005년까지의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첫째, 국제결혼 부부의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국적에 따라 다르다. 사회인구학적 특징과 차이는 남편이 외국 출신인가 아니면 부인이 외국 출신인가에 따라 달라질 뿐만 아니라, 외국 출신 배우자의 구체적인 출신 국가별로도 큰 차이를 보인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특징 중에서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은 국제결혼의 결혼 안정성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연령 상이성이 교육 상이성보다 결혼 안정성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외국 출신 배우자의 성별과 출신국가는 사회인구학적 차이와 결혼 안정성 사이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친다. 외국 출신 남편과의 국제결혼에 비해 외국 출신 부인과의 국제 결혼의 경우에 연령과 학력의 상이성이 결혼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크다. 특히 필리핀, 몽골, 우즈베키스탄을 제외한 외국 출신 부인의 경우에는 남편과 부인의 교육수준이 동일한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외국 출신 남편의 경우에는 남편의 교육 수준이 부인보다 높을 경우 결혼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 (1999) '한국 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 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1-80
  2. 김두섭 (2006) '한국인 국제결혼의 설명틀과 혼인 및 이혼신고자료의 분석' 한국인구학, 29(1): 25-56
  3. 김숙자 (1998) '한국 남성과 중국 조선족 여성과의 섭외혼인 실태와 그 대책' 가족법 연구 12: 93-137
  4. 박현정 (2004) '광주 . 전남지역 국제결혼 한 이주여성 실태보고' 광주 . 전남지역 국제결혼한 이주여성 실태보고 및 토론회. 광주 여성의 전화 부설 가정 폭력상담소. 1-34
  5. 설동훈 (2006) '국민 민족 인종: 결혼이민자 자녀의 정체성' 한국사회학회, 동북아 다문화 시대 한국사회의 변화와 통합 동북아시대위원회 용역과제 보고서
  6.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홍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 정책방안 미래인력연구원. 보건복지부 용역연구 보고서
  7. 윤정숙. 임유경 (2004) '성별화된 이주 방식으로의 국제결혼과 여성에 대한 폭력: 필리핀여성과 한국남성의 결혼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
  8. 윤형숙 (2004a)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 김성국. 정근식. 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321-349
  9. 윤형숙 (200b)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2004년 한국여성학회 심포지움 발표논문
  10. 이혜경 (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11. 통계청 (2006) 2005년 혼인. 이혼통계 결과 인구동향과 보도자료. 통계청
  12. 통계청 (2007a) 2006년 혼인. 이혼통계 결과 인구동향과 보도자료. 통계청
  13. 통계청 (2007b) 한국통계정보시스템(KOSIS). http://kosis.nso.go.kr/
  14. 황정미 (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 다문화 지향성에 관한 조사연구 여성정책개발원 내부자료
  15. 홍기혜 (2000) '조선족 여성과 한국 남성간의 결혼을 통혜 본 이주의 성별 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학위논문
  16. Becker, Gary S. (1974) 'A Theory of Marriage' pp. 299-344 in Economics of the Family: Marriage, Children, and Human Capital, edited by Theodore W. Schultz.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Becker, (1981) A Treatise on the Famil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8. Bernard. Jessie (1966) 'Marital Stability and Patterns of Status Variab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28: 421-439 https://doi.org/10.2307/349538
  19. Blau, Peter M., Terry C. Blum, and Joseph E. Schwartz (1983) Crosscutting Social Circles: Testing a Macrostructural Theory of Intergroup Relations. New York: Academic Press
  20. Bowerman, Charles E. (1964) 'Predication Studies' PP. 215-46 in Handbook of Marriage and the Family. edited by Harold T. Christensen. Chicago: Rand Mcnally & Company
  21. Bumpass, Larry L. and James A. Sweet (1972) 'Differentials in Marital Instability: 1970'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7: 754-766 https://doi.org/10.2307/2093585
  22. Castles, Stephen and Mark J. Miller (2003) The Age of Migration, Third Edition, New York & London: The Guilford Press
  23. Curtright, P. (1971) 'Income and Family Event: Marital Stabi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 291-306 https://doi.org/10.2307/349415
  24. Udry, J. Richard (1966) 'Marital Instability by Race, Sex, Education, and Occupation Using 1960 Census Data'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2(September): 203-209 https://doi.org/10.1086/224279
  25. Edmunds, June (2006) 'Migration Studies: New Directions?' Ethnicities 6(4): 555-564, Sage https://doi.org/10.1177/1468796806070721
  26. Goode, Williams J. (1966) 'Family Disorganization' pp. 479-552 in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edited by Robert K. Merton and Robert A Nibset, New York: Harcourt, Brace and World, Inc
  27. Kim. Doo-Sub (2007) 'The Ri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Divorce in Contemporary Korea' Population and Society 3(1): 1-37
  28. Levinger, George (1976)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artial Dissolution' Journal of Social Issues 32(1): 21-47 https://doi.org/10.1111/j.1540-4560.1976.tb02478.x
  29. Lucas, R. E. B. (1981) 'International Migration: Economic Causes, Consequences, Evaluation and Policies' in Global Trends in Migration, edited by Mary M Kritz et al., New York: Center for Migration Studies of New York
  30. Richmond, Anthony H. (1981) 'Immigrant Adaptation in a Postindustrial Society' in Global Trends in Migration, edited by Mary M Kritz et al., New York: Center for Migration Studies of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