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involvement effection as a mediator between decisive factors of sports-outfit and purchase-satisfaction

스포츠의류 선택요인과 구매만족도 관계에서 관여도의 매개효과 검증

Kim, Beom-Joon;Cho, Kwang-Min;Rhee, Seung-Lo
김범준;조광민;이승로

  • Published : 200709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involvement effection as a mediator between decisive factors of sports-outfit and purchase-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llect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who belong to university located in Seoul. 248 out of 35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SPSS 13.0 version and AMOS 5.0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 Among the decisive factors of sports-outfit, Involvement is not as a mediator between price factor and purchase-satisfaction. but involvement is as a partially mediator between brand factor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capacity factor and satisfaction. Involvement is as a perfectly mediator between design factor and purchase-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호정, 이준엽(2003). 스포츠경영학. 서울: 학현사
  2. 고순화, 이영선(2007). 가상적 상황에서 의류제품에 대한 서비스회복이 고객만족과 구매 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연구, 18(1), 49-69
  3. 구양숙, 추태기(1996). 의복의 관여에 따른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문화연구, 4(2), 435-446
  4. 김기한(2005). 대학생의 스포츠 의류 구매결정요인과 구매성과 및 소비감정의 관계.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0(3), 27-36
  5. 김동원, 신호정, 전태준(1998). 주부들의 스포츠참여형태와 광고효과와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10, 333-340
  6. 김원(1994). 중년층 여성의 패션의식에 따른 신규 상표 포지셔닝 전략.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7. 김주성(2001). 프로축구 관여도와 정보요구도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8. 김지영, 박영옥(2002). 의류제품유형 및 성별에 따른 구매 후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1), 49-59
  9. 박재옥, 박해성(1995). 의류제품 관여도 수준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13, 181-205
  10. 박재옥, 장경혜(1996). 의류제품 관여수준에 따른 구매 동기, 제품 및 점포선택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연구, 14, 53-79
  11. 박혜정, 박재옥(2002). 수입의류와 국산의류의 불만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2), 364-375
  12. 오현정(1997). 의복품질의 개념구조와 평가경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3. 이소영(2002). 골프웨어 구매선택기준과 만족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14. 이영선(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 한국의류학회, 24(4), 549-559
  15. 이창균(2000). 청소년들의 스포츠레저용품 구매행동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교원대학교 대학원
  16. 이훈미, 유태순(1997). 소비자의 수단적 가치에 따른 의복구매 불만족 및 불평행동의 비교, 한국복식학회, 33, 175-188
  17. 정병기, 최철연(1997). 스포츠 의류 마케팅 전략이 소비자 구매욕구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논총, 10, 185-195
  18. 주동욱(2005). 스포츠의류 브랜드의 구매결정 및 구매 상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리서치, 16(5), 849-860
  19. 진지형 (2005). 스포츠 제품 관여수준에 따른 구매경로 분석. 한국스포츠 산업경영학회, 10(4), 45-56
  20. 최근대, 백재옥, 이지연(2006). 프로축구팀 관여도에 따른 축구관련 스포츠 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5), 807-817
  21. 최봉규(2003). 제품관여와 위협적 소구수준에 따른 수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2. 최종필, 이종호(2004). 대학생들의 스포츠 레저용품 구매 선택시 고려요인 및 구매행동분석. 한국스포츠산업 . 경영학회지, 9(1), 61-73
  23. 홍세희(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19(1), 161-177
  24. 홍세희(2007). 구조방적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연세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워크샵교재
  25. Arbuckle, J. L. (1996). Full information estimation in the presence of incomplete data. In GA Marcoulicles and R. E. Schumaker (ED.). Advenced structual equation modeling : Issues and techniqu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Arbukle, J. L. & Wothke, W. (1999). amos 4.0 User's Guide. IL: Small Waters
  2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c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8. Bloch, P. H, &Richins, M L. (1983). Shopping without purchase: An Investigation of consumer browsing behavior.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10, 389-393
  29. Frazier, P. A., Tix, A. P., & Barron, K. E. (2004). Testing moderator and mediator effects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1, 115-134 https://doi.org/10.1037/0022-0167.51.1.115
  30. Hu, L-T, & Bentler, P. M.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rn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4, 424-453
  31. Hunter, M. K. (1966). A comparison of Clothing between and white women of law social- econmic status. Unpublished Master's theses. University of Missouri. In A. N. Creekrmore(ed). Method of measuring clothing variables, Michigan State University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34-35
  32. Keller, K. L. (1998).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managing brand equity. NJ : Prentice Hall
  33. Laurent, G., & Kepferer, N. J. (1985). Measureingconsumer involvement Profiles. Journal of maketing Research, 22(1), 41-53 https://doi.org/10.2307/3151549
  34. MacQurrie, E. F., & Munson, J. M. (1987). The Zaichkowsky personal involvement inventory: Modification and extens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4, 3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