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of Family Practitioners on Cold Hands/Feet Syndrome and Raynaud's Disease

수족냉증과 레이노병에 대한 일부 가정의의 인식도

Kim, Chul-Min;Ock, Seon-Myoung;Chung, Ju-Hye;Jang, Hong-Seok;Yoo, Dong-Jin;Lee, Jung-Bok;Choi, Whan-Seok
김철민;옥선명;정주혜;장홍석;유동진;이정복;최환석

  • Published : 20070500

Abstract

Recognition of Family Practitioners on Cold Hands/Feet Syndrome and Raynaud's DiseaseChul-Min Kim, Seon-Myoung Ock, Ju-Hye Chung, Hong- Seok Jang*, Dong-Jin Yoo**, Jung-Bok Lee***, Whan-Seok Choi†

연구 배경: 우리나라에서 수족냉증의 유병률이 12%까지 나타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많은 환자들은 근거없이 혈액순환 개선제나 한약 등을 복용하고 있다. 또한 레이노병은 일차의료현장에서 간과되어 왔다. 이에 가정의들의 수족냉증과 레이노병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1월부터 7월까지 가정의학과 개원의 협의회에 등록되어 있는 회원 905명의 회원에게 우편과 전자우편을 이용하여 설문조사 실시하여 회신한 274명(회신율 30.3%)의 자료를 대상으로 수족냉증과 레이노병에 대한 인식도에 대한 빈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응답자 274명 중 수족냉증을 자주 접하는가 하는 질문에는 21%가 자주 접한다, 76%가 가끔 접한다고 하였으며, 접하지 않는다는 답은 3%로 대부분은 수족냉증을 흔히 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족냉증을 호소할 때 약물처방을 하는 경우는 60%, 처방하지 않는 경우는 40%였다. 처방하는 경우 중 처방약물로는 혈액순환개선제가 83%, 칼슘통로 차단제가 9% 등으로 나타났다. 수족냉증 환자 중에 레이노병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48%였으며, 51%에서는 수족냉증 환자 중에 레이노병이 없을 것이라고 답변하였다. 레이노병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에 약물처방을 한다고 하는 답변은 54%였으나, 46%는 레이노병으로 진단하여도 약물 처방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노병에 대한 처방 약물로는 혈액순환 개선제가 52%, 칼슘통로차단제가 40% 등으로 나타나, 많은 응답자들은 레이노병에 대해 혈액순환 개선제를 가장 많이 처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수족냉증은 흔히 접하는 문제로 응답자들은 대부분 혈액순환 개선제를 처방하고 있었으며, 수족냉증을 호소하는 환자 중 소수만이 레이노병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레이노 병에 대하여도 혈액순환 개선제를 가장 많이 처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족냉증과 레이노병에 대한 바른 인식과 교육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최환석, 옥선명, 변준희, 정상훈, 박경수, 박정욱 등. 수족부감각이상자에서 레이노병의 유병률. 가정의학회지 2003; 24(12):1085-91
  2. 김남수. 생활침뜸의학. 초판. 서울:보성사;1999. p. 431-2
  3. 김철민. 수족냉증의 진단과 치료. 가정의학회지 2004; 25(11):S273-7
  4. 이상엽. 레이노 현상; 가정의학 임상편. 초판. 서울:계축문화사;2002. p. 628-33
  5. Wigley M. Clinical practice. Raynaud's phenomenon. N Engl J Med 2002;347:1001-8 https://doi.org/10.1056/NEJMcp013013
  6. Wigley FM. Raynaud's phenomenon. Curr Opin Rheumatol 1993;5:773-84 https://doi.org/10.1097/00002281-199305060-00013
  7. Facts about Raynaud's phenomenon. NIH Publication No. 93-2263. 1993.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Public Health Servic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8. Jeffery F Minteer. Raynaud's phenomenon; Saunders manual of medical practice 1996, 387-9
  9. Maricq HR, Carpentier PH, Weinrich MC, et al. Geographic variation in the prevalence of Raynaud's phenomenon: a 5 region comparison. J Rheumatol 1997;24:879-89
  10. Silman A, Holligan S, Brennan P, Maddison P. Prevalence of symptoms of Raynaud's phenomenon in general practice. Br Med J 1990;301:590-2 https://doi.org/10.1136/bmj.301.6752.590
  11. Block JA, Sequeira W. Raynaud's phenomenon. Lancet 2001; 357:2042-8 https://doi.org/10.1016/S0140-6736(00)05118-7
  12. Creager MA, Dzau VJ. Raynaud's phenomenon;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5th ed. OH:McGraw-Hill, 2001: 1438-9
  13. 김철민. 레이노 현상(Raynaud's phenomenon); http://www.ph.bayerhealth.co.kr/mis/index_raynaud.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