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romotion Plan of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in Middle School

창의적 재량 활동을 통한 중학교 국제이해교육의 증진 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7.03.09
  • Accepted : 2007.04.09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is not fully implemented in middle schools although it is underlined in the 7th Curriculum. So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areas in which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the creative optional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s can be conducted, and the method to promote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these areas. And we propose the specific instruction plans which can be used in class on each area and some points of the methodological improve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순원, 국제이해교육의 현재적 시사점, 국제이해교육 1, pp.57-84, 2000
  2. 교육부, 제7차 교육과정 개요, 서울: 대한교과서, 1997a
  3. 교육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V), 서울: 대한교과서, 1997b
  4. 교육부, 교육발전 5개년 계획 시안, 교육부, 1999
  5. 김권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한국교사들의 인식과 태도, 국제이해교육 10, pp.198-205, 2003
  6. 김신일, 세계화와 국제이해교육, 국제이해교육 1, pp.9-16, 2000
  7. 김신일 외, 지구촌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프로그램,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01
  8. 김종훈 외, 중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국제이해교육 7, pp.118-133, 2002
  9. 김현덕, 국제이해교육의 개념과 방향, 국제이해교육 1, pp.85-124, 2000
  10. 김현덕, 국제이해교육의 영역과 교육과정, 이삼열 외,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한울, pp.56-72, 2003
  11. 문현여자중학교, 범교과 학습을 통한 창의적 재량활동의 편성.운영, 2002
  12.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세계시민을 위한 국제이해교육, 서울: 정민사, 2003
  13. 유네스코, 국제이해, 협력, 평화를 위한 교육과 인권, 기본 자유에 관한 교육 권고, 1974; 유네스코 포럼 10, 1999
  14.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학교에서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오름, 1996
  15.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세계로 열린 교실, 서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997
  16. 유철, 한국의 국제이해교육을 위한 제언, 국제 이해교육 1, pp.17-26, 2000.
  17. 이명준, 인성함양과 국제이해교육의 활성화, 국제이해교육 1, pp.151-173, 2000
  18. 이삼열 외,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서울: 한울, 2003
  19. 이상주, 국제이해교육의 전체론적 접근, 국제이해교육 2, pp.5-25, 2000
  20. 이승환, 새로운 국제이해교육을 위하여, 국제이해교육 1, pp.27-56, 2000
  21. 전순동, 세계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에 대한 시각과 방법, 교육연구논총 1998(1), pp.66-67, 1998
  22. 정두용, 한국 대학에서의 국제이해교육, 국제이해교육 1, pp.125-150, 2000
  23. 정두용, 한국 국제이해교육의 동향, 김현덕 외, 국제이해교육의 동향 - 미국, 일본, 호주, 한국, 아시아.태평양 국제이해교육원, pp.377-455, 2005
  24. 정영국, 국제이해교육과 지역연구, 국제이해교육 2, pp.54-55, 2000
  25. 정호범, 이문화이해교육의 관점에 기초한 통일교육, 국제화 시대의 사회과 교육, 서울: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pp.106-120, 1995
  26.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제7차 교육과정 정착을 위한 초.중학교 교육과정 실천 방안 연구, 서울: 현대문화사, 2001
  27. 한만길, 통일의식 변화와 통일교육의 과제, 한국 교육개발원 창립 제28주년 기념 교육정책 포럼, 2000
  28. 한명희, 국제이해교육의 배경과 철학,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국제사회와 국제이해교육, 서울: 정민사, pp.23-27, 1996
  29. 한명희 외, 국제사회와 국제이해교육, 서울: 정민사, 1996
  30. Alger, C.F., Implication of Microelectronically Transmitted Information for Global education, in A. Culbertson & L. Cunninham(eds.), Microcomputers and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31. Case, R., Key Elements of a Global Perspective, Social Education 57(6), pp.318-325, 1993
  32. Hanvey, R.G., An Attainable Global Perspective, New York: Center for Global Perspectives in Education, 1976
  33. Kirkwood, T.F., Our Global Age Requires Global Education: Clarifying Definitional Ambiguities, The Social Studies 92(1), pp.10-15, 2001 https://doi.org/10.1080/00377990109603969
  34. Tye, K.A., Global Education: A Worldwide Mouvement, CA: Independence Press,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