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Contributive Levels of City Image Components - The Case of Gwa-cheon City-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 과천시를 중심으로 -

Byeon, Jae-Sang;Choi, Hyung-Seok;Shin, Ji-Hoon;Cho, Ye-Jee;Im, Seung-Bin
변재상;최형석;신지훈;조예지;임승빈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y image components based on an efect and similarity index through the evaluation of citizens and suggested the eficient management system of a city image according to the results. For this study, case cities were selected by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were investigated concerning city image components through a questionnaire. The new this proces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ows: 1) City image components consist of two elements: spatial(60.47%) and non-spatial elements(39.53%). They present relative weights acording to each city and play an useful role in the clasification of cities. 2) The effect index one of concould be deduced by regression analysis on the adjective evaluation and the similarity index by Multidimensional Scaling(MDS, figure 4) and internal analysis(figure 5). By this results, a city image could be, totaly, analyzed in the more detail point of view. 3) Not only spatial elements but also non-spatial elements have, relatively, important influence withTherefore, the emphasis on city image planning using non-spatial elements is requested in folow-up stud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tatistical evaluative method was proposed. With continued follow-up research, this study may serve as a systematic and logical model to improve the urban image.

오늘날 우리나라는 도시환경 질의 문제와 지방자치제의 전면 실시 등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도시계획과 지역 개성 형성을 위해 여러 가지 시책을 전개하는 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많은 도시들이 도시경관과 관련한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시작하였을 뿐만 아니라, 2003년 1월부터 「국토의계획및이용에관한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수도권의 대 도시를 비롯하여 중소 지방 도시들도 제각기 현재의 도시 여건에 적합한 도시 이미지 관리 및 마케팅 기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임승빈 등, 2004; 변재상, 2005; 이우종과 김남정, 2005). 이는 최근 도시정책의 중점이 지금까지의 양적 개념에서 질적 개념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다양한 도시환경의 창조를 위해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됨에 따른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경관계획은 도시민의 실질적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각 도시의 고유한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중요한 전략수단이 된다(임승빈과 변재상, 2002). 그러나 전반적인 계획 과정이나 수단이 외국의 경관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단순한 정도에 머물고 있으며 , 이에 따라 오늘날 우리나라의 도시공간은 외국사례의 표층적 재현으로 나타날 뿐, 본질적 의미에서의 도시 정체성이나 경관미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 즉 일률적이고 단순한 모방식 가이드라인의 설정은 해당 도시를 가꾸어 나가는 방식에서 그 한계에 부딪칠 수밖에 없다 . 따라서 도시의 장소적 측면을 강화하기 위하여 , 정확한 도시 현황을 진단하고 이에 근거한 도시의 관리 전략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도시 이미지 확립뿐만 아니라 경관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는 수단이 된다(변재상, 2005). 이러한 계획들이 제대로 방향을 잡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도시 이미지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 및 그에 대한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Nasar, 1998)1).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량적 분석 기법을 개발함으로써 , 도시 이미지를 보다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 더욱 설득력 있는 정량적 분석기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연구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형성에 기여하는 공간적비공간적 요소별 영향력과 유사성에 따른 기여 수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 또한 이들 요소를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요인별 특성에 기인한 요소로 파악하여 각각의 요소들에 대한 관리방향을 설정하고, 궁극적으로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편 기존 연구와 달리 공간적 요소뿐만 아니라 비공간적 요소의 활용방안도 함께 고려하여 도시의 문화적 , 사회적 특성들이 시각적으로 표출될 수 있는 관리방향도 동시에 수립하고자 한다 .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호.변재상.임승빈(2002)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 한국조경학회지 30(4): 9-18
  2. 김현선(1983) '인지지도를 이용한 서울시 도심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광배(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4.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29-40
  5. 박지해 (2005) '대학캠퍼스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구역과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변재상(2006) '도시 경관 이미지 분석에서 다차원척도법의 적용'. (사)한국조경학회 경관계 획연구회 정기총회 및 제8차 정기세미나 자료집 '행정중심복합도시, 활력있는 경관도시'
  8.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9.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국토계획 41(3): 7-20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이미지에 관한 다차원 분석 연구. 2005년 8월 공개토론회 자료집
  11. 손은영, 김종하(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659-662
  12. 윤장우, 박춘근(2001) '도시 이미지 형태유형 요소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경관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17(3) : 147-156
  13. 이건영, 김용기(1984) '서울 도심지의 랜드마크에 대한 인지와 상관변수에 관한 분석적 연구'. 국토계획 19(2): 20-31
  14. 이우종, 김남정(2005) '도시브랜드 이미지의 구성요소와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0(6): 177-192
  15. 이훈(1999) '심지도를 이용한 도시환경의 이미지 인지에 관한 연구: 청주시를 중심으 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6): 3-14
  16.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5-18
  17. 임승빈, 변재상, 박창석(2000) '이용자 행태 를 고려한 대학캠퍼스 시설배치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6(12): 55-62
  18.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19.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학회지 33(3): 18-30
  20.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 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미지 분석: 부산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2): 189-202
  21. 홍두승(2001)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22. Anderson, J. and M. Tindal(1972) 'The concept of home range: new data for study of territorial behavior'. In W. J. Mitchell(Eds.).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and Practice. Vol. 1: 1-1-1 to 1-1-7. CA: School of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University of California
  23. Appleyard, D.(1976) Planning a pluralist city. MA: The MIT Press
  24. Baird, J.(1979) 'Studies of the cognitive representation of spatial rela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08:90-106 https://doi.org/10.1037/0096-3445.108.1.90
  25. Banai, R.(1999) 'A methodology for the image of the city'. Environmental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26:133-144 https://doi.org/10.1068/b260133
  26. Downs, R. M. and D. Stea(1970)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 urban shopping center'. Environment and Behavior, 2: 13-39 https://doi.org/10.1177/001391657000200102
  27. Downs, R. M. and D. Stea(1973) Image and environment: cognitive mapping and spatial behavior. IL: Aldine
  28. Gould, P. and R. R. White(1968) 'The mental maps of British school leavers'. Regional Studies, 2: 161-182 https://doi.org/10.1080/09595236800185171
  29. Golledge, R. G.(1977) 'Multidimensional analysis in the study of environmental behavior and environmental design, NY: Plenum'. In I. Altman and J. F. Wohlwill(Eds.). Human behavior and environment: advanced theory and research, Vol. 1 & 2. NY: Plenum Press 2: 1-42
  30. Golledge, R. G., V. L. Rivizzigno and A. Spector(1976) 'Learning about a city: analysi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In R. G. Golledge and G. Rushton(Eds.). Spatial choice and spactial behavior:95-116. OH: Ohio State University Press
  31. Holahan, C. J.(1982) Environment psychology. NY: Random House, Inc
  32. Howard, R. B., S. D. Chase and M. Rothman(1973) 'An analysis of four measures of cognitive maps'. In W. F. E. Preiser (Eds.).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Vol. 2: 254-264.. PA: Dowden, Hutchinson & Ross, Inc
  33. Jackson, P. and R. Kitchin(1998) 'Editorial: applying cognitive mapping research'.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219-221 https://doi.org/10.1006/jevp.1998.0092
  34. Kitchin, R. M.(1994) 'Cognitive maps: what are they and why study them.'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4: 1-19 https://doi.org/10.1016/S0272-4944(05)80194-X
  35. Klein, H. J.(1967) Urban core and Inner city. Leiden, Netherlands: Brill
  36.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 The MIT Press. Cambridge
  37.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