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nd of Biodiesel Status and Rapeseed Cultivation Machinery Technology in Japan

일본의 바이오디젤 현황 및 유채 재배 기계기술 동향

Lee, Choung-Keun;Lee, Sang-Bong
이충근;이상봉

  • Published : 20070600

Abstract

Biodiesel will be considered to extend due to biomass Japan policy, change of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establish of biodiesel quality standard. Rapeseed seeding rates were about 300~900g/10a in broadcast seeding, about 300g/10a in drill seeding, seeding depth was about 1~2cm, a yield productivity in drill seeding was high 10~30% more than the broadcast seeding. In order to prevent an excess moisture injury of rapeseed an drainage canal was made as 3~6m the interval of a bed to bed. Nitrogen fertilizer was applied 8~12kg/10a(ingredient base) as additional fertilizer and basal dressing and 100kg/10a of the magnesium lime to prevent the deficiency of boron. Optimal harvest stage using harvest machine was to changed time as black color of 5~6 seeds among pod seeds in point 1/3 from the ear end of main stem, seed moisture content of 12%. A harvest loss was about 10.4%. The goal dry moisture content was 8%, heating temperature was about 45℃, drying rate was 1.35%/hr, the goal of dry moisture content in case of long term storage was 7%. Using agricultural machines in rapeseed cultivation were used as partly reform of a usual practice machine to decrease of agricultural machine expenditure cost. However, a reductive method of harvesting loss, improvement of cleaning operate accuracy and protection of thieve plugging during drying operation were remained to solve techniques in rapeseed cultivation mechanization.

일본의 바이오디젤 일반현황과 유채 재배 기계기술에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결과들을 얻을 수 있었다. 1. 유채꽃 네트웍을 중심으로 한 지역 사회 자원 순환 사이클의 구성요소로 보급되기 시작한 바이오디젤은 바이오매스 일본이란 정책적 뒷받침과 농업환경의 변화 그리고 품질규격의 제정에 의해 바이오디젤 원료생산과 보급은 지금보다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2. 유채 파종량은 산파의 경우 300~900g/10a, 조파의 경우 300g/10a 정도를 살포하고 있었으며, 파종 깊이는 1~2cm정도였으며, 수량성은 조파의 경우가 10~30% 높다고 하였다. 습해피해 방지를 위해 배수로를 만들어 주었으며 간격은 3~6m 정도로 하고 있었다. 질소 시비량은 기비와 추비를 합쳐 8~12kg/10a을 살포하고 있었으며, 붕소 결핍증 방지를 위해 고토석회를 100kg/10a을 살포하고 있었다. 3. 유채 기계 수확적기는 주경 이삭 선단에서 1/3지점의 꼬투리 종자가 5~6립 흑색으로 된 시점, 자실 수분은 12%정도 일 때였고, 수확손실은 최대 10.4%정도였다. 유채 건조 시 목표건조수분은 8%, 열풍 온도는 45℃였으며, 건감율은 1.35%/hr였으며, 장기보관을 할 경우는 자실 수분이 7%까지 건조하였다. 4. 유채 재배에 필요한 파종기, 시비기, 방제기, 수확기, 건조기 그리고 정선기 등의 농기계지출비용 최소화를 통한 유채재배 생산비 절감을 위해 기존 기계를 대부분 유채에 맞게 부분적으로 개량해서 사용하고 있었다. 수확 시 손실절감과 선별정도 향상 그리고 건조 중 발생하는 건조기 내 타공망 막힘 현상은 기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희찬.2007. 한국형 바이오연료의 가능성 평가 및 시사점 보고서 비용/편익 분석을 중심으로. 삼성경제연구소
  2. 고유상. 2006. 미국에서의 바이오에너지 개발동향. Biomass의 자원화기술 및 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심포지엄 및 춘계학술 대회 자료집. pp. 22-28
  3. 농촌진흥청.2006. 농업용 친환경에너지 연구개발 중장기 계획 자료집
  4. 배재근.2006. 일본의 바이오메스 관련 정책동향(바이오메스 일본 전략). Biomass의 자원화기술 및 관리체계 구축방안에 관한 심포지엄 및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pp. 29-44
  5. 산업자원부.2003. 제 2차 신 •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 보 급 기본계획 자료집
  6. 산업자원부.2006. '06년 7월부터 바이오디젤 사용화 개시
  7. 시부야 외 2인.2006 자농경용 에너지 이용을 위한 유채 기계화 생산기술 체계화(제 l보), 농업환경공학관련학회 2006년 합동대회 논문집 p.76
  8. 유경석. 2005. 대체에너지 기술 개발 및 보급정책. 대체에너지의 농업적 이용현황 및 기술개발 전략 자료집. 농촌진흥청 농업공 학연구소. pp. 11-55
  9. 일본 농림수산성.2006. 일본 농림수산성 유채재배면적 및 수량 등 관련 통계자료
  10. 松村正利 등.2006. 바이오디젤 최전선. 공업조사회 발행
  11. 農田 順介.2005. 유채유 유래의 BDP이용의 실재 보고서 , 시즈오 카현 트럭협회
  12. 小島 猛.2005. 유채꽃 에코프로젝트의 지원순환 리사이클 확립을 향한 유채작부생산 보고서, 시가현 타카지마군
  13. 小島 猛.2005. 유채꽃 에코프로젝트의 지원순환 리사이클 확립을 향한 유채작부생산 보고서, 시가현 타카지마군
  14. Ken Taniwaki. 2006. Production of rapeseed and biodiesel. JSAM 68(3) : 9-12
  15. Shrestha, K. and D. J. Lee. 2007. Status and Prospects of Biodiesel and Bioethanol Industry. Korean J. Intl. Agri. 19(1) : 2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