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rbicidal Activities of Agricultural By-products and Native Plants on the Growth of Rice and Paddy Weeds

농산 부산물 및 자생식물이 벼와 논 잡초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An, Xue-Hua;Lee, Sang-Bok;Im, Il-Bin;Kim, Sun;Choi, Man-Young;Kim, Jai-Duk
안설화;이상복;임일빈;김선;최만영;김재덕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rbicidal activities of 62 native plants and 11 agricultural by-products on transplanted rice, Scirpus juncoides and Echinochloa crus-galli. The result showed that 19 out of 73 experimental materials-Diospyros kaki, Citrus unshiu(pericarp), Phytolacca americana, Chamaecyparis obtusa, Astragalus sinicus, Trifolium repens, Vicia villosa, Solanum nigrum, Conyza canadensis, Galium spurium, Melia azedarach, Pinus densiflora, hot pepper meal, neem cake, soybean cake, rice bran, sesame meal, soybean meal and castor bean cake inhibited over 50% in the root growth of Echinochloa crus-galli. In the experiment under the condition of glasshouse, seven kinds of materials-s. nigrum,g. spurium, c. unshiu, c. obtusa, a. sinicus, v. villosa and soybean cake had strong herbicidal activities to several paddy we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ven materials seems to contain an active ingredient that are effective in killing weeds. Strong herbicidal activities were observed even when the extract of c. unshiu(pericarp)was applied at low concentration. It has not been reported yet about the herbicidal effects or active ingredient of c. unshiu. Further research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s of the ingredient in c. unshiu is required.

본 연구에서는 40과 62종 식물재료와 11점 농산부산물을 가지고 논 잡초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을 조사하였다. 73종 시험 자재 중 19종-감나무(D. kaki) 잎, 귤나무(C. unshiu) 열매 과피(귤껍질), 미국자리공(P. americana) 전초, 편백나무(C. obtusa) 경엽부, 자운영(A. sinicus) 전초, 토끼풀(T. repens) 전초, 헤어리베치(V. villosa) 전초, 까마중(S. nigrum) 전초, 망초(C. canadensis) 전초, 갈퀴덩굴(G. spurium) 전초, 멀구슬나무(M. azedarach) 열매, 소나무(P. densiflora) 경엽부, 고추대, 님박, 대두박, 쌀겨, 참깨대, 콩대, 피마자박은 물피의 뿌리에 대하여 50% 이상의 생육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폿트 실험에서는 19종의 자재 중 까마중, 갈퀴덩굴, 귤과피, 편백나무, 자운영, 헤어리베치 및 대두박 등 7종의 자재가 물피와 올챙이고랭이에 대하여 높은 생육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7종 자재 중 귤과피 조추출물은 낮은 농도(0.25% 조추출물)에서도 물피의 뿌리에 대하여 86.6%, 초장은 12.7%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현재까지 귤 식물체 조추출물의 살초활성 및 함유된 살초활성물질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으므로 향후 귤 식물체로부터 살초활성성분의 분리동정 연구가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건우, 신준구, 김진석. 2002. 삽주 근경으로부터 식물생장억제물질의 분리 및 동정. 한잡초지 22(4): 385-391
  2. 김미성, 이유선, D.B. Khoa,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I ). 농약과학회지 8(3):220-230
  3. 김성문, 김미성, 이유선, 김희연, 최해진, 허수정, 권 배, 김경희, 한상섭, 임상현.2005.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II). 농약과학회지 9(2): 173-180
  4. 김성문, 허수정, 용석호, 김진석, 허장현. 2001. 천연 물기원 살초활성물질. 한잡초지 21(3):199-212
  5. 김희현, 최해진, 김도순, 허수정, 김성문.2003a. 애기 수영 (Rumex acetosella L.)으로부터 새로운 살초 활성물질 Chrysophanic Acid의 분리. 한잡초지 23(4):301-309
  6. 김희현,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한상섭, 김도순, 황기환, 김성문.2003b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 한국농약과학회지 7(4):248-257
  7. 노영덕, 백남인, 이민호. 2001. 왕겨로부터 천연제초 활성물질의 분리, 동정. 한잡초지 21(1):49-57
  8. 최해진, 김희연, 허장현, 허수정, 김도순, 김성문. 2003.할미꽃(Pulsatilla a Nakai)으로부터 새로운 살초 활성 물질 anemonin의 분리 . 한잡초지 23(4): 310-317
  9. 이경모. 2003. 친환경농업 생산현황과 발전방향. 환경농업총람. 농경과 원예. pp. 69-96
  10.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624
  11. 이유선, 김미성,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국내 자생 살초활성식물의 탐색. 한잡초지 24(2): 103-113
  12. Allan, E. J. and M. W. Fowler. 1985. Biologically activ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perspectives for the future. Chemistry and Industry. 408-410
  13. Macias, F. A. 1995. Allelopathy in the search for natural herbicide models. pp. 310-330 in K. Inderjit, M. M. Dakshini, and F. A. Einhelig, ed. Allelopathy : organisms, processes, and applications.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582
  14. Rice, E. L. 1984. Allelopathy. 2nd ed. Academic Press. Orlando. Florida. pp. 266-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