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House Owner's Decision Making on a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 The Case Study of the Imun.Whigyung New-Town District in Seoul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토지등소유자의 주택재개발 사업에 대한 찬반 의사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동대문구 이문.휘경 뉴타운사업지구를 대상으로

Kim, Young-Gwan;Kim, Jin-Ha;Nam, Jin
김영관;김진하;남진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Usualy some of house owners living in New Town district support a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whereas some of them do not suppor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kinds of factors are afecting the decision making of house owners on a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A total mun-Whigyung district which was apointed as a New Town district in July, 2006, and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ix explanatory variable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y significant for house owner's decision making at the 90% significance level; laof schoolchildren, the presence of rental income, owner's income source,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This study also presents that the econom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house owners have an influence on the decision making in adition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housing redevelopment area. opment project, proper alternatives should be established to support them even after completing the p r o j e c t . F i n a l y , i t i s n e c e s a r y t o provide alternative residences to households that have schoolchildren since they do not want to move to other places in the proces of a housing redevelopment project.

1973년 제정된 「주택개량 촉진에 관한 임시조치법」을 통해 시작된 주택재개발사업은 주거지의 물리·사회적 조건을 개량하거나 보수하고, 그 기능을 유지하여 더 향상된 상태로 개선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주택재개발사업은 기존도시 내에서 노후․불량주택의 개량과 새로운 주택의 공급이라는 역할을 담당해 오고 있다. 현재 주택재개발사업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시행되는 사업으로 추진위원회의 설립, 정비계획 수립 및 정비구역지정, 조합설립인가, 사업시행인가, 분양신청, 관리처분계획 인가, 준공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 중 추진위원회의 설립, 정비구역의 지정, 조합설립, 사업시행인가 단계에서는 주민의 동의가 필요하다. 이때, 주민 동의율이 각 단계에서 정하고 있는 기준을 만족하지 못할 경우 사업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주택재개발사업은 주민동의로 이루어지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토지등소유자(이하 ‘소유자’)의 주택재개발사업 찬반에 대한 의사결정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주택재개발사업에 있어서 주민동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갈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사업을 지연시키고 투명성을 해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배순석(1995)의 연구에서 보듯이, 주택재개발사업이 지연되는 경우 기존 건축물의 증축, 개축 등의 건축행위 제한을 가져와 재산권의 침해 및 주거환경을 악화시키고, 주택재개발사업 추진의 가능성을 목표로 한 외부인의 매입기회를 확대함으로써 현지주민의 재정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언론에 보도된 몇몇의 사례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민의 동의를 얻기 위해 금품을 수수하는 등 사업이 투명하지 않게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주택재개발사업구역 내 소유자를 대상으로 주택재개발사업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이를 통해 주택재개발사업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유자간 갈등의 근본원인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진훈(1986) '비자발적 주거이동에 의한 재정착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태윤(2005) '임차인의 임대계약 선택에 있어서 데이터마이닝 기법틀을 이용한 비교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200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765-772
  3. 김희철(2004)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관악구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4. 남진.황인자(2006) '주택재개발사업구역 내의 세입자 가구의 임대주택 입주선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1(3):69-83
  5. 대한주택공사.한국도시설계학회(2005)서울시 뉴타운 효율적 참여방안 연구
  6. 박정은.최병선(2003)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 지정 기준항목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179-190
  7. 박한상(2003) “재건축에 따른 이주자의 주거선택 행태 분석 :잠실과 도곡 아파트의 사례를 중섬 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배순석(1995) 주택개량 재개발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국토연구원
  9. 서울특별시(2007) 뉴타운사업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 제고방안. 서울특별시
  10. 서혜선(2001) (SPSS를 활용한)회귀분석. SPSS아카데미
  11. 신경심(2005) '아파트 시장의 특성과 그 선택요건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
  12. 신현주 (2005)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 시행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 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3. 윤대식 (2004) 도시모형론. 서울.홍문사
  14. 이길순(1990) '로짓모형을 이용한 주택선택 결 정요인의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학위논문
  15. 임하경.최열(2004)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 40(2):53-64
  16. 정금호(2002) '계층화분석법을 이용한 주거선택의 중요도 결정방법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7. 정승일(1993) '주거이동과 주거의식 구조에 관한 연구' 지리학 연구 21(1):19-37
  18. 최막중.김준형(2006) '재개발로 인한 주택 소유자의 경제적 어려움에 관한 실증연구' 국토계획 41(7):85-96
  19. 최신애(2005) '주택재개발사업구역내 세입자들의 이주결정행태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하성규, 김태섭(2003) 한국도시재개발의 사회경제론. 서울: 박영사
  21. 하성규 외(2006) 주택정책론. 서울:박영사
  22. Oark&Onaka(1985) 'An Empirical Test of Joint of a MJdel of Residential MJbility and Honsing Choice'. Environment and Planning 17:915-930 https://doi.org/10.1068/a170915
  23. Hennessey, Sean, M(2003) 'The Impact of Housing Choice on Future Household wealt' Financial Services Review 12:143-164
  24. Lance Freedman(2005) 'Displacement or Succession?:Residential Mobility in Gentrifying Neighborhoods'. Urban Affair Review 40:463-491 https://doi.org/10.1177/1078087404273341
  25. Moore. E. G.(1971) 'Comments on the use of Ecological Models in the Study of Residential Mobility in the City'. Econ, Geogr 47:73-85 https://doi.org/10.2307/143227
  26. Rossi, P.H.(1980) Why Family Move(2nd ed.). Beverly Hills, Calif: 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