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f Forest Biomass in Korea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 추정

  • Received : 2007.08.07
  • Accepted : 2007.09.05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Forest biomass became a topic because we have growing interest i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and environment-friendly energy resourc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forest biomass and develop a program for biomass information management in Korea. The total forest biomass (million ton) were 521 for gross forest, 403 for productive forest and 201 for commercial forest in 2005. Also, the annual biomass production in forest was 20 million ton which was equivalent to 94,290 Gkcal of heating value and about 9 billion won of paraffin oil. The biomass growing rate (every 10year) increased from 4.95% in 1985 to 5.30% in 1995 but turn down 4.46% in 2005. The factors that the forest stock could be converted to the forest biomass have developed according to forest type.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the exact biomass by tree species. In this reason, the demands of the development of the factors by tree species was raised. In addition, it is on time to develop an equation for estimation of biomass by species using dbh and height as independent factors.

지구환경문제 등의 대두 및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산림 바이오매스 자원에 대한 관심의 증폭에 따라 현재 우리나라 산림 바이오매스에 대한 정확한 추정 및 정보 관리프로그램 제작을 위하여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2005년 말 현재 우리나라 총 산림 바이오매스량은 520,852천톤이며, 이들 중 실제 바이오매스 생산이 가능한 시업지를 대상으로 바이오매스량을 산정한 결과 402,795천톤이었고, 목재이용 가치가 가장 높은 경제림단지에 대한 바이오매스량은 200,768천톤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국내 산림에서 연간 임목의 생장에 의해 생산가능한 바이오매스량을 계산한 결과 20,340천톤이었고, 이를 화석연료로 대체할 수 있는 척도인 발열량으로 전환하여 보면 94,290Gkal로서, 이를 당시의 실내등유가로 환산하면 약 90억원에 달하는 양이다. 산림 바이오매스의 주기별 변화 추이는 '85년 말부터 '05년 말 현재까지 10년 주기로 4.95%, 5.30%, 4.46%로 '95년을 정점으로 바이오매스 생장율이 감소추세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산림축적을 바이오매스로 전환하는 현재의 계수들이 임상별로 되어 있기에 수종별로는 계산이 곤란하므로 이에 대한 계수 개발이 요구되며, 아울러 직경 및 수고 인자 등을 이용하여 바이오매스를 추정하기 위한 함수식 개발도 필요한 시점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References

  1. 김영수, 손영모. 2002. 캐나다의 산림바이오에너지 연구 동향. 임엽연구원 임업정보 135: 19-23
  2. 산림청. 2003 .숲가꾸기 산물의 경제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3. 산림청. 2006. 임업통계연보
  4. 손영모, 이경학. 2002. 캐나다의 산림바이오에너지 전략 계획. 임업연구원 임업정보 137
  5. 손영모. 1998. 임목 바이오매스 측정연구의 국제동향. 임 업연구원 임업정보 85: 27-31
  6. 손영모. 2006 산림 바이오매스 탄소계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부문 온실가스통계 Workshop III. pp.17-38
  7. 이경학 등. 2005. 지구온난화, 기후변화협약, 산림. 국립 산림과학원 연구보고 05-04. III p
  8. 이경학, 임종환, 배재수, 김중명, 정세경, 손영모. 2003. 임업부문의 기후변화협약 국가보고서 작성.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211호. 193pp
  9. Aldred, A.H. and I.S. Alemdag. 1988. Guidelines for forest biomass inventory. Canadian Forest Service, Information Report PI-X-77. 134p
  10. http://energyvision.org
  11.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12. Pard, J. 1980. Forest Biomass. Forestry Abstracts Review Article. 41(8): 343-362