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tion of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Urban Growth Management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계획지원시스템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Lee, Hee-Yeon
이희연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Recently, there are increasing concerns on green modes to solve problems of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energy savings. The government authorities seek to develop various solutions to encourage bicycle usages. To encourage bicycle usages, safety should be guaranteed, but research on the bicycle usages is not sufficient up to now. In this study, we selected 151 intersections to analyz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 bicycle accidents using stratified sampling methodocollect trafic volumes and geometric information. Accident prediction model is developed using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results revealed that traffic volumes, presence of bus stop, sidewalk width, number of driveway, presence of speed restriction device, presence of

자전거전용도로 혹은 자전거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자전거 이용 환경의 개선에 노력하고 있지만 자전거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경우 단지를 벗어나면 자전거 네트워크의 연결성이 미흡한 것이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 이러한 연결성이 부족한 지점에서 자전거사고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이 사실이다 . 자전거사고의 경우 , 사고가 발생하면 차 대 차 사고와 비교하여 높은 심각도를 가지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에서 발행한 “교통사고통계분석 2006”에서 제시한 제1당사자 및 제 2당사자별 교통사고 분석에서 총 사고건수 214,171건 발생으로 6,376명이 사망한 것으로 보고되어 0.0297명/건으로 분석되었으나, 자전거이용자가 제 1당사자인 경우 총 929건 발생에 46명 사망으로 0.0495명/건의 비율로 사망하였고 , 자전거이용자가 제2당사자인 경우 총 7,047건 발생하여 257명이 사망하여 0.0365명/건의 비율로 사망하여 자전거사고로 인한 심각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 이와 같이 자전거사고는 높은 심각도를 가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자전거사고 요인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미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전거사고에 대한 조사 및 사고예측모형 개발을 실시하고, 이를 통한 중요 영향인자를 제시하여 개선 및 보완방법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 이를 통하여 자전거이용 활성화와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한다 .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본 연구는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자전거사고의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계층적 샘플링(stratified random sampling)방법을 이용하여 총 151개 신호교차로를 선정하였다 . 인천광역시의 신호교차로가 약 800여 개로 조사되었으며, 2005년 발생한 자전거사고는 총 191건으로 확인되었다. 총 191건의 자전거사고 중 도로 구간이나 비신호 교차로 및 이면도로에서 발생한 사고를 제외한 신호교차로에서의 사고건수는 총 50건이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불규칙하고 이산적으로 발생하는 자전거사고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비사고지점을 포함하여 약 150지점의 샘플수를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 구분 결과 , 사고지점 9개 지점과 비사고지점 142개 지점으로 선정되었다. 한편,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자전거사고 예측모형 개발에 필요한 설명변수들을 확인하여 총 151개 지점에 대한 교통량 및 주변 환경 자료를 수집 ·조사하였다. 연구의 방법에 있어서 교통사고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비선형 회귀분석 방법인 Poisson 회귀분석과 Negative Binomial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을 개발하였고, 이들 개발된 사고모형들을 이용하여 자전거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설명변수들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옥 . 박수홍(2000) '서울대도시지역 도시성장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35(4): 621-639
  2. 권일.김정욱.최봉문(2004) '계획지원시스템 을 이용한 수도권 시가지 성장예측 시뮬레이션'. 국토계획 39(7): 69-84
  3. 박재길.김의식.김상조.문홍길(2001) 도시 성장관리를 위한 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국토 연구원
  4. 안건혁(1995) 신시가지의 적정개발밀도 및 용도별 면적배분기준. 국토연구원
  5. 이희연(2005) '도시.지역계획 수립시에 계획 지원시스템의 활용가능성 탐색'. 환경논총 43: 217-251
  6. 이희연.김동완(2006) '토지이용-교통 통합모델의 이론적 토대와 운용 메카니즘에 관한 소고'. 환경논총44: 51-80
  7. 임창호.최대식(2002) '셀룰러오토마타 모형을 이용한 미시적 토지이용 변화 예측'.국토계획 37(4): 229-239
  8. 전유신.문태훈(2003)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개발밀도관리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8: 41-61
  9. 정재준,(2001) '수도권의 도시성장 분석 및 예측을 위한 셀룰라 오토마타 모델링'.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 공학부 박사학위 논문
  10. 정재준.이창무.김용일 (2002) '도시성장 분석 및 예측을 위한 셀룰라 오토마타 모델 개발'. 국토계획 37(1): 27-42
  11. 최대식.임창호(2004) '밀도결합형 셀룰라 오토마타 모형의 개발' 국토계획 39(5): 7-24
  12. 황금회.이승희(2005) 도시지역정책을 위한 계획지원시스템 구축 기초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3. de la Barra, T.(1989) Integrated Land Use and Transport Modell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de la Barra, T.(2001) 'Integrated Land Use and Transport Modelling: The TRANUS experience', 129-156
  15. Brail, R. and Klosterman, R.(eds.) (2001) Planning Support Systems: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dels, and Visualization Tools, Redlands: ESRI Press
  16. De Carvalho, A., Guimaraes Fontes and de Morisson Valeriano (2003) 'Raster-based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Urban Growth Speed and Accelerati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Proceedings. 2003 IEEE International, 3, 1718-1720
  17. Geertman, S.(2002) 'Participatory Planning and GIS: a PSS to Bridge the Gap'.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9(1): 21-35 https://doi.org/10.1068/b2760
  18. Geertman, S. and Stillwell, J.(eds.)(2003,) Planning Support Systems in Practice, Berlin: Springer
  19. Harris, B.(2001) Sketch Planning: Systematic Methods in Planning and Its Support'. in Brail, R. and Klosterman, R, (eds.),Planning Support Systems: Integrat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Models, and Visualization Tools, Redlands: ESRI Prsss, 59-98
  20. Kammeier, H. (1999). 'New Tools for Spatial Analysis and Planning as Components of an Incremental Planning Support System'.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 365.380
  21. Klosterman, R.E.(1997) 'Planning Support Systems'.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7: 45-54 https://doi.org/10.1177/0739456X9701700105
  22. Klosterman, R.E.(1999) 'Guest Editorial: New Perspective on Planning Support System'.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 317-320 https://doi.org/10.1068/b260317
  23. Nyerges, T. and Jankowski, P. (1997) 'Adaptive Structuration Theory: a Theory of GIS-supported Collaborative Decision Making'. Geographical Systems, 4(3): 225.259
  24. Pettit, C., Shyy, T-K. and Stimson, R. (2003) 'An on-line Planning Support System to Evaluate Urban and Regional Planning Scenarios. In Geertman, S. & Stillwell, J. (eds.), Planning Support Systems in Practice. Heidelberg: Springer
  25. Putman, S.H.(1983) Integrated Urban Models, Policy Analysis of Transportation and Land Use, London: Pion Limited
  26. Weber, C. and Puissant, A.(2003) 'Urbanization Pressure and Modeling of Urban Growth: Example of the Tunis Metropolitan Are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 341-35 https://doi.org/10.1016/S0034-4257(03)00077-4
  27. Wegener et al.,(2005) 'Integrated Land use Transport Modeling Progress around the World', 4th Oregon Symposium on the Integrated Land-use Transport Models, Portland, Oregon, 15-17, November
  28. Wilson, E., Hurd, J.. Civco, D., Prisloe, M. and Arnold, C.(2003) 'Development of a Geospatial Model to Quantify, Describe and Map Urban Growth'.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3): 275-285 https://doi.org/10.1016/S0034-4257(03)000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