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Diagnostic Scale of Internet Addiction for Private Class in Korean Military

병사용 인터넷 중독 경향성 진단도구 개발

Kim, Yong-Joo;Shin, Ouing-Sub;Ko, Jae-Won
김용주;신응섭;고재원

  • Published : 200712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endencies of internet addiction in privates class of Korean armed forces and to develop a measuring scale of it. For these purposes, first, we surveyed privates (N=454) who were sampled from a couple of Army infantry divisions to develop sample items of the internet addition scale. Second, pilot survey(N=900)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 structure of the collected 134 items through the first survey. Finally, main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905 privates of Korean Army, Navy, and Air Force. Final scale, i.e., 'Diagnostic Scale of Internet Addition Tendencies in Military Private Class', has sixty-one items and is consisted with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has twenty items which were mostly adopted from Lee et al.'s (2005) scale and measures personal history of network addition before being enlisted. The second part has thirty-three items and measures psychological vulnerability of a person to internet addiction such as loneliness,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The final section which consists of eight items measures substitutive behaviors and desires which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Based on self-inventory scores on the scale, we classified privates into three groups: risky, latent, and normal groups. The scale will be useful in diagnosing current state of military privates who had been addicted to internet usage and contribute to prevent malignant accidents which may be caused by privates who were addicted to internet usage.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중독과 관련된 구체적 행동의 가능성이 적은 병영생활을 고려하여 병사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을 측정하고, 분류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후방 근무 병사 454명을 대상으로 기초조사를 실시하고, 예비조사는 900명을 대상으로, 그리고 본 조사는 19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제작된 ‘병 인터넷 중독 경향성 진단도구'는 총 61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입대 전 경험에 기초한 중독경험의 과거력 판단이다. 이를 위해 이순묵 등(2005)이 개발한 성인용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A척도)를 활용하되 시제를 과거형으로 전환한 20문항이 선정되었다. 둘째는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취약 특성으로 외로움, 자기효능감, 통제력을 측정하는 33문항이 선정되었다. 셋째는 인터넷 중독과 관련하여 나타나는 대체 행동 및 욕구를 진단하는 8문항이 선정되었다. 진단 결과는 중독 경향성 수준에 따라 위험군, 잠재군, 일반군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단도구는 과거 인터넷 중독에 빠진 경험이 있었던 병사가 현재 병영생활에서 어떠한 상태에 있는가를 진단해주며, 이를 통하여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각종 악성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만철, 오익수 (2001). 청소년 인터넷 중독 척도 개발(I). 교육심리연구. 15(4), 5-21
  2. 국민일보 (2006). 초등예비교사 30% '인터넷중독' 위험성. 9월 24일
  3. 김선우 (2002). 인터넷 중독의 실태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유정 (2002). 청소년 인터넷 게임 중독 척도 개발 및 심리사회적 취약성 요인.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 이수진 (2002). 인터넷 중독 예방상담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6. 문성원, 김성식 (2004). 아동을 위한 다차원형 병리적 인터넷 이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1부.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3), 21-77
  7. 송원영 (1999). 자기효능감과 자기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2005).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 척도 개발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9. 이형초 (2001).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효과.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0. 이형초, 안창일 (2002). 인터넷 게임 중독의 진단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 7, No. 2. 211-239
  11. 윤재희 (1998).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 경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정보통신부 (2007). 2007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연구보고서(2007년 8월)
  13. Goldberg, I. K. (1995). Internet Addiction Disorder.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http://www. rider. edu/users/suler/psycyber/ supportgp .html
  14. Young, K. S. (1996). Psychology of computer use: XL. Addictive use of the internet: a case that breaks the stereotype. psychological Reports, 79, p. 899-902 https://doi.org/10.2466/pr0.1996.79.3.899
  15. Young, K. S. (1998).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