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eening of Herbicidal and Fungicidal Activities from Resource Plants in Korea

살초 및 살균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원식물의 탐색

Kim, Kun-Woo;Lee, Dong-Gu
김건우;이동구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herbicidal and fungicidal activities of allelochemicals present in Korean native plants. Methanol extracts from 64~66 samples of 50~52 plant species in 27 families were tested for the growth inhibition of barnyardgrass (Echinochloa crus-galli) seedlings and the fungicidal activity against four phytopathogenic fungi. Extracts of Acanthopanax sessiliflorus branch and leaf, Hedera rhombea fruit and leaf, Chloranthus japonicus whole plant, Aster glehni stem and leaf, Erythronium japonicum stem and leaf, Pittosporum tobira fruit and leaf, Hepatica maxima stem and leaf, Clematis trichotoma stem and leaf, Anemone reflexa whole plant, Styrax japonica leaf, Bupleurum falcatum stem and leaf and Heracleum moellendorffii root showed strong herbicidal activities over 60% of growth inhibition on the root of barnyardgrass seedlings at 1,000㎍ mL-1. Above all extracts of H. rhombea fruit and leaf and A. glehni stem and leaf highly inhibited about 85.0% and 78.5% against the root growth of barnyardgrass seedlings at 1,000㎍ mL-1, respectively.Methanol extracts of Corydalis incisa and Isopyrum raddeanum whole plant showed strong fungicidal activity against Bipolaris sorokiniana at a concetration of 250㎍. Also, extracts of Trillium kamtschaticum whole plant showed strong fungicidal activity against Phyricularia grisea at a same concetration.

본 연구는 국내 자원식물들에 함유된 살초 및 살균 활성물질에 관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27과 50종 64점 식물 시료의 methanol 추출물에 대해 1,000㎍ mL-1 농도에서 돌피 유묘의 생장저해활성을 조사한 결과, 피 유묘 뿌리에 대해 약 60% 또는 그 이상의 높은 생장저해율을 나타낸 12종의 식물체는 오갈피(A. sessiliflorus) 가지잎, 송악(H. rhombea) 열매잎, 홀아비꽃대(C. japonicus) 전초, 섬쑥부쟁이(A. glehni) 경엽부, 얼레지(E. japonicum) 경엽부, 돈나무(P. tobira) 열매잎, 섬노루귀(H. maxima) 경엽부, 할미밀망(C. trichotoma) 경엽부, 회리바람꽃(A. reflexa) 전초, 때죽나무(S. japonica) 잎, 시호(B. falcatum) 경엽부 및 어수리(H. moellendorffii) 뿌리이었으며, 특히 송악(H. rhombea) 열매잎 및 섬쑥부쟁이(A. glehni) 경엽부는 각각 85.0% 및 78.5%의 고활성을 보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7과 52종 66점의 식물 시료에 추출물에 대한 살균활성 검정 결과, 250㎍ 농도에서 보리호밀엽고병에 자주괴불주머니(C. incisa) 전초(inhibition clear zone 16.8㎜) 및 나도바람꽃(I. raddeanum) 전초(19.4㎜)가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도열병에 송악(H. rhombea) 열매잎이 약한 활성을, 처녀치마(H. orientalis) 전초가 중간의 활성을, 연령초(R. kamtschaticum) 전초가 강한 항균활성(20.7㎜)을 나타내었고, 벼잎집무늬마름병에는 담쟁이덩굴(P. tricuspidata) 전초 추출물만이 중간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연충, 임일빈, 김석동, 김순철, 구자옥. 2001. 친환경 잡초관리 기술. 한국잡초학회지 21(3):191-198
  2. 권오경, 임수길, 성기석, 최병렬. 1997. 국내 자생 식물자원 중 농약활성 물질 탐색. 한국환경농학회지 16(4):347-355
  3. 김건우, 김순영.2005.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살초 및 살균활성. 한국잡초학회지 25(3):221-232
  4. 김건우, 홍경식.2005. 국내 자생식물 추출물의 피 및 좀개구리밥에 대한 생육 저해 활성. 한국잡초학회지 25(3):209-220
  5. 김건우, 백정규, 김진석.2005. 산초나무 열매로부터 살초활성 물질의 분리. 한국잡초학회지 25(3): 194-201
  6. 김건우, 신준구, 김진석.2002. 삽주 근경으로부터 식물생장억제물질의 분리 및 동정. 한국잡초학회지 22(4):371-377
  7. 김건우, 김길웅, 신동현, 이인중, 김학윤, 고재철, 남수환. 2000. Allelochemical 생성 벼 품종 Kouketsumochi로부터 Allelochemical 탐색 . 한국잡초학회지 20(3): 197-207
  8. 김길웅, 이인중. 1989. 약용식물 추출액의 발아억제 효과와 관련화합물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9(2): 154-167
  9. 김미성, 이유선, D. B. Khoa,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I) 농약과학회지 8(3):220-230
  10. 김상범, 이광하, 김준규, 서수철 편.2002. 유기식품의 생산,가공, 표시, 유통에 관한 Codex 가이드 라인(GL 32-1999, Rev. 1-2001).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pp. 13-23
  11. 김상열, 김칠룡, 박성태, 김순철. 1997. 약용작물의 Allelopathy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잡초학회지 17(4):407 -412
  12. 김성문. 2006.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N). 농약과학회지 10(3):225-229
  13. 김성문, 김미성, 이유선, 김희연, 최해진, 허수정, 권순배, 김경희, 한상섭, 임상현.2005.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III). 농약과학회 지 9(2): 173-180
  14. 김성문, 허수정, 용석호, 김진석, 허장현. 2001. 천연물 기원 살초활성물질. 한국잡초학회지 21(3): 199-212
  15. 김정, 조영수, 서권일, 주옥수, 심기환. 2000. 산초와 초피 잎의 항균활성. 농산물저장유통학회지 7(2): 195-200
  16. 김창진, 강병화, 유인자, 박동진, 이현선, 김영호, 유익동. 1996. 다양한 잡초로부터 생리활성물질의 탐색. 한국농화학회지 39(5):409-413
  17. 김창진, 강병화, 이인경, 유인자, 박동진, 이강현, 이현선, 유익동. 1994. 잡초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 탐색 I. 한국잡초학회지 14(1):16-22
  18. 김희연, 최해진, 유용만, 허수정, 임상현, 김진석, 김성문. 2003a. 식물기원 제초활성물질. 한국잡초학회지 23(3): 190-212
  19. 김희연, 최해진, 김도순, 허수정, 김성문.2003b. 애기 수영 (Rumex acetosella L.)으로부터 새로운 살초 활성물질 Chrysophanic Aicd의 분리 . 한국잡초학회지 23(4):301-309
  20. 김희연, 최해진, 임상현, 허수정, 한상섭, 김도순, 황기환, 김성문. 2003c.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 식물의 탐색(I) 한국농약과학회지 7(4):248-257
  21. 노영덕, 백남인, 이민호. 2001. 왕겨로부터 천연제초 활성물질의 분리, 동정, 한국잡초학회지 21(1): 49-57
  22. 류태석, 권순태, 손건호 1999. 약용작물 추출물로부터 발아억제 활성 의 평가. 한국잡초학회지 19( 4): 320-326
  23. 민경희. 1998. 산초나무 추출물의 피부사상균에 대한 항균활성과 그 성 분. 목재공학 26(4):78-85
  24. 박미란, 김혜영, 최경자, 이선우, 장경수, 김진석, 홍경식, 박노중, 조광연, 김진철. 2004.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뿌리 로부터 분리한 shizukanol들의 생물활성. 농약과학회지 8(4):338-346
  25. 박중협, 김진철, 최경자, 김흥태, 홍경식, 송철, 김진석, 김정규, 조광연. 2000. 토양 및 식물체로부터 분리한 Fusarium속 균주들의 생물활성 . 한국농약과학회지 4(3):19-25
  26. 변종영, 구자옥, 구연충.1997. 잡초관리를 위한 환경 친화적 재배기술. 한국잡초학회지 17(1):124-134
  27. 양계진, 김광호, 정일민. 1998a. 호밀, 귀리 추출물로부터 제초활성물질 탐색 및 동정. 한국잡초학회지 18(4):348-355
  28. 양계진, 김광호, 정일민. 1998b. 인삼 재배법 개선을 위한 알레로파시 식물 탐색 빛 이용. 한국잡초학회지 18(3):214-224
  29. 양민석, 하영래, 남상해, 최상욱, 장대식. 1995. 국내 자식물의 항균활성. 한국농화학회지 38(6):584-589
  30. 이유선, 김미성, 임상현, 허수정, 권순배, 박동식, 한상섭, 김성문. 2004. 국내 자생 살초활성식물의 탐색. 한국잡초학회지 24(2): 103-113
  3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990
  32. 이창복. 2003a. 원색대한식물도감 상. 향문사, 서울. 914 p
  33. 이창복. 2003b. 원색 대한식물도감 하. 향문사, 서울. 910 p
  34. 이춘우.2000. 일본의 Allelopathy에 관한 최신 연구 동향. 한국잡초학회지 20(1):60-66
  35. 임요섭, 박영민, 박문수, 김길용, 김명조, 최용화. 2000. 국내 자생 식물의 항산화 및 항미생물 활성 탐색. 한국약용작물학회지 8(4):342-350
  36. 최원균, 김용성, 조규성, 성장근. 2002. 국내산 식물의 항균활성 검색. 한국식품영양학회지 15(4):300-306
  37. 최용화, 권순열, 김진호, 백남인, 최경자, 조광연, 이병무.2003. 비목나무 잎으로부터 항진균성 활성 물질의 분리. 한국농화학회지 46(2): 150-153
  38. 최해진, 김희연, 허장현, 허수정, 김도순, 김성문 2003.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ai)으로부터 새로운 살초활성 물질 anemonin의 분리 . 한국잡초학회지 23(4):310-317
  39. 한국화학연구원.2003. 자생식물을 이용한 환경친화형 천연 식물보호제 개발. 과학기술부. pp. 110-115
  40. Allan, E. J. and M. W. Fowler. 1985. Biologically activ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perspectives for the future. Chemistry and Industry. 408-410
  41. Clark, A. M., F. S. El-Feraly and W. S. Li. 1981. Antimicrobial activity of phenolic constituents of Mangnolia grandiflora L., J. Phamaceutical Sciences. 70:951-952
  42. Macias, F. A. 1995. Allelopathy in the search for natural herbicide models. pp. 310-330 in K. Inderjit, M. M. Dakshini and F. A. Einhelig, ed. Allelopathy : organisms, processes, and applications. American Chemical Society Symposium Series. 582
  43. Park, I. K., S. G. Lee., J. D. Park., S. C. Shin and Y. J. Ahn. 2003. Fungicidal activity of domestic plant extracts against six major phytopathogenic fungi. Kor. J. Pesti. Sci. 7 (2):83-91
  44. Putnam, A. R. 1988. Allelochemicals from plant as herbicides. Weed Technol. 2:510-518 https://doi.org/10.1017/S0890037X00032371
  45. Rice, E. L. 1984. Allelopathy. 2nd ed. Academic Press, Orlando, Florida. pp. 266-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