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roving Coastal Landward Boundaries Management in Busan

부산시 연안육역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Kim, Gyeong-Su
김경수

  • Published : 2007.11.30

Abstract

This research, based on survey about the real aspects of coastal areas, puts its emphasis on suggesting management plans in the context of land management by analyzing managerial problems from the level of management under the current law system, projected areas for coastal boundaries management, and already executed plans rather than detailed development plan itself.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e management plans for coastal landward boundaries in Busan is to establish the evaluation system on coastal boundaries management, to improve the way of establishing coastal areas , and consolidate ordinances concerning coastal areas management. In addition, the aims of proposals for improvement in organizational sector are to adjust and clear up the conflict of interests between the people belonging to the same organization by strengthening functions of adjusting conflict of interests and to make up for insufficient state of foundation by managing coastal areas management center by which steady support will be available.

연안은 해안선을 사이에 두고 양측 일정 범위의 바다와 육지가 합쳐진 대상(帶狀)공간으로 바다부분을 해역, 육지부분을 육역이라 말한다. 연안지역은 예전부터 인구, 산업, 도시, 시설 등이 밀집하여 왔으며, 세계적으로 국가경제의 중 심지로서 크게 기여하여 왔다. 이러한 영향으로 * 본학회 정회원, 부산발전 연구원 연구위원 (단독저자:gskim@bdi.re.kr) 20세기 후반기에 들어와서부터는 연안 공간이용의 과부하, 혼란과 함께 부영양화, 백화현상, 적조현상을 포함한 해양오염 등 심각한 연안생태계 파괴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연구에서는 연안지역의 실태조사를 통해 세부적인 개발방안보다는 관리적 차원에서 현행법체계에서의 관리 문제점과 연안관리대상구역, 기 추진 중인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토지관리차원에서의 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는 부산광역시를 사례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Keywords

References

  1. 강정운 . 윤성윤(1995) 경상남도 연안역 개발과 환경보전의 통합관리 정책방안. 경남개발연구원
  2. 국토연구원(1999) 연안정비사업의 체계적 실행방안 연구
  3. 박종화 . 이순혁(1999) 한국 연안관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연구과제 성과보고서 139-200
  4. 엄기철(1993) 해안역 관리제도 연구. 국토개발연구원
  5. 엄기철 . 이문원(1993) '해양발전종합계획 : 연안공간부문계획(안)'. 국토개발연구원
  6. 엄기철 . 황성수 (2002)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모형 및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7. 윤상호(2002) 연안관리지역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 속초시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 추계학술 발표대회 및 정책토론회. 39-58
  8. 윤성순(2003) '연안관리 계획의 실효성 제고 방안', 월간 해양수산,225:38-50
  9. 윤성순 . 최지연 . 주성재 (2003) 연안관리지역계획의 실효성 제고 및 계획수립 모형(안) 개발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0. 이 덕우(1998) '환경친화적 연안역 개발을 위한 방안 : 연안역 통합관리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9: 297-313
  11. 이육(2003) '연안관리제도의 생성과정과 발전방안',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지현(1999) '연안관리법의 제정에 따른 향후 연안관리방향', 해양수산동향 923: 1-48
  13. 임현철(1999)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연안통합관리', 국토 209:48-53
  14. 전재경(2002) 연안관리법제분석. 한국법제연구원
  15. 해양수산부(1999) 연안정비사업의 체계적 실행 방안 연구 관계부처협의자료
  16. 해양수산부 (2000) 연안관리지역계획 수립 지침
  17. 해양수산부 (2003) 연안실태에 관한 기초조사
  18. 해양수산부 (1999) 연안통합관리 업무편람
  19. 해양수산부 (2000) 안통합관리계획
  20. 환경부(1998)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제주도 해안지역의 자연환경
  21. Burbridge, Peter; Humphrey, Sarah, 'Intrcx:luction to Special Issue on the European Demonstration Progrm on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Coastal Management, Vol.31(2), 2003, pp.121-126 https://doi.org/10.1080/08920750390168336
  22. Capobianco. M., Caputi. P., Girolamo. P. D., 'Integration Sectoral Management Activies in the Coastal Zone of the Regione Abruzzo, Italy : The case of RICAMA', Coastal Management, Vol.31(2), 2003, pp.175-185 https://doi.org/10.1080/08920750390168390
  23. Koutrakis. E., Lazaridou. Th., Argyropoulou. M. D., 'Promoting Integrated Management in Strymonikos Coastal Zone(Greece)', Coastal Management, Vol.31(2), 2003, pp.195-200 https://doi.org/10.1080/08920750390168417
  24. Pogue, Pamela and Virginia Lee., 'Providing Public Access to the Shore : The Role of Coastal Management Programs', Coastal Managem23.ent, Vol.27(2), 1999. pp.219-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